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Characteristics of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Voucher Service as a Quality Element

사회서비스 품질 요소로서 제공인력의 근무특성 : 노인돌보미 바우처 사업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0.09.10
  • Accepted : 2010.11.15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ob characteristics of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voucher service emphasizing a social service quality management approach. The study sample was composed of randomly-selected 233 centers which dispatched care staffs to clients' home. Descriptive analyses were performed for examining the unique aspects of relationship-based labor of care staff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for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service quality structure and human right violation against staffs. As the first empirical study focusing on staff-side service quality factors, this study found out that human right violation against staffs was mainly influenced by record-keeping and document management capacity of center, risk protection under insurance, compliance of standard contract procedure, and regular supervision. These results suggest particular policy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basic protection for and set-up of core activity boundaries of care workers as well as clients-centered rights both for preventing human right violation and improving overall social service quality.

이 논문은 최근 사회서비스 영역에서 강조되고 있는 사회서비스 품질관리 접근과 관련하여 노인돌보미 바우처사업 종사자의 근무특성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그 동안 수행된 대부분의 사회서비스 품질관리 연구들이 이용자 측 요소에 집중되었던 반면, 본 연구는 2007년부터 시행된 4대 전자바우처 서비스의 하나로서 재가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노인돌보미 바우처 사업"에 종사하는 일선 돌봄노동자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서비스 공급인력 측 요소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특히 재가서비스 환경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이용자-종사자 간 관계적 특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돌봄 제공자 요소를 서비스 품질요소의 하나로 주목하고 이용자의 주거지에서 서비스를 수행하는 돌보미의 근무특성을 살펴본 최초의 실증적 연구로서, 서비스 수행인력 그 중에서도 일선 돌봄노동자에게 적절한 근무여건과 분명한 업무영역을 설정해 주는 것이 서비스 품질향상에서 간과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는 것을 강조하였다. 사회서비스관리센터(2008)가 실시한 223개 서비스 제공기관 현황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가 돌봄서비스 품질 구성요인 중 과정과 구조 요소를 독립변수로 하고 돌보미의 인권침해 경험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준계약서를 비롯하여 각종 문서를 철저히 기록 및 관리하는 행정역량을 갖추고, 월 1회이상 수퍼비젼을 주는 기관에 소속한 도우미는 인권침해 경험 확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서비스 품질관리에서 이용자권리와 더불어 종사자 안전과 권리보호가 균형있게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희 (2008) "감정노동과 서비스노동의 물질성: 대인 서비스노동" 신광영.이병훈 외 서비스사회의 구조변동 한울아카데미, 163-190.
  2. 김근홍.박준기 (2010) "노인 돌보서비스 관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노년학 30(1): 195-220.
  3. 김은정.최은영.정소연 (2008) 사회서비스 품질접근 동향과 품질표준 설정 보건복지가족부.(재)사회서비스관리센터.
  4. 김은정.정소연 (2009) "SERVQUAL 모형에 근거한 사회서비스 품질의 구성차원과 서비스 만족도" 사회복지정책 36(2): 191-217.
  5. 김인숙 (2010) "노인의 가족유형별 돌봄서비스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2(2): 1-30.
  6. 문순영 (2008) "돌봄노동 일자리의 일자리 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정책 33: 207-237.
  7. 박기남 (2009) "유료 재가노인 돌봄노동과 돌봄관계의 특성" 가족과 문화 21(3): 73-107.
  8. 박영란 (2007) "돌봄노동 여성의 욕구와 노인요양보장 정책" 한국사회보장학회 23(1): 27-56.
  9. 보건복지부 (2008) 2008년도 노인돌보미서비스 사업안내.
  10. 보건복지부 (2010) 2010년도 노인돌봄서비스 사업안내.
  11. 사회서비스관리센터 (2008) 사회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품질 및 성과관리체계 구축방안.
  12. 유호선 (2007) "노인요양보호제도와 보살핌노동인력 특성-복지 레짐별 비교연구" 사회복지정책 29(4): 217-249.
  13. 이유재.라선아 (2006) 한국기업의 서비스 품질 평가제도 변천과정 서울대출판부.
  14. 장혜경.김영란.조현각.김고은.박경희 (2007) 공식영역의 돌봄노동 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5. 장혜경.김영란.김필숙 (2008) 돌봄노동의 분야별 제도화 방안연구: 가족내 아동돌봄도우미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6. 최은영 (2006) "사회서비스의 정책적 쟁점" 정경희 외 한국의 사회서비스 쟁점 및 발전전략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80-124.
  17. 최희경 (2009)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개념의 노인 돌봄 서비스직에 대한 적용"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27-57.
  18. 한인섭 (2009) "성과지표와 고객만족도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3(2): 177-200.
  19. Enjolras, B. (2007) General Interest and Social Services in the European Union. Working Paper on Conference "Social Services of General Interest in the European Union-Assessing their Specificities, Potential and Needs."
  20. European Commission (2007) Social Protection in EU: Social Services of General Interest Feedback Report to the 2006 Questionnaire of the Social Protection Committee.
  21. Kelly, J. M. and D. Swindell (2002) "A Multiple-indicator Approach to Municipal Service Evalu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2(5): 610-621. https://doi.org/10.1111/1540-6210.00241
  22. Kittay, E. F. (1999) Love's Labor: Essays in Women, Equality, and Dependency Routledge: New York.
  23. Wunderlich, G. S. and P. O. Kohler (eds.) (2001) Improving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