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yp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eon Represented of Costume in Water-moon Avalokitesvara of the late Koryo Dynasty

고려후기 수월관음도 복식에 표현된 선의 유형과 조형특성

  • Ok Myung-Sun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 Sung University) ;
  • Park Ok-Lyun (Dept. of Fashion Design and Merchandising, Kyung Sung University)
  • Published : 2006.0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yp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eon' represented of costume in Water-moon Avalokitesvara of the late Koryo Dynas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on' has two main types, Standard and Decoration types. In the former type, Seon has not any decoration. While, in the latter, Seon is added with decorations. Here, Seon of decoration type can be reclassified into two types, same color and pattern and different color and pattern. Seon most appeared in the Water-moon Avalokitesvara had the type of Decoration, especially different color and pattern. Patterns used for Seon were complex in its composition type and filling in its arrangement style. Seon was mainly used to Guneui(裙衣) and Samkaksika(僧脚崎). For the color combination of Seon, the combination of similar colors was most often used and that of same color was somewhat frequently done. Regarding costumes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Seon, those costumes appeared natural and elegant when their Seon was Standard in type, natural and brilliant when same color and pattern in type and artificial and brilliant when different color and pattern.

Keywords

References

  1.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弼陀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樓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pp. 58-69
  2. 박옥련 (1992). 高麗時代 水月觀音圖의 衣棠에 나타난 文樣鼎硏究. 한국의류학회지, 16(1), p.112
  3. 崔永順(1992). 韓國의 善魔服節에 관한 硏究- 6-8세 기 善魔像과 高麗佛畵를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4. 韓慈伶(1995). 高麗佛畵에 나타난 服節의 造形美. 成 均館大 大學院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지미령 (2001). 고려후기, 조선전기 지장보살도의 복식 변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고승희 (2000). 高麗佛畵의 放樣 硏究. 동국대 문화예 술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7. 林明子(1984). 高麗佛畵에 나타나는 衣棠放樣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임영주 (1981).高麗佛畵의 紋樣, 韓國의 美 7-高麗佛 畵. 서울: 中央日報社. pp. 217-229
  9. 김부귀 (2000) 高麗佛畵 法衣文樣 硏究- 花圓文을 중 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미경 (2001) 고려불화에 나타난 연화문양 연구 동 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황보지영 (2002). 圖像과 象徵을 痛한 高麗 水月觀률圖 의 造形性 硏究. 한양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지현 (2001)고려후기 수월관음도의 조형적 요소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황금순 (2001) 高麗 水月觀률圖의 圖像과 信仰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현희 (1998). 造形性으로 본 高麗 水月觀音圖 硏究 仁倚大學校 敎育大學院석사학위논문
  15. 안정자 (1996). 高麗時代 水月觀音圖 硏究.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경희 (1987).高麗後期 水月觀音圖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동선 (1984) 高麗佛畵에 관한 硏究- 水月觀音圖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강희정 (1994). 高麗 水月觀音圖像의 淵源에 대한 재검토. 美術史硏究 제8호. pp. 3-32
  19. 정우택 (2001). 新出 高麗時代 水月觀音圖. 東美術史學, 제2호.pp. 103-120
  20. 林進(1977). 高麗時代の水月觀音圖につぃて. 美術史. 제102 호, 東京: 美術史學會. pp. 101-117
  21. 林進(1979). 新出の高麗水月觀품圖につぃて. 佛敎藙術, 제123호, 東京: 佛敎藙術學會. pp. 46-64
  22. 박옥련 (1988). 高麗仏敎美術に現ゎれた文樣の冊究. 日本: de arte. 九州藙術學會, 4. pp. 35-48
  23. 박옥련 (1992). 高麗時代 水月觀音圖의 衣棠에 나타난 文樣鼎究. 한국의류학회지, pp. 111-122
  24. 정현주 (1990). 高麗時代 水月觀音圖의 베일에 나타난 文樣冊究.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장경희 (1994). 高麗水月觀흡圖의 白衣에 대한 考察. 美術史硏究, 제8호, pp. 33-62
  26. 洪間植 (1984), 高麗佛畵의 硏究. 서울. 동화출판공사, p. 265
  27. 박옥련 (1992). 高麗時代 水月觀音圖의 衣棠에 나타난 文樣鼎究. 한국의류학회지, p. 112
  28. 정현주 (1990). 高麗時代 水月觀音圖의 베일에 나타난 文樣硏究.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5
  29. 이지현 (2001)고려후기 수월관음도의 조형적 요소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
  30. 박도화 (1990) 보살상. 서울: 대원사. pp. 22-53
  31. 정우택 (1997). 高麗佛畵의 圖像과 그 아름다움-高 麗時代의 佛畵- 해설편 서울: 시공사, p. 25
  32. 이경희 (1987). 高麗後期 水月觀音圖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13
  33. 정우택 (1994) 고려시대의 불교회화, 한국불교미술대 전 (2). 서울: 한국색채문화사. p. 232
  34.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弼陀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樓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p. 60
  35. 박도화 (1990) 보살상. 서울: 대원사. p. 14
  36. 崔永順(1992). 韓國의 善魔服節에 관한 硏究.- 6-8세 기 善魔像과 高麗佛畵를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p. 17
  37. 임영자 (1990). 韓國宗敎服節. 서울: 아세아문화사, p. 30
  38.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弼陀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樓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pp. 60-62
  39. 菊竹淳一, 鄭手澤, 井手誠之輔, 朴銀獅, 武田和昭 (1997). 도판해설高麗時代의 佛畵- 해설편 서울. 시공사, pp. 99-100
  40.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弼陀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樓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p. 61
  41. 菊竹淳一, 鄭手澤, 井手誠之輔, 朴銀獅, 武田和昭 (1997). 도판해설高麗時代의 佛畵- 해설편 서울. 시공사, 至治三年癸 六月日 內班從事 徐九方畵 棟染道人六精, p. 88
  42.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弼陀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樓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pp. 61-62
  43.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弼陀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樓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pp. 63-64
  44. 정현주 (1990). 高麗時代 水月觀音圖의 베일에 나타난 文樣硏究.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8
  45. 옥명선, 박옥련, 이주영 (2005). 고려후기 阿弼陀如來圖 복식에 표현된 樓의 유형과 조형특성. 복식, 55(2). p.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