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인남(2004). 희망을 나누며 하나되는 우리동네 38: 서울시 관악구 임대아파트 마을만들기 사례. 국토연구원. 국토 273, 119-123.
- 강지원(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36: 안전한 거리조성, 주민모두 한마음-부천시 고강본동 '차없는 거리 조성사업'. 국토연구원. 국토 273, 105-111.
- 강찬호(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6: 광명시의 마을만들기는 '현재 진행형'. 국토연구원. 국토 269, 120-125.
- 구자인(2007). 기획특집: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주민주도 상향식의 농촌 마을 만들기-전라북도 진안군의 경험-. 도시와 빈곤 84, 55-68.
- 김기원(2001). 살기좋은 우리동네 6: 더불어 사는 자치마을을 꿈꾸며-광명시 하안동 하안주공아파트 5단지-국토연구원. 국토 241, 77-81.
- 김미영(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33: 우리가 꿈꾸는 녹색마을, 우리 손으로 만들어요-고양시 일산구 후곡마을. 국토연구원. 국토 268, 124-127.
- 김선기, 이소영(2007). 주민주도형 지역 만들기 추진 모형. 한국지방행정연구원.
- 김선직, 김동윤(2009). 마을만들기의 전략적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수도권연구 6, 29-54.
- 김연희(2002). 살기좋은 우리동네 16: 어린이에게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서울시 은평구 녹번동-. 국토연구원. 국토 251, 102-107.
- 김영, 이필용, 김남룡, 정규식(2008). 마을만들기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21(3). 87-108.
- 김종경(2002). 살기좋은 우리동네 14: 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한 작은 실험-춘천시 우두마을. 국토연구원. 국토 249, 56-60.
- 김진숙(2002). 살기좋은 우리동네 10: 놀이터에 새로운 문화가 꽃핀다-서울시 강북구 미아 3동-. 국토연구원. 국토 245, 138-143.
- 김태선(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8: 버려진 하천, 중랑천을 시민 곁으로. 국토연구원. 국토 263, 124-129.
- 도선붕, 신창훈(2009). 마을만들기 실행주체별 전략구축에 관한 연구-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34(2). 63-83.
- 류승한(2007). 살고 싶은 '마을만들기'를 위한 전문가의 역할. 건축과 사회 9, 59-65.
- 문귀남(2001). 살기좋은 우리동네 7: 창원의 환경실천단과 함께 한 우리 동네 '하천살리기'. 국토연구원. 국토 242, 64-68.
- 박종숙(2001a). 살기좋은 우리동네 1: 내집마당에서 골목으로, 동네로, 지역으로-대구 삼덕동 골목공동체. 국토연구원. 국토 236, 104-108.
- 박종숙(2001b). 살기좋은 우리동네 2: 부족한 문화시설, 우리 스스로 만들어요. 국토연구원. 국토 237, 111-115.
- 박종숙(2001c). 살기좋은 우리동네 3: 공간을 디자인하는 주민들-서울시 동작구 사당3동 양지공원-국토연구원. 국토 238, 89-93.
- 박종숙(2001d). 살기좋은 우리동네 4: 상인들이 일군 문화의 거리-인천시 부평구 부평시장. 국토연구원. 국토 239, 112-116.
- 박종숙(2001e). 살기좋은 우리동네 5: 아름다운 거리를 위한 '주민과의 약속'-서울시 광진구 노유거리. 국토연구원. 국토 239, 117-121.
- 배승룡(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2: 주민참여를 통한 희망의 장암마을 만들기-의정부시 장암동 주공1단지 아파트. 국토연구원. 국토 257, 68-72.
- 보건복지가족부(2009). 가족친화마을만들기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 신중진, 송승현(2010).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를 위한 추진주체의 관계구도 특성 연구-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범사업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1), 295-306.
- 신중진, 신효진(2008).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계획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4(2), 109-120.
- 신효진(2006). 기획특집: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의 방법과 사례;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의 합의형성을 위한 프로세스와 워크숍의수법. 도시와 빈곤 83, 34-53.
- 심재봉(2006).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북구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 유홍번(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7: 시민단체. 행정. 주민이 함께 한 안산마을만들기운동. 국토 262, 92-100.
- 윤경화(2009). 행복한 가정나눔 프로젝트: 다정한 이웃, 건강한 마을만들기-2009, 2010 여성부 공동협력사업-. 2009년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09-128.
- 이명규(2006). 살기좋은 국토공간 만들기: 살기좋은 국토공간만들기를 위한 주민참여와 협력방안-마을과 도시만들기를 중심으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월간도시문제 41(451), 57-68.
- 이소영(2006). 마을만들기에서 시민단체의 역할-서울시 북촌 지역을 사례로-. 공간과사회 25, 99-130.
- 이송지, 김혜장, 이경란, 곽영선, 정영화(2009). 가족친화마을만들기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연구보고서.
- 장준호, 윤영모(2001). 마을 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행정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자연과학연구 8, 191-204.
- 정용옥(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3: '나'가 아닌 '우리'를 향한 첫걸음-사랑이 꽃피는 엘리베이터 모임이야기. 국토 258, 136-140.
- 조성은(2010).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조성을 위한 가족품앗이 사업 확대방안-공동육아 나눔터(육아정보나눔터) 운영을 중심으로. 2010 가족품앗이 사업 확대방안 토론회 자료집.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 조연경, 김정민, 우신구(2009).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수법에 관한 연구-어린이 참여 디자인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4), 205-216.
- 차성란(2010).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모델 및 핵심요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63-76.
- 최봉익(2001). 살기좋은 우리동네 9: 좋은 동네는 좋은 가정에서 출발합니다-광주YMCA 좋은동네만드는사람들. 국토 244, 57-63.
- 표준국어대사전(1999). 국립국어연구원.
- 황희연(2007). 도시정비 참여주체와 주민참여지원센터의 역할. 건축 51(9), 48-51.
- 행정자치부(2006).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모델 유형화 및 공모방안 수립연구. 행정자치부.
- 행정자치부(2007).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성공매뉴얼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 행정자치부.
- 홍승아. 김혜영. 류연규. 소마나오코. 조순주. 진미정(2007). 가족친화적 지역사회모형개발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법제처. www.moleg.go.kr
- 안산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 www.happyansa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