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후 폐기능 변화의 예측에 대한 연무 흡입스캔과 관류스캔의 비교

Comparison of Inhalation Scan and Perfusion Scan for the Prediction of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 Cheon, Young-Ku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Kwak, Young-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Yun, Jong-Gi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Zo, Jae-Ill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Shim, Young-Mog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Lim, Sang-M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Hong, Sung-Wo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Lee, Choon-Tae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발행 : 1994.04.30

초록

배경 및 목적: 폐암 환자의 다수가 흡연력이 있고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병발되어 있으므로 수술후 폐기능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수술후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다. 폐 절제술 후 잔여 폐기능을 예측함에 있어 현재까지 99mTc-MAA를 이용한 폐관류 스캔이 많이 이용되어 왔지만 이론적으로 폐환기와 폐관류의 불일치가 있는 경우 오차가 있을 수 있어 $^{99m}Tc$-DTPA 연무흡입 환기 스캔을 이용해 잔류 폐기능을 예측하여 관류 스캔을 비교하여 보았다. 방법: 수술전 연무 흡입스캔과 관류 스캔을 시행하고 수술전에 폐기능을 실시하여 잔여 폐기능을 예측하고 수술후 2개월 뒤에 폐기능을 실시하여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보았다. 전 폐절제술인 경우: 수술전 폐기능$\times$전체 폐에 대한 잔류폐의 비 폐엽 절제술인 경우: 수술전 폐기능$\times$(1-침범된 폐의 전체폐에 대한 비$\times$절제될 폐의 분절 수/침범된 폐의 총 분절 수) 결과: 1) $FEV_1$에서 연무 흡입스캔을 이용하여 예측한 값과 실측치 간의 상관 계수는 0.94(p<0.0001), 폐관류 스캔을 이용한 경우는 0.86(p<0.0001)이었으며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FVC에 흡입스캔을 이용한 경우 상관 계수가 0.91(p<0.0001)이었고 폐관류 스캔에서는 0.72(p=0.0005)로 연무 흡입스캔으로 예측한 군에서 상관 관계가 좋았다. 3) $FEF_{25-75%}$에서의 결과는 연무 흡입스캔을 이용한 경우 상관 계수가 0.87(p=0.0001), 폐관류 스캔에서는 상관 계수가 0.87(p<0.0001)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두 스캔을 동시에 시행한 군에서 비교한 결과를 보면 연무 흡입 스캔에서 상관 계수는 $FEV_1$ 0.97(p<0.0001), FVC 0.95(p<0.0001), $FEF_{25-75%}$ 0.85(p<0.001)이었고 폐관류 스캔에서는 $FEV_1$ 0.97(p<0.0001), FVC 0.96(p<0.0001), $FEF_{25-75%}$ 0.83(p<0.002)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수술후 잔여 폐기능을 예측함에 있어 연무 흡입스캔 및 관류 스캔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비교적 정확했고 폐기능중에서는 $FEV_1$이 가장 상관 관계가 좋았다.

Background: Because of the common etiologic factor, such as smoking, lung cancer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re often present in the same patient. The preoperative prediction of remaining pulmonary function after the resectional surgery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serious complication and postoperative respiratory failure. $^{99m}Tc$-MAA perfusion scan has been used for the prediction of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but it may be inaccurate in case of large V/Q mismatching. We compared $^{99m}Tc$-DTPA radioaerosol inhalation scan with $^{99m}Tc$-MAA perfusion scan in predicting postoperative lung function. Method: Preoperative inhalation scan and/or perfusion scan were performed and pulmonary function test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and 2 month after operation. We predicted the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s using the following equations. Postpneurnonectomy $FEV_1$=Preop $FEV_1x%$ of total function of lung to remain Postlobectomy $FEV_1$=Preop $FEV_1{\times}$(% of total 1-function of affected lung${\times}$$\frac{Number\;of\;segments\;to\;be\;resected}{Number\;of\;segments\;of\;affected\;lung})$ Results: 1) The inhalation scan showed good correlations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FEV_1$, FVC and $FEF_{25-75%}$. (correlation coefficiency; 0.94, 0.91, 0.87 respectively). 2) The perfusion scan also showed good correlations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FEV_1$, FVC and $FEF_{25-75%}$. (correlation coefficiency; 0.86, 0.72, 0.87 respectively). 3) Among three parameters, $FEV_1$ showed the best correlations in the prediction by lung scans. 4) Comparison between inhalation scan and perfusion scan in predicting pulmonary func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neces except FVC. Conclusion: The inhalation scan and perfusion scan are very useful in the prediction of postoperative lung function and don't make a difference in the prediction of pulmonary function a1though the former showed a better correlation in FV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