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ole of the Korea Media Industry in the Nation Economy Analysis

국내 미디어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 Published : 2010.01.28

Abstract

The media industry is becoming more important around the world and there are changes over this industry. Therefore this is the time that the economic impacts is needed about media industry.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media industry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 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inducing effect of the media industry based on demand-driven model and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of the media industry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The results of this analyses are presented; 0.5461 won in production-inducing effect, 0.3143 won in value added inducing effect when 1 won is produced by media industry, 5.0459 persons in employ-inducing effect when 1 billion won is produced, 1 won of supply shortage in this industry results 0.7353 won in supply shortage effect which affect the other industries. Sectoral price effect is 0.2389% due to the 10% increase of price.

전 세계적으로 미디어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미디어산업의 전반적인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산업에 대한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이 필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미디어산업을 분석하였는데,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구하였고, 공급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공급지장효과를 구하였고,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이용하여 물가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미디어산업의 1원의 생산에 대하여 경제전체에 생산유발효과는 0.5461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0.3143원 유발하였으며, 10억원당 취업유발은 5.0459명, 미디어산업에 1원의 공급지장이 생기면 국민경제전에 미치는 공급지장효과는 0.7353원으로 나타났으며, 10%의 가격상승에 의한 물가파급효과는 0.2389%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000.
  2. 김대호, “미디어 산업의 방송.신 융합 대응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4호, pp.7-39, 2002.
  3. 권호영, 미디어산업의 성장과 변화,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5.
  4. 권기덕, 인터넷이 바꾸는 미디어산업. 삼성경제연구소, 2006.
  5. 민용식, 임응순, 곽소윤,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일본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아시아연구, 제10권, 제3호, pp.109-131, 2008.
  6. 정군오, 임응순, “한국 철강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pp.831-839, 2008. https://doi.org/10.5762/KAIS.2008.9.3.831
  7. 유승훈. “정보통신산업의 국민경제적 산업파급효과 분석”. Telecommunications Review, 제13권, 제3호, 347-359, 2003.
  8. 유승훈, 임응순, 구세주, “광고산업의 국민경제적 산업파급효과 분석”, 광고연구, 제78호, pp.189-214, 2008.
  9. 유승훈, 임응순, 정군오,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방송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9권, 제1호, pp.134-158, 2008.
  10. 임응순, 정군오, “한국 미디어 산업의 분석 :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제22집, pp.125-149, 2009.
  11. 정시연, 최계영, 홍동표. 정보통신산업의 산업연관분석(1990-1998),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1.
  1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디어산업의 수직결합과 기업전략-다채널방송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2006.
  13. 한국은행, 2007년도 산업연관표, 2009.
  14.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07.
  15. A. Ghosh,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Economica, Vol.25, No.1, pp.58-64, 1958. https://doi.org/10.2307/2550694
  16. R. E. Miller and P. D. Blair,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Prentice-Hall, New Jersey, 1985.
  17. R. H. Wu and C. Y. Chen, "On the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to Energy Issues," Energy Economics, Vol.12, No.1, 71-76, 1990. https://doi.org/10.1016/0140-9883(90)90010-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