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y Resilience in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 In Case of Residents in the Institutional Facility for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레질리언스(Family Resilience) 연구 : 모자보호시설 입소자를 중심으로

  • Kim, Kyung-Soon (Dept. of Living Culture, Graduate School, The Catholic Univ.) ;
  • Lee, Mi-Sook (School of Human Ecology, The Catholic Univ.)
  • 김경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생활문화학과) ;
  • 이미숙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 Published : 2009.02.27

Abstract

A family resilience approach aims to identify and fortify key interactional processes that enable families to withstand and rebound from disruptive life challenges. Walsh(1998) described family belief systems, organizational patterns, and communication processes as the three main keys of family resil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hree key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in case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in Korea.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ven divorced mothers who were living in the institutional facility for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for analysis.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thinking rather than fear about the adversity induced by the divorce. They also showed the senses of competence, control, and self-esteem. However, the senses of transcendence and spirituality were barely evident. Second, emotional and economic supports from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and community networks (i.e., mother-child protection institutio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enhanced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participants. Third, the participants showed clear communication, open emotional expression, and shared decision ma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counseling services and parent education be provided by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and institutional facilities as important family resilience factors for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who are below the poverty line.

Keywords

References

  1. 구정화(2005). 한부모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 적응에 미치는 영향-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고은(2006).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3. 김미옥(2001a). 장애아동의 적응에 대한 가족 탄력성 (Family Resilience)의 영향력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8, 8-39
  4. 김미옥(2001b).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가족탄력성 (Family Resilience)의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안자(2005). 가족 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영주(2007). 가족탄력성이 초등학교에 통합된 장애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민현순(2007). 뇌 손상자 가족적응 향상을 위한 가족탄력 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경성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8. 박인정(2007). 한국 이혼자녀의 가족 Resilience에 대한 사례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서지영(2002).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유연성(Resilience) 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성태제.시기자(2007).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11. 송다영(2006).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를 위한 심리정서적지원 프로그램 신패와 임파워먼트 대안. 한국가족 복지학, 11(1), 131-154
  12. 송옥선(2006). 부모이혼을 겪은 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질적 분석: 탄력성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여성가족부(2008). 2008년도 한부모가족 지원사업안내
  14. 오승아.이양희(1999). 장애아동가족의 Resilience관련 요인 척도의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6(2), 21-48
  15. 옥선화.최새은.권소영.강유진(2004). 이혼한 여성 한부모 가족의 사회관계망 지원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22(1), 181-191
  16. 윤수희(2004). 가족탄력성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선애(2004). 만성질환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인수(2004).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가족심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21-239
  19. 임유미(2007). 이혼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 적응에 미치는 영향-모자보호시설 입소자 중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장용주(2006). 장애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1. 장혜경.송다영.김영란.김정훈(2001). 한부모가족 및 실질적 여성가장가족의 여성을 위한 가족정책방향과 과제. 가족 정책의 새로운 전망. 한국여성개발원. 여성과 가족정책 세미나자료집
  22. 전유진(2006). 한부모가족의 청소년 자녀가 지각하는 가족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모.부자가족의 비교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조성연(2004).여성 한부모가족의 모-자녀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 153-167
  24. 조용환(1999). 질적연구-방법과 사례-.서울: 교육과학사
  25. 천혜정(2004). 가족학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경향 및 방법론적 문제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161-173
  26. 통계청(2007).인구주택총조사. http://www.index.go.kr/ega ms/defalut
  27. 현은민.임보래.장경문(2006). 한부모가족의 건강성관련 특성과 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4), 23-38
  28. 현은민(2007). 한부모가족의 적응-가족탄력성의 완충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07-126
  29. 홍정애(2007). 가족치료놀이를 적용한 가족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Amato, P.R.(2000). The consequences of divorce for adults and children. Journal of Marrige and the Family, 62(4), 1269-1282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1269.x
  31. Golby, B.J. & Bretherton, I.(1999). Resilience in postdivorce mother-child relationships. in McCubbin, H.I., Thompson, E.A., Thompson, A.I. & Futrell, J.A.(Eds.). The dynamics of resilient familie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32. Hawley, D.R., & DeHaan, L.(1996). Towar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ng life-span and family perspectives. Family Process, 35(3), 283-298 https://doi.org/10.1111/j.1545-5300.1996.00283.x
  33. Patterson, J. M.(2002). Understanding family resilien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8(3), 233-246 https://doi.org/10.1002/jclp.10019
  34. Paul, H. A.(2007).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Child and Family Behavior Therapy, 29(4), 65-68
  35. Schwartz, M.A. & Scott, B.M.(1997). Marriage & families: Diversity and change (2nd ed.). New Jersey: Prentice-Hall, Inc.
  36. Walsh, F.(1998). 양옥경.김미옥.최명민 공역(2006). 가족과 레질리언스. 서울: 나남출판
  37. Walsh, F.(2002). A family Resilience framework: Innovative practice applications. Family Relations, 51(2), 130-137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2.00130.x
  38. Wolin, S. & Wolin, S.(1993). The resilient self: How survivors of troubled families rise above adversity. N.Y.: Vill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