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eaching Figures Based on van Hiele's Theory - Focused on the 4th Graders -

van Hiele의 학습단계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의 도형지도 방안연구

  • Seo, Eun-Young (Tong-young Elementary school) ;
  • Chang, Hye-Won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0.10.22
  • Accepted : 2010.11.17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geometrical thinking levels of students to make a contribution to teaching figures effectively. To do this, we checked the geometrical thinking levels of fourth-graders, developed a teaching program based on van Hiele's theory, and investigated its effect on their geometrical thinking levels. The teaching program based on van Hiele's theory put emphasis on group member interaction and specific activities through offering various geometrical experiences. It contributed to actualizing activity-centered, student-oriented, inquiry-oriented and inductive instruction instead of sticking to expository, teacher-led and deductive instruction. And it consequently served to improving their geometrical thinking levels, even though some students didn't show any improvement and one student was rather degraded in that regard - but in the former case they made partial progress though there was little marked improvement, and in the latter case she needs to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her affective aspects above all.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 variances in thinking level should be recognized by teachers. Students who are at a lower level should be given easier tasks, and more challenging tasks should be assigned to those who are at an intermediate level in order for them to have a positive self-concept about mathematics learning and ultimately to foster their thinking levels.

학생들은 학교수학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도형과 관련하여 다양한 사고를 하게 되며 학생들의 사고 수준의 파악은 교수-학습 효과로 직결되기 때문에 도형 지도와 관련하여 van Hiele의 기하 사고수준 이론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기하 사고 수준의 도약적 특성 때문에 서로의 의사소통 불가능성까지 감안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고려하면 지도하고자 하는 학생의 기하 사고 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뿐만 아니라 그들의 사고 수준 향상을 위해서 어떠한 지도 내용 및 방법을 구현해야 하는가도 핵심적인 기하 영역의 교육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 통영의 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기하 사고 수준을 고려한 도형 단원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여 적용함으로써 사고 수준의 변화를 관찰하고 수업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사고 특성 및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덕수 (2007). van Hiele 수준이론의 고찰과 GSP를 활용한 수업에서의 수준변화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복자 (2000). 사고 수준을 고려한 도형 영역의 교수학습 효과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선렬 (1992). 국민학교 기하학습에 van Hieles 이론의 적용을 위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원덕 (2007). 탐구학습을 위한 교과서 재구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자경 (2005). van Hieles의 기하 학습 사고 수준 이론을 적용한 도형 학습이 합동 변환의 이해력과 기하 수준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현미 (1999). 반 힐레 이론에 근거한 초등학교 도형 지도.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류성림 (2000). 수학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도형 영역의 교수 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과학 수학 교육연구소.
  8. 백은자 (2006). 초등수학에서 유시스킨의 반 힐레 수준 검사지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양규모 (2002). van Hieles 이론에 근거한 도형학습 수준 분석과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길섭 (2004). 초등학교 기하학습 향상을 위한 지도방안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이민호 (2005). van Hiele의 수준이론을 이용한 도형영역의 효과적인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조성실 (2007). 즐거운 수학 시간 만들기2. 서울: 우리교육.
  13. van Hiele, P. M.(1986). Structure and insight -A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Academic pres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