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육성 사일리지옥수수의 일반생육특성 및 사료가치의 품종간 비교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Different Corn Hybrids for Silage

  • 발행 : 2006.06.01

초록

본 시험은 사일리지옥수수의 사료가치를 향상을 위한 일환으로 최근 육성된 국내 사일리지옥수수 품종들의 사료가치를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국내종 옥수수의 파종일에서 출사일까지의 출사일수는 수원19호의 78일에서 수원159호의 86일로 품종간에 8일간 차이가 있었고 수입종인 P3394 보다는 출사일수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광평옥, 청안옥, 청사옥은 도복에 강하였으며 후기녹체성은 광안옥, 광평옥, 청안옥, 청사옥, 수원159호 등은 도입종인 P3394 와 같은 수준이었다. 품종간 깨씨무늬병 저항성은 두루옥, 광평옥, 수원159호 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광안옥, 수원19호, 청안옥, 장다옥, 청사옥 등은 도입종인 P3394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을음무늬병과 깜부기병에는 품종간 차이가 없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삭비율은 청안옥이 도입종인 P3394와 같았으며, 국내종의 이삭길이는 P3394와 비슷하거나 긴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수량은 수원19호와 장다옥을 제외한 다른 품종들은 P3394와 비교해 볼 때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TDN은 두루옥, 광평옥, 청안옥, 청사옥 등은 P3394와 비슷하였지만 광안옥, 수원19호, 장다옥, 및 수원159호 등은 P3394 보다 낮았다. ADF는 수원159호가 가장 낮았으며, 그 외 품종들은 $44.7{\sim}49.0%$로 도입종인 P3394와 비슷하였다. NDF는 두루옥이 가장 낮았으며, 두루옥을 제외한 품종들은 $68.1{\sim}72.8%$로 P3394와 비슷하였다. RFV는 두루옥, 광평옥, 청안옥, 장다옥, 수원159호 등이 $71.0{\sim}75.7$로 도입종인 P3394 의 70.5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평균간 차이는 없었다. ADF는 출사일수, 성숙일수, 생체수량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고, 조명나방의 피해율과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후기녹체성, 건물수량, TDN수량, 종실수량과는 상관이 거의 없었다. RFV는 성숙일수와 생체수량과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고, 조명 나방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후기녹체성, TDN수량, 종실수량과는 상관이 거의 없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feed value of newly bred domestic silage corn hybrids compared to foreign imported corn hybrid. Days to silking were $78{\sim}86$ days and longer than that of P3394 (Control). Kwangpyeongok, Cheonganok, and Cheongsaok were resistant to lodging. Such trait of stay-green of Kwanganok, Kwangpyeongok, Cheonganok, Cheongsaok, and Suwon159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P3394. Duruok, Kwangpyeongok, and Suwon159 were more resistant to Bipolaris maydis (southern corn leaf blight) than P3394. All of the silage corn hybrids were resistant to Exserohilum turcicum (northern corn leaf blight) and Smut. Ear ratios to total dry matter (%) of Cheonganok was similar to P3394. Ear lengths of domestic hybrids were similar or longer than that of P3394. Dry matter yield of domestic hybrids except Suwon19 and Jangdaok were similar to that of P3394.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s, Duruok, Kwangpyeongok, Cheonganok, and Cheongsaok were similar to P3394, but Kwanganok, Suwon19, Jangdaok and Suwon159 were lower than P3394. Acid detergent fiber(ADF), Suwon19 was lowest among all hybrids, and all hybrids except Suwon19 had values ranging from 44.7 to 49.0%, similarly with P3394. Neutral detergent fiber (NDF) values of the hybrids were similar to that of P3394, and ranged from 68.1 to 72.8%, except for Duruok which was lowest. Relative feed values (RFV) of Duruok, Kwangpyeongok, Cheonganok, Jangdaok, and Suwon159 had values ranging from 71.0 to 75.7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3394. ADF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number of days to silking, number of days to maturity, and fresh matter yield, bu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stance to corn borer. RFV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no. of days to maturity and fresh matter yield, but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stance to European corn borer. Therefore, indices for evaluation of feed value as well as production were important to select corn hybrids for silage. It is concluded that domestic hybrids tested in this study have high feed value as well as high production similar to those of imported corn hybrid.

키워드

참고문헌

  1. Aldrich, S. R., W. O. Scott, and R. G. Hoeft. 1986. Modern corn production (3rd ed.). A&L. Publications Inc. Station. Illinois
  2. Goering, E. K. and P. 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 Handbook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3. Holland, C., W. Kezar, W.P. Kautz, E.J. Lazowski, W.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The Pioneer Forage Manual-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Int. Inc., Des Moines, IA
  4. Phipps, R. and M. Wilkinson. 1985. Maize silage. Chalcombe Publications, Bucks SL7 3PU
  5. Rice, M. E. and K. Ostlie. 1997. European corn borer management in field corn : A survey of perceptions and practices in Iowa and Minnesota. J. Prod. Agric. 10 : 628-634 https://doi.org/10.2134/jpa1997.0628
  6. Rohweder, D. A., R. F. Barnes, and N. Jorgensen. 1978 . Proposed hay grading standards based on laboratory analyses for evaluating quality. J. of Animal Sci. 47(3) : 748-759
  7. Son, B. Y., H. G. Moon, T. W. Jung, S. W. Cha, S. K. Kim, N. K. Park, Y. H. Ryu, J. H. Seo, K. J. Choi, B. R. Sung, H. J. Choi, and H. K. Min. 2003. A new single cross maize hybrid for silage and grain 'Cheonganok', Korean J. Breed. 35(4) : 271-272
  8. 김동암, 이광녕, 신동은, 김종덕, 한건준. 1996. 숙기가 다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파종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6(4) : 327-337
  9. 김동암. 1986. 사료작물 : 그 특성과 재배방법. 선진문화사. 서울. p. 167-198
  10. 김창호. 2004. 볏짚 사료가치의 품종간 차이 및 생육형질과의 관련성. 한작지. 49(6) : 516-521
  11. 문현귀, 손범영, 차선우, 정태욱, 이영호, 서종호, 민황기, 최기준, 허창석, 김석동. 2001. 사일리지용 옥수수 심품종 '광평옥'. 한육지. 33(4) : 350-351
  12. 이석순, 김태주, 배동호, 함태수. 1986. 남부지방에서 국내육성 및 도입옥수수 품종의 Silage 생산성. 한작지. 31(2) : 156-161
  13. 정승근, 이석순, 박승의, 배동호. 1996. 옥수수 재배와 이용의 종합기술. 농민신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