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Yongsan Governor General Official Residence in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History

용산 총독관저 정원의 조경사적 의의

  • Kim, Hai-Gyoung (Wul Landscape Architecture Office) ;
  • Yu, Joo-E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김해경 (조경작업소 울) ;
  • 유주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05.1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governor general's official residence and its garden in Yongsan that were construc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al time. The garden design drawing was also made while planning such Neo-Baroque style building, and it contains particular information of the garden unlike the other existing landscape drawings. The content of garden translated and landscape historical value drawn out by analysis of garden drawings, press articles and literatures are as follows; First, such governor general's official residence garden in Yongsan is likely to be the Korean first western style landscape form. For, from the point that it was completely constructed together with such official residential building in 1909, its construction time should be before that of the garden of Seokjojeon, Deoksu Palace, which was constructed in 1911. Second, it shows the garden style and garden planting factor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modern architecture then. Such garden planting factors are placed from the center axis of the garden that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building and monument as well. Such style and factors cover and show the flower bed appearing in Baroque style gardens, the monument that forms Vista playing the center of audience's vision, water space that is placed symmetrically against the axis, planting pattern that emphasizes the plants' space, flower bed shape and axis, and what kinds of plants were introduced then. Third, it shows the using pattern of western style gardens. Western style garden parties used to take in place in this garden while official dinner and reception were held in the evening in the official residence. Fourth, it shows the historical value as a modern landscape drawing, which is the Korean first landscape drawing that shows the plants' names and planting techniques marking the current height and planned height for change of topography and water system as a water landscape factor. That is, this drawing has the value that it was upgraded from the other existing ones that expressed only simple plants' symbols or flower bed shapes. I, therefore, hope that the studies on the modern landscape would be getting wider by excavation of new historical record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에 조영된 용산 총독관저와 그 정원에 관한 연구이다. 네오바로크풍의 건물과 정원이 계획되었는데, 이때 작성된 설계도면은 기존과는 달리 정원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용산 총독관저 정원설계도면의 해석과 신문기사 관련 문헌을 통한 분석으로 도출한 조경사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산 총독관저 정원이 근대시기에 조영된 최초의 서양식 정원으로서의 가능성이다. 건물과 함께 정원이 1909년에 완성되어 1911년 조영된 덕수궁 석조전 정원보다 시기적으로 앞선다. 둘째, 당시 근대건축과 함께 도입된 정원 양식과 정원 구성요소를 알 수 있다. 건물의 중심과 정원 진입부의 기념비가 연결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정원구성요소가 배치되었는데, 시각적 중심이 되는 비스타(Vista)를 이루는 기념비, 바로크 정원에서 보이는 화단 형태, 축과 대칭으로 배치된 수공간, 화단 형태와 축을 강조한 배식 패턴이 이에 해당한다. 셋째, 서양정원문화의 전파이다. 서양식 문화인 가든파티 형식의 원유회가 열렸으며, 관저에서는 저녁시간대에 만찬과 의전 행사를 진행하였다. 넷째, 근대 조경도면으로의 사료적 가치이다. 도입 수종과 배식 패턴을 구분한 최초의 근대 조경도면으로 기존의 간략한 수목 심벌 또는 화단 형태의 표기에서 진일보한 표현이다. 부차적으로 지형 변형을 위한 현재 표고와 계획고, 수경요소의 배관, 상세 단면 등이 표기되어 있다. 향후 근대조경의 실질적인 분석을 위해서 새로운 사료의 발굴과 분석으로 근대조경에 대한 연구의 폭이 확대되길 바라는 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2009). 일제시기 작성 건축 도면 해제집(II). 서울: 국가기록원.
  2. 김봉수(2001). 서울 용산의 경관 변화에 관한 연구 -조선후기부터 일제시대까지-. 지리교육논집. 45: 26-44.
  3. 김해경(2010). 효창공원의 장소성 형성과 변천 해석. 서울학연구. 39: 79-117.
  4. 藤村德一(1927). 거류민지석물어(居留民之昔物語). 경성: 조선이석회 (朝鮮二昔會).
  5. 문화재청(2010). 덕수궁 복원 기본계획 보고서.
  6. 부산박물관(2010). 사진엽서로 보는 근대풍경. 서울: 민속원.
  7. 서울역사박물관(2006). 서울지도. 서울: 예맥출판사.
  8. 손정목(2003). 서울 도시 계획 이야기 1권. 서울: 한울.
  9. 신주백(2007). 용산과 일본군 용산기지의 변화(1884-1945). 서울학연구. 29: 189-218.
  10. 이순우(2010a). 통감관저, 잊혀진 경술국치의 현장. 서울: 하늘채.
  11. 이순우(2010b). 불가사의 아방궁, 용산 총독관저. 시사저널 1103호. pp. 93-94.
  12. 이정희(2009). 대한제국기 원유회 설행과 의미. 한국음악연구. 45: 353-389.
  13. 전우용(2008). 서울은 깊다. 서울: 돌베게.
  14. 조경비평 봄(2010). 공원을 읽다. 서울: 나무도시.
  15. 仲摩照久(1930). 일본지리풍속대계 17권 조선편. 경성: 신광사
  16. 철도청(2003). 사진으로 보는 해방이전의 철도역사. 서울: 철도청공보담당관실
  17. 최기수.이상석(2002). 조경시공 구조학. 서울: 일조각
  18.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조경문화사. 서울: 대가.
  19. 한국조경학회편(1999). 조경설계론. 서울: 기문당
  20. 한동수(2005). 서울 용산 지역의 도시화 과정에 관한 연구 -개항이후부터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4): 21-37.
  21. 한소영(2010). 덕수궁(경운궁)의 혼재된 장소성에 관한 연구 -대한제국시기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45-56.
  22. 동아일보 1922년 11월 1일 기사.
  23. 동아일보 1922년 4월 16일 기사.
  24. 동아일보 1923년 3월 22일 기사
  25. 동아일보 1932년 8월 30일 기사.
  26. 동아일보 1934년 7월 13일 기사.
  27. 동아일보 1937년 11월 13일 기사.
  28. 동아일보 1959년 12월 3일 기사.
  29. 동아일보 1969년 1월 18일 기사.
  30. 매일신보 1935년 7월 11일 기사.
  31. 신한일보 1909년 4월 28일 기사.
  32. 신한일보 1916년 6월 15일 기사.
  33. http://ehistory.korea.kr
  34. http://sillok.history.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