DOI QR코드

DOI QR Code

Case Analysis to Establish an Integrated Care System for Seniors

노인 통합케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례분석

  • Received : 2010.11.09
  • Accepted : 2010.12.16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is study conducts analysis on integrated care cases in Korea and other nations regarding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that are segmented and fragmented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establish an integrated care system appropriate for the situation of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ases, integrated care provides various services in common through cooperation with organizations, collaborative participation of various professionals, provision of intervention and individualized protection, and experts for taking care of the cases. Based on those cases, this paper provides suggestions to establish an integrated care system of Korea. In fact, it is necessary to build integrated care general support centers, arrange service providing places in common, establish a care management system, develop resources and expand manpower, develop an integrated care case management system, and develop integrated care computer network.

본 연구는 분절적이고 파편화되어있는 보건 의료 복지서비스를 국내외 통합케어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통합케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사례분석 결과 통합케어의 공통된 요소는 기관과의 협력, 다양한 전문직의 공동참여, 조정과 개별화된 보호 제공, 사례담당 전문가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례를 근거로 우리나라 통합케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언으로는, 통합케어종합지원센터 설치, 서비스제공 장소의 동일배치, 케어 매니지먼트 체계 구축, 자원개발 및 인력확충, 통합케어 사례관리 시스템 개발, 통합케어 전산망 개발 등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종연, 강임옥, 김경하, 한국형 노인건강.수발관리체계를 위한 서비스 연계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 2006.
  2. 김찬우,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변화방향”, 사회복지리뷰, 제10호, pp.31-52, 2005.
  3. 김찬우, “노인보건복지 분야의 통합적 사회서비스 체계 구축”, 2008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 학술대회자료, pp.17-63, 2008.
  4. M. C. Hokenstad, R. A. Ritvo, and M. Rosenberg,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Linking and Social Services," International Social Work, Vol.22, No.4, pp.13-21, 1979. https://doi.org/10.1177/002087287902200403
  5. O. Grone and M. Garcil-Barbero, Trends in Integrated Care-Reflections on Conceptual Issues, WHO, 2001.
  6. D. Kodner. Forseeing the Futre of Long-term Care: The highlights and implications of a delphi study, In R. Binstock, L. Cluff and O. Mering, eds., The Future of Long-term Care: Socila and Policy Lssues,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6.
  7. K. Leichsenring, "Developing Integrated Health and Social Care Services for Older Persons in Europe,"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grated Care, No.4, pp.1-18, 2004.
  8. WHO, Key Policy Issres in Long-term Care, 2003.
  9. 이용표, 이재원, 김찬우, 임업, 고령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한 통합적 노인복지서비스 제공 모델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가톨릭대학교, 2006.
  10. 문재우, “보건.의료.복지의 통합에 관한 일 고찰”, 보건과 사회과학, 제15권, 제2호, pp.5-33, 2004.
  11. 신현일, “농촌지역 방문보건사업의 통합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복지행정학회, 제11권, 제2호, pp.253-279, 2001.
  12. 이연주, “한국보건의료와 사회복지전달체계의 통합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통권122호, pp.153-171, 1994.
  13. 정순둘, “오스틴 노인그룹 서비스 기관들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통권31호, pp.441-458, 1997.
  14. 김순양, “지방정부의 바람직한 사회복지행정체계 구축방안 - 노인복지행정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통권31호, pp.191-218, 1997.
  15. 조추용, “보건복지의 연계.통합에 관한 고찰-일본 재가 케어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17권, 제1호, pp.74-93, 1997.
  16. 신지연, 강임옥, “노령화 대응방안으로서 통합케어의 적용사례와 시사점”, 건강보험포럼, 겨울호, pp.84-98, 2005.
  17. 이성기, "보건복지서비스 연계모형과 사례분석 연구", 보건과 복지, 제9호, pp.151-164, 2007.
  18. 이윤환, 임병우, 장경옥, 경기 노인케어센터 설치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경기도,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