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ving Meals Together? Stories of Couples of Pre-Retirement Age

준고령층 부부의 식사관련행위

  • Received : 2010.10.05
  • Accepted : 2010.12.02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atterns of meal related activities of couples of pre-retirement age in Korea. Using 2004 Time Use Survey of Korea conducted by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 couple have breakfast and dinner together, who prepares the meal and who does the dishes after meal. The descriptive and statistical analysis, as expected, shows the patterns of such activities are heavily influenced by the working status of the couple. Currently working men or women are less likely to have meals together nor do participate in preparing meals or doing dishes. Nonetheless, it is apparent that women are more likely to involve preparation and clean-ups regardless of their working status. As a whole, the activities of meal preparation and doing the dishes remains in the domain of women's work while the proportion of married women working outside home is substantial.

이 연구는 남성들의 은퇴가 활발히 일어나는 연령층 부부들의 식사 및 관련 행위를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가사노동을 다루어 온 많은 연구들과 중첩되는 측면이 있으나, 식사준비, 식사행위, 설거지 등의 개별항목을 끼니별로 접근함으로써 일상적인 삶의 구체적인 모습에 한걸음 더 다가가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기존연구와는 달리 개인의 특성과 함께 부부나 배우자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한국통계청이 실시한 2004년도 생활시간조사자료 중 40대 후반부터 60대 후반 사이의 기혼여성들과 그 배우자들의 식생활행위를 분석해 본 결과, 부부의 식사행위, 식사준비 및 설거지 양상 등은 무엇보다도 부부의 취업형태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부부의 취업형태를 중심으로 볼 때, 부부가 함께 식사하는 비율이 가장 낮은 것은 부인만 취업한 상태이다. 은퇴연령층에서 부인만 취업하고 있다는 것은 이들이 식당 등과 같은 서비스업에 종사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부부가 함께 식사할 수 있는 기회가 적음을 의미한다. 한편, 부인만 식사준비 하는 비율은 부인만 취업한 경우가 다른 경우보다 낮게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인만 취업한 경우에도 부인만 식사를 준비하는 사례가 절반 정도에 이른다. 부인만 설거지를 하는 비율 또한 식사준비를 하는 비율의 패턴과 유사하다. 이 비율 또한 부인만 취업한 경우에 가장 낮지만, 상당 수준에 이른다. 이를 통해 볼 때 식사준비와 설거지를 하는 해당 연령층 부인들의 비율은 취업상태에 따라 분명한 차이를 보이지만 대체로 이들 행위들은 여성들의 몫으로 남겨져 있다. 이는 다시 가족 내 식사준비와 설거지 등과 같은 일상적인 삶의 행위가 가족내 성역할을 반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태희 (2006) "여성 무급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 한국여성경제학회 8: 1-20.
  2. 김정석 (2005) "한국 중년 남녀의 무급노동내용과 시간량" 한국인구학 28(1): 173-201.
  3. 김주현 (2007) "생활시간사용으로 본 노년기 생산적 활동" 한국노년학 27(4): 739-754.
  4. 김진욱 (2006a) "한국노인의 생산적 활동에 관한 실증연구-1999년과 2004년 생활 시간조사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5: 133-158.
  5. 김진욱 (2006b) "한국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149-177.
  6. 김효정 (2001) "기혼여성 재택근무자와 직장근무자의 가사노동 시간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83-96.
  7. 문숙재.윤소영.김은희 (2002) "무보수 가사노동의 국민경제에 대한 기여도" 대한가정학회지 40(10): 161-176.
  8. 박민자.손문금 (2005) "고령여성과 남성의 일상생활: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1: 121-145.
  9. 박수미 (2007) "한국고령자의 생활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젠더 차이" 여성연구 72(1): 5-30.
  10. 박충선 (1998) "노년기의 생활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8(2): 30-46.
  11. 손문금 (2005a)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페미니즘연구 5: 239-289.
  12. 손문금 (2005b)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8(1): 277-311.
  13. 손문금 (2010) "서울시민의 이동행동에 있어서의 젠더차이: 생활시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1): 1-25.
  14. 양영순 (2007)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의 시간사용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6: 1-26.
  15. 은기수 (2009)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 32(3): 145-171.
  16. 이종희.이연숙 (2002) "주휴무제에 따른 기혼남녀의 주말 생활시간구조와 여가시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165-177.
  17. 정경희 (2001) "노인의 생활시간 배분실태" 보건복지포럼 56-70.
  18. 정순희 (2005) "노인의 생산활동수준 및 관련변수의 분석: 한국과 캐나다 비교" 한국노년학 25(2): 155-170.
  19. 조성은.문숙재 (1998) "기혼 남성들의 가사노동 참여 유형에 관한 사례 연구-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35-47.
  20. 차성란 (1998) "부부의 성역할태도가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및 노동공정성 인지에 미치는 상호작용적 영향력" 대한가정학회지 36(9): 139-152.
  21. 차승은 (2010) "남녀의 시간압박인식 차이와 관련요인 탐색" 한국인구학 33(1): 27-49.
  22. 채로.이기영 (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23. 허경옥 (2004) "가정생산 위성계정 개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1): 5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