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ignificance of the Chromatic Value of the Color White

흰색의 의미와 적용에 대한 기초 연구

  • 박현주 (상명대학교 조형예술학부) ;
  • 나지영 (상명대학교 조형예술학부)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Being an element of plastic arts and a language of plastic forms, the color white has significant potentia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hysical environment. Colors are dealt with scientifically in chromatics, and also often become an interesting topic when analyzing a society and its history and culture. Thus, an in-depth study of the symbolism of color white and, of white pigment are required because the color has not only an important chromatic value and this should be understood a great deal, but also been the important symbol of a culture in a particular period. This paper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color white identified in Asian and Western cultures based on scientific and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olor. This also analyzed a few major white pigments, then demonstrated different methods of using the pigments and various techniques of expression used by Asian and Western painters. In addition, the paper attempted to raise awareness of the color white as chromatic color over non-color by examining the contrasting viewpoints on the color, and the changes in the viewpoints over time and place.

흰색은 조형적으로 활용 시 색으로써 중요한 요소 이며 시각언어로 활용되어 우리의 시각 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이며 동시에 정신적인 색채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흰색의 개념 및 동·서양시대에 따라 다른 흰색의 의미변화를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다. 과학적 지식인 색채학에서 흰색과 색으로 표현 할 수 있는 재료인 특정 흰색 안료도 함께 분석하고 동 서양화가들이 다루었던 흰색의 사용법과 표현법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시대에 따른 흰색의 의미와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시대나 문화에 따른 흰색의 표현과, 그것의 다양한 상징과 의미의 이해 확대는 흰색의 미묘한 다양성을 인지하고 동시에 효과적인 색채 배색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것은 다양한 조형 분야의 응용에 적용이 되며 특히 각기 다른 재질감을 갖는 흰색 섬유에 있어 시각적 효과를 다양하게 이용한 디자인으로 유도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희, 정관채, 자연염색공예, kcpf, 2009.
  2. 나지영, <우리나라 색채의 상징성과 그 적용사례에 대한 연구>, 한국 기초 조형학회 Vol.9, No.2, 2008.
  3. 노무라 준이치 저, 김미지자 역, 색의 비밀, 국제, 2005.
  4. 데이비드바츨러 저, 김융희 역, 색깔이야기, 아침이슬, 2002.
  5. 동병종 저, 김연주 역, 서법회화, 미술문화, 2005.
  6. 만리오 브루자틴, 색 역사와 이론을 중심으로, 미진사, 1996.
  7. 문은배, 색채의 이해, 국제, 2002.
  8. 문은배, 색채의 활용, 국제, 2002.
  9. 박연선 저, 국립 국어원 감수, COLOR 색채 용어사전, 예림, 2007.
  10. 박은주 편저, 색채조형의 기초, 미진사, 2001.
  11. 사라 E 브래독, Techno Textile, 예경, 2002.
  12. 신항식, 색채와 문화 그리고 상상력, 프로네시스, 2007.
  13. R. J. Gettens and G. L. Stout, Painting Materials : A Short Encyclopedia, Dover Publications, 1966.
  14. 에바헬러 저, 문은배 감수, 이영희 역, 색의 유혹 1, 예담, 2002.
  15. 이양섭, <조선시대 사용된 안료의 색 복원 연구>, 건국대학교 생활문화연구소 논집 Vol.20, 1998.
  16. 장은지, <회화에 사용된 백색 안료의 연구>, 용인대 예술대학원 문화재 보존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17. 정종미, 우리 그림의 색과 칠, 학고재, 2001.
  18. 전창림, 미술관에 간 화학자, 랜덤하우스코리아, 2007.
  19. 지순임, 중국화론으로 본 회화미학, 미술문화, 2005.
  20. John Gage, Color And Culture, Thames and Hudson Ltd. 1999.
  21. Joy Richardson, Looking At Pictures, Harry N Abrams Inc, 2004.
  22. 파버 비렌 , 색채심리, 동국출판사, 2003.
  23. 프랑크 H만케 저, 최승희, 이명순 역, 색채, 환경 그리고 인간의 반응, 국제, 2002.
  24. 하용득, 한국의 전통 색과 색채심리, 명지사, 1997.
  25. http://www.colorsystem.com/
  26. http://www.color.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