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andscape Architecture Historical Significance of Reung Chambong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능참봉직(陵參奉職)의 조경사적 의의

  • Received : 2011.05.15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of base study for ascertaining landscape architect's role of Reung Chambong through analyzing old literature include Kyungkukdae-Jeon, Sokdae-Jeon, Daejeonhoitong, Joseonwangjo-Sillok, Eugye, Reung-Ji, Ilsung-Rok, Reung Chambong's diary. Reung Chambong was a government post in the Joseon dynasty, who managed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that has promoted as a World Heritage of UNESCO.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ung Chambong was comprised of two Jong 9 pum Chanmbong members. a position of Reung Chambong was a Eumjik appointed Saengwon, Jinsa, Yuhak completed Sammang. the standards of appointment is a experienced person and too young. it became means for accessing a government post because it had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Royal Tombs guardian. Second, The management system of Reung Chambong was approved on the basis of ranking. however, due to geographical reasons, they had much authority and various mission than is possible. for example, construction supervisor of the Reung and Bongsim, manager of the Reungsuhogun and filling out Reungji. they performed an important role in management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Third, One of tasks related in landscape architecture, a Bongshim reported Sukmul(stonework), Sacho, Jungja-Gak of Reungsang to Yejo periodically. formational system and method of Bongshim are provided in the Kyungkukdae-Jeon and Sokdae-Jeon detailedly. Fourth, Tree management and construction supervisor of Reungsang, positions among tasks related in landscape architecture, required basic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ability of botany, various eye for spatial perception includes civil and architectural projects. also, as a site management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Reung Chambong was empowered tacit authorization and responsibility in mobility preoccupancy of vertical relationship with local officials and handling by-product of site. there is a close correspondence with landscape architect of today. A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to ascertain landscape architect historical values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and Reung Chambong's role as a site management of Royal Tomb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historical seeking and research old literature on Reung Chambong's role related in landscape architect.

본 연구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의 관리를 담당한 관직인 능참봉직을 소재로 하여 "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각종 의궤(儀軌), 능지(陵誌), "일성록", 능참봉 일기 등 관련 고문헌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능참봉의 조경가적 역할을 규명하는 기초연구로 수행되었으며, 요약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참봉(陵參奉)은 종9품 참봉 2인으로 구성되고 능참봉직은 생원 진사 혹은 유학중에 삼망(三望)을 거쳐 임명이 되는 음직(蔭職)으로 임용기준은 '연소하지 않고 경륜이 있는 자'를 선발하였으며, 왕릉수호의 상징성으로 인해 관직진출의 수단이 되었다. 둘째, 능참봉의 업무체계는 품계서열을 따랐으나 지리상의 여건 등으로 봉심과 능의 공사감독 등 실제보다 많은 권한과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였으며, 능수호군 관리 및 능지작성 등 조선왕릉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셋째, 능참봉의 조경관련 직무 중 봉심은 능상의 석물이나 사초, 정자각 등을 정기적으로 예찰하여 예조에 보고하는 것이며, 경국대전과 속대전에 봉심의 체계와 방법 등이 자세히 규정되어 있었다. 넷째, 능참봉의 조경관련 직무 중 수목관리 및 능역공사 감독은 조경식물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관리능력과 건축 토목을 망라한 공간에 대한 다양한 식견이 요구되는 직무로 조선왕릉의 현장관리 실무자로써 지방관과의 수직적인 관계의 유동성 확보와 산림부산물 처리에서 암묵적 권한과 관리 책임이 부여되었으며, 오늘날 조경가의 직무성향과 관련성이 깊다. 능참봉의 조선시대 조경관련 직무에 대해 좀 더 폭넓은 문헌 발굴 및 고증으로 조선시대 능참봉의 조선왕릉 조경관리자로서의 역할과 능참봉과 조선왕릉의 조경사적 가치 규명을 위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숙(2005). 18세기 陵參奉金斗璧의 관직생활과 王陵守護. 규장각. Vol. 28.
  2. 김규연, 정기호, 최종희(2011). 조선시대 신로, 어로 형식에 관한 연구 : 비정형 신로, 어로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38-49.
  3. 김양호(2010). 명승 전문가 워크숍 개최를 위한 자문회의록(미발표). 문화재청.
  4. 김영모, 이선(2004). 고증을 토대로 한 서오릉 능역시설의 정비방안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70-87.
  5. 김진태(2009). 풍수론적 해석을 통한 조선왕릉 문화에 대한 연구 : 서오릉 입지 사례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효경(2002). "頣齊亂藁"를 통해 본 조선후기 사회사 : 조선후기 능 참봉에 관한 연구 : "頣齊亂藁" 장릉참봉 자료를 중심으로. 古文書硏究. 20: 217-225.
  7. 김철완(2009). 조선왕릉에 관한 풍수연구 : 좌향론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흥년, 심우경, 최종희(2007). 홍유릉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3): 92-104.
  9. 김흥년(2009). 조선왕릉 연지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대한민국(2007). 조선왕릉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
  11. 목을수(1988). 고려, 조선능지. 서울: 문성당.
  12. 문화재청(2006). 한 권의 수첩 핸드북으로 만나는 조선왕릉. 문화재청.
  13. 문화재청(2009). 태릉・강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14. 문화재청(2009). 서삼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15. 문화재청(2009). 파주 장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16. 문화재청(2009). 서오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17. 문화재청(2009). 선릉․정릉(貞陵, 신덕왕후)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18. 문화재청(2009). 파주삼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19. 문화재청(2009). 융릉.건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20. 문화재청(2009). 온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21. 문화재청(2009). 조선왕릉 경관포인트 선정 및 문화컨텐츠 마련 연구 보고서. 문화재청 보고서.
  22. 문화재청, ICOMOS 한국위원회(2010). 조선왕릉 능제복원 기본계획 연구. 문화재청 보고서.
  23. 박동석, 엄태건, 표기만, 이한영, 최종희(2008). 태․강릉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2): 61-69.
  24. 신광철(2005). 조선시대 왕릉의 석인․석수 조형성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신현실, 이원호, 전나나(2011). 조선시대 능참봉의 조경가적 역할. 한국전통조경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논문발표회 초록집. pp.117-121.
  26. 심우경, 김송아, 류경민, 최종희(2007). 융건릉 일원의 입지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65-75.
  27. 양관 저, 장인성.임대희 역(2005). 중국역대 능침제도. 서울: 서경.
  28. 이병유(2008). 왕에게 가다. 서울: (주)지오마케팅.
  29. 이선, 김영모(2004). 조선시대 능역 공간의 식생 및 관리 사실에 관한 연구: 서오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88-101.
  30. 이영(1992). 조선시대 왕릉 능역의 건축과 배치형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원호, 신현실, 전나나(2010). 능참봉 관련 기록을 통해본 조선왕릉의 녹지관리 정책. 한국환경과학회 2010 정기학술발표회 논문집. 19권.
  32. 이재영(2010). 조선왕릉의 풍수지리적 해석과 계량적 분석 연구. 동방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이창환(1999). 조선시대 능역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이창환, 이상필, 정종수, 전혜원, 김규연, 최종희(2009). 조선왕릉의 능제복원 연구: 태릉.강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59-71.
  35. 이창환, 정종수, 이원호, 최종희(2010). 조선왕릉의 능제복원 연구 : 김포 장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86-97.
  36. 이창환, 정종수, 이원호, 최종희(2010). 조선왕릉의 능제복원 연구 : 융릉․건릉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3): 39-52.
  37. 엄지혜(2008). 조선시대 왕릉 재실의 배치 및 평면형식의 시대적 변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임병을, 심우경, 최종희(2009). 김포 장릉 주변지역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을 고려한 경관보존․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18-29.
  39. 은광준(2010). 조선왕릉 석물복식: 세계문화유산. 서울: 민속원.
  40. 전나나(2009). 조선왕릉 석인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전영옥(2003). 조선시대 도시조경론. 서울: 일지사.
  42. 정수환(2008). 조선후기 능참봉의 경제생활의 실제 : 18세기 황윤석의 頣齊亂藁를 중심으로. 민족문화논총. 18권.
  43. 조송래(2006). 조선왕릉 금천교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조운연(2009). 조선왕릉의 능역 복원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최종희, 김규연, 김흥년(2008). 홍유릉의 현상변경 실태 및 경관가시성․토지이용을 고려한 경관보존․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3): 24-40.
  46. http://100.naver.com(네이버백과사전).
  47. http://royaltombs.cha.go.kr(문화재청 조선왕릉전시관).
  48. http://sillok.history.go.kr(조선왕조실록).
  49. http://www.chosun.com(조선일보).
  50. http://www.itkc.or.kr
  51. http://www.history.go.kr/1922년 12월 13일 조선일보 기사
  52. 경국대전 권지1(1471).
  53. 속대전 권지 1(1746).
  54. 대전회통(보경문화사 2007발행본)
  55. 일성록(한국학술정보 2008발행본)
  56. 頣齊亂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