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단국대학교
This study is purposed to observe conventional expression of Hangul Ganchal.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f Hangeul Ganchal had set a pattern from 16th century to 17the century after establishing its regular form. It is mainly found in the introduction and the conclusion of the letters. Especially, they are concretely shown at an address form and greeting in the former, a farewell and the close in the latter. Generally, a native tongue was often used in address form at Suncheon Kim's Eongan in 16th century and Hyun-Poong Kwak's Eongan in 17th century. However, a Chinese character was commonly found in the introduction at Jingbo-Eongan-Dok in 19th century. Specifically, in case of response,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f 'read your letter' was added in greeting part. In Suneon of 16th century, this type was gradually established to the form, and in Hyuneon of 17th century, a native tongue set a pattern. However, Jingeon of 19th century, a Chinese character was mainly used instead of a native tongue. The changing form of farewell and the close showed similar pattern as the aspect of greeting form. They seemed to be more simple and repetitive in Hyuneon compared with the form of Suneon. Furthermore, a Chinese character was dominated in the conclusion of letters in Jingeon. Consequently, the paper examined the two types of letter between Hangul letters and Chinese character letter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It is expected that more details research will be coped with next study.
본고의 목적은 한글 간찰을 대상으로 상투적인 표현을 고찰하는 데 있다. 한글 간찰의 상투적인 표현은 한글 간찰의 격식(格式)의 완성과 더불어 16세기에서 17세기에 이르는 과정에서 그 기틀이 마련되었다. 한글 간찰의 상투적 표현은 서두(書頭) 부분과 결말(結末) 부분에서 중점적으로 쓰였다. 서두에서는 호칭(呼稱)과 안부인사(安否人事)에서, 결말(結末)에서는 결말인사(結末人事)와 결귀(結句)에서 많이 쓰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호칭 상투적 표현은 16세기의 <순천김씨언간>이나 17세기의 <현풍곽씨언간>에서는 서두의 자리에 고유어 중심의 상투적인 표현이 쓰였으며, 19세기의 <징보언간독>에서는 서두의 자리에 한자어 중심의 상투적 표현이 쓰였다는 점이 달랐다. 안부 인사의 상투적 표현에서는 답상(答狀)의 경우 '유무 보고' 같은 상투적 표현이 덧들어간다는 점에서 기상(寄狀)의 표현과 달랐다. 16세기의 <순언>에서 상투적 표현으로 점차 자리 잡아 가는 과정을 포착할 수 있었고, 17세기의 <현언>에서는 고유어 중심의 상투적인 표현이 하나의 정형(定型)을 이루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19세기의 <징언>에서는 <현언>의 고유어 중심의 상투적 표현이 오히려 한자어 중심의 상투적 표현으로 대체된다는 점이 특이하였다. 결말 인사와 결구 표현도 안부 인사 표현과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순언>보다 <현언>의 결말 인사와 결구 표현이 훨씬 단순화되어 반복적으로 쓰임으로써 상투성을 확보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징언>에서는 오히려 한자어 중심의 번역체로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upported by : 단국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