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asic Studies of Korean Native 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erg for Landscape Uses

전통식물 누리장나무의 조경용 소재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Han, In-Song (Dept. of Horticulture, Konkuk University) ;
  • Ha, Yoo-M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Dong-Yeob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Bong-H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ungkyunkwan University)
  • 한인송 (건국대학교 원예학과) ;
  • 하유미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김동엽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 이봉하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04.21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pagation methods of Clerodendron trichotomum for landscape uses.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Korean native C. trichotomum was printed in the "Enumeration of plants in Chosun" in 1937 by Tae Hyun Chung. C. trichotomum is a shrub with round shape. This is noted for its late summer flowers, showy fruit and malodorous foliage. White flowers in long-peduncled cymes bloom in the upper leaf axils from late summer into fall. Flowers are followed by small bright blue fruits, each subtended by a fleshy red calyx. C. trichotomum showed high seed germination rate and greater shoot length in plug box than in normal seeding bed. The rooting rate of C. trichotomum according to cutting date was highest on July 7. The optimum date for cutting was on July 7~10 when the shoots were more hardened. Soil acidity ranged from pH 4.58 to 5.52.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rooting of C. trichotomum was treatment with 1,000 ppm IBA on July 7 cuttings, which showed rooting rate of over 90%. Korean native C. trichotomum was successfully propagated through soft cutting and seed.

본 연구는 전통식물 누리장나무를 조경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자생지 환경특성 및 생육특성과 번식방법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고 있는 누리장나무는 예로부터 어린 잎을 식용하거나 줄기, 뿌리 등을 약용으로 이용한 토종식물로서 전통 조경식물로 구분할 수 있다. 누리장나무가 기록된 최초의 문헌은 1937년 정태현 등이 저술한 <조선식물향명집> 에서 개똥나무라 칭하였으며, 황해도 이남 산야지, 산기슭, 하천변, 둑 등에서 자라고,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된다. 누리장나무는 우리 역사와 함께 하였으며, 여름에 피는 흰 꽃과 가을에 익는 비취색의 열매는 관상가치가 높아 조경용 소재로 개발할 가치가 높다. 누리장나무는 낙엽활엽관목으로 한 화방내 꽃의 크기는 1.2cm로 작은 편이며 수술의 수는 4개, 암술의 수는 1개였다. 화방의 총 길이는 15cm, 화방폭은 20cm였으며, 화방당 꽃수는 84개로 한 화방당 꽃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열매색은 흑청색으로 과폭은 0.72~0.75cm, 과고는 0.71~0.73cm로서 거의 원형에 가까웠으며, 6월 11일 착과되어 이듬해 봄까지 열매가 달려있어 열매 감상기간이 총 175일로 길었다. 자생지의 토양산도는 안양 수리산이 4.58로 강원도의 정선 아우라지의 5.52보다 낮았다. 누리장나무의 종자발아율은 자생지별로 다양하였으며, 플러그(plug) 상자에서 발아율이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생장 역시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삽목 시기를 6월과 7월에 걸쳐 실시한 결과 7월 7일 처리구에서 공히 발근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6월 23일과 7월 21일 처리구는 발근율이 오히려 낮아졌다. IBA 농도에 따른 발근율을 조사한 결과, 7월 7일 IBA 1,000 ppm과 2,000 ppm 처리구에서 발근율이 94%, 97%의 높은 발근율을 보여 누리장나무의 녹지삽목은 7월 상순 IBA 1,000~2,000 ppm의 저농도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심상인(1997). 한국자원식물명 총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p.816.
  2. 강석무(2005). 누리장 추출물에 의한 견직물의 염색.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9.
  3. 강원도 임업시험장(1991). 강원의 야생꽃나무. 강릉: 강원일보사 출판국. p.23.
  4. 강판권(2010). 역사와 문화로 읽는 나무사전. 서울: 글항아리. pp.4-11.
  5. 경상북도(1997). 경상북도 자생식물도감. 경상북도. p.89.
  6. 권오준(1995). 자생 때죽나무의 조경수 이용을 위한 생태적 특성, 번식 및 품종 육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22.
  7. 김태정(1996). 한국의 자원식물III.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313.
  8. 김태욱(1996). 원색도감 한국의 수목. 서울: 교학사. p.436.
  9. 농업기술연구소(1988). 토양화학 분석법. -토양 식물체 토양미생물-. 수원: 농촌진흥청. pp.153-188.
  10. 농촌진흥청 기술정보과(2008). SAS 이용 통계분석. 수원: 농촌진흥청. p.232.
  11. 박상진(2011). 문화와 역사로 만나는 우리 나무의 세계 1. 서울: 김영사. pp.6-8.
  12. 심경구(1991). 한국 자생으로서 미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조경수목(관목 및 만경목)에 관한 연구. 한국원예학회지 논문발표요지. 9(1): 158-159.
  13. 심경구(1994). 도시림 조성을 위한 새로운 조경수 개발. '94 임업과학 심포지움'. 도시림의 역할과 개선 방향. 서울대학교 임업과학연구소. pp.71-98.
  14. 안학수, 이춘영, 박수현(1982). 한국농식물자원명감. 서울: 일조각.
  15. 이선(2004).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 -한국 전통 조경 식재-. 서울: 수류산방 중심. pp.586-587.
  16. 이영노(1996). 원색 한국식물도감. 서울: 교학사. p.134.
  17. 이영노, 이경재, 진용만(2001). 제주자생식물도감. 서울: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여미지식물원. p.46.
  18. 이유미(1996).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나무 백가지. 서울: 현암사. pp.105-110.
  19.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pp.77-78.
  20. 이창빈, 안병국, 이상인, 홍원식 감수(1977). 국역본초강목(國譯本草綱目) 1-3권. 서울: 행림출판사.
  21. 이춘선(2006). 일월산 산림자원식물의 분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03.
  22. 정태현(1942). 조선삼림식물도설. 서울: 조선박물연구회.
  23.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편저(1937). 조선식물향명집. 서울: 조선식물연구회.
  24. 조재명(1992). 한국수목도감. 서울: 임업연구소. p.114.
  25. 황성곤(1987). 진달래의 시기별 삽목발근 능력의 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5.
  26. Dirr, M. A.(1990). The Reference Manual of Woody Plant Propagation. Illinois: Stipes Publishing Company. pp.223-225.
  27. Dirr, M. A. and C. W. Heuser, Jr.(1987). The Reference Manual of Woody Plant Propagation. Georgia: Varsity Press, Inc. pp.107-108.
  28. 산림청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b11.lea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