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ultural Approach 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20th Century French Fashion

문화적 접근 방법에 의한 20세기 프랑스 패션의 미적 특성 연구

  • Jung Yu-Kyung (Dept. of Clothing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 Chun Hei-Jung (Dept. of Clothing Science, Seoul Women's University)
  • 정유경 (서울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전혜정 (서울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6.01.01

Abstract

Fashion is very superficial. However, it is expressed through the culture that is a cause of internal change and therefore its contents are defined by the cultural features. In this study, to study the aesthetic properties of the French fashion, the internal fashion contents are defined according 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rance and based on the definition, the external features are investigat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 was analyzed based on the reference literatures on the French culture. Based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rance, the aesthetical properties of the contemporary French fashion can be analyzed as follows: ${\cdot}$Dualism is the internal contents of the French culture with multiple sources, and it implies that opposing values such as female and male, traditionalism and modernism, simplicity and decoration are coexisting. Simplicity is pursued but decorative elements are in harmony and new phase of time is reflected while certain style has las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become a tradition. Furthermore, a rational trend combining masculinity and femininity, simultaneously exist with a trend that emphasizes feminine image. ${\cdot}$Multiculturism is a mysterious feature that has adapted the oriental or other cultural factors into the forms, patterns, colors and material of costumes. It has also been reconstructed with the French and the modern tastes. ${\cdot}$Avant-gardism is pursuing a novel aesthetic value against the former value system. It recognizes the human body as an object of figurative arts therefore emphasizes the body with geometric shapes to deny the fixed-idea, or engraft new materials and technologies to express the futuristic aspects.

Keywords

References

  1. Mendes, Valerie & Amy de la Haye 저, 김정은 역 (2003). 20세기 패션 서울: 시공사, p. 10
  2. R. Hoggart (1970)Contemporary cultural studies. London: Amold, p. 156
  3. Clarke, J., Hall, S., Jefferson. T.& Roberts, B. (1976). Subculture. cultures and class. London: Hutchinson, pp. 10-13
  4. Lehnert, Gertrud (1998). Fashion. London: LAURENCE KING, pp. 18-19
  5. Huntington. Samuel p. & Harrison, Lawrence E 저, 이종인 역 (2001), 문화가 중요하다. 서울: 김영사, p. 33
  6. 김현권 外 (2002). 오늘날의 프랑스. 서울: 한국방송통 신대학교 출판부, p. 164
  7. 문화와 사람들 (2002). 프랑스 문화와 사회 서울: 만남, p. 14
  8. 김현권 外 (2002). 오늘날의 프랑스. 서울: 한국방송통 신대학교 출판부, p. 3
  9. 김미연 外 (2002). 프랑스 문화. 대전. 충남대학교 출 판부, pp. 9-16
  10. 황종득 (1994). 프랑스 여성과 노동 여성문제 연구, 22, p. 5
  11. 김민정 (1998). 프랑스 여성의 정치 참여. 현황과 문 제점. 한국정치학회보, 32(1)p. 290
  12. 김현권 外 (2002). 오늘날의 프랑스. 서울: 한국방송통 신대학교 출판부, p. 355
  13. 이재욱 (2003). 프랑스 사람들 어떻게 사나. 서울: 신 아사, p. 100
  14. Lefebvre, Georges (1961).The french revolution: From its origins to 1793.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19-27
  15. 김현권 外 (2002). 오늘날의 프랑스. 서울: 한국방송통 신대학교 출판부, p. 304
  16. 송도영 外 (2003) 프랑스의 문화 산업 체계. 서울: 지식마당. p. 251
  17. 조병옥 (1998) 프랑스 문화와 문화 정책. 공주: 공주 대학교 출판부: p. 1
  18. 김미연 外 (2002). 프랑스 문화. 대전. 충남대학교 출 판부, p. 176
  19. Klein, Dan & Mcclelland. Nancy & Haslam. Malcom (1986), In the deco style. New York: 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 Inc.. p. 7
  20. 고봉만 外 (2003). 프랑스 문화와 예술, 악의 꽃에서 샤넬 NO.5까지. 서울. 한길사, p. 191
  21. 문화와 사람들 (2002). 프랑스 문화와 사회 서울: 만남, p. 97
  22. 김현권 外 (2002). 오늘날의 프랑스. 서울: 한국방송통 신대학교 출판부, p. 9
  23. 이광래 (1999) 프랑스 철학사 서울: 문예출판사, pp. 11-29
  24. 윤민회 (2000). 현대 프랑스 디자인의 경향. 2000 추 계 학술 발표회 연구 자료집, 프랑스 문화 예술 학회, p. 32
  25. Pascal, B. 저, 최현, 이정림 역 (1986). PENSEE. 서 울: 범우사. p. 15
  26. Debbasch, Charles & Jean-Marie Pontier 저, 김지은, 김정곤, 김미현 역 (2004), 프랑스 사회와 문화 I (La Societe Fran Qaise).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 76
  27. Edward W. Fox (1973). L'autre France. Paris: Flammarion
  28. 김미연 外 (2002). 프랑스 문화. 대전. 충남대학교 출 판부, p. 52
  29. 고봉만 外 (2003). 프랑스 문화와 예술, 악의 꽃에서 샤넬 NO.5까지. 서울. 한길사, 209
  30. Morand. Paul (1976), L'allure de chanel. Paris Hermann. p. 114
  31. Martin, Richard & Koda. Harald (1992). Flair. New York: Rizzoli, p. 96
  32. Giraud, Fran-oise (1987). Christian dior. New York: Rizzoli. p. 72
  33. 김지휘 (1992). 크리스찬 디오르의 샘애와 그의 작품 세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0
  34. 정시화 (1991)산업 디자인 150년 서울: 미진사, pp. 134-135
  35. Morand. Paul (1976), L'allure de chanel. Paris Hermann. p. 143
  36. Mendes, Valerie (1991). Pierre Cardin(Past Present Future), London/Berlin: Dirk Nishen Publishing, p. 9
  37. Northrup, B. (1936). An Approach to the Problem of Costume and Personality. Art Education Today, pp. 94-104
  38. Vogue. 1997, 6. p. 147
  39. 전혜정 (1993). 복식의 에로티시즘 양식 서울여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5
  40. Wilson, Elizabeth (1985). Adorned in dreams: Fashion and modernity. London: Virago Press, p. 117
  41. 양유미, op. cit., p. 25
  42. 도유미 (2002). 현대 예술 사조와 이브 생 로랑의 작 품 세계 분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0
  43. 최혜정 (1999). 20세기말 현대 패션에 나타난 다문화 주의 현상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13
  44. 이미숙. op. cit., p.112
  45. 노정심 (1994). 아방가르드 패션에 관한 연구 서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8
  46. 김지휘 (1992). 크리스찬 디오르의 생애와 그의 작품 세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1
  47. O'hara, Georgina (1985), The Encyclopaedia of fashion (from 1840s to the 1980s). London: Thames and Limited., p.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