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me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of Maximum Requirements of Animation Broadcasting

애니메이션 총량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Published : 2010.01.28

Abstract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olutions about the problems of maximum requirements of animation broadcasting. About 10 experts of broadcasting, animation production, animation related professor and researcher and government take part in this study and discuss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of maximum requirements of animation broadcasting from January to march in 2009. This policy introduced 4 years ago had the positive effects such as the increase of animation production and the number of animation production company, but also the negative effects such as continuous decrease of rating in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transferring to low rating time slot of animation, downward equalization of animation and changing to minimum securement method. This study suggested the solutions as follows; first the enlargement of this policy to cable and satellite broadcasting, second introducing incentive policy in prime time, third the subsidy of media oriented investment. Finally this study stressed that this solutions should not be compulsory order but voluntary system.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총량제 시행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그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방송업계종사자, 애니메이션업계 종사자, 애니메이션전공 교수, 관련 연구자, 관련 정부부처 등 관련전문가 10여명이 2009년 1월부터 3월까지 8차에 걸쳐 총량제에 대한 토론을 거치면서 문제점과 대안을 마련하는 전문가 인터뷰와 집단 회의를 통한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총량제가 도입된 지 4년이 지나면서 신규애니메이션 제작물량의 증가, 기업체수의 증가 등의 양적인 팽창을 보여 왔으나 시청률의 지속적인 하락, 시청률이 낮은 시간대로의 애니메이션 방송, 애니메이션의 질적 하향 평준화, 총량제의 지상파 한정, 최소물량 확보수단으로 변질 등의 한계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한계점에 대해 다음과 같은 3가지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케이블 및 위성으로의 총량제 확대, 둘째 프라임타임대 방송의 인센티브제공, 셋째 미디어 주도형 투자 지원 등이다. 특히 이 연구는 이러한 애니메이션 정책은 강제규정이 아니라 지원제도로 시행함으로써 업계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시장원리가 적용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윤경, 국내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후속시장 진입성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2. 고상원, 디지털 경제에서 경제 각분야의 구조변화 및 대응방안(III),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3. 성동규, 노창희, "국내 방송콘텐츠 유통활성화 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8권, 제3호, pp.271-313, 2008.
  4. 김재영, "국내 외주제작 정책에 대한 평가와 반성", 방송문화연구, 15권, 2호, pp.161-183, 2003.
  5. 이효용, 21세기 한국 디지털 트렌드: IT가 문화 소비, 생산 유통에 미친 영향, 정보통신정책 연구원, 2005.
  6. 전창록, 애니메이션 총량제 분석 및 산업육성정책 연구, 문화관광부, 2007.
  7. 김영재, "뉴미디어 환경변화에 따른 애니메이션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 애니메이션연구, Vol.4 No.2, pp.29-51, 2008.
  8. 주정민, "방송통신 융합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와 공익성", 한국언론정보학회보, 통권 36호, pp.109-132, 2006.
  9. S. Youn, "Program type preference and Program choice in a multichannel situatio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tronic Media, 38, pp.465-476, 1996. https://doi.org/10.1080/08838159409364279
  10.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애니메이션백서 2006, 2008년
  11. http://www.tnsm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