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질환 환자들에서 야간 동맥혈 산소포화도 감시 성적

Nocturnal Arterial Oxygen Saturation Monitoring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 최인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양재범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익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강유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고영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상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민수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경옥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Choi, In-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Yang, Jae-Beo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Young-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ung, Ik-J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ang, Yu-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oh, Yeoung-I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Park, Sang-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Min-S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Park, Kyung-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발행 : 1994.04.30

초록

연구배경 : 심한 만성 폐색성 폐질환(COPD) 환자들에서 수면중에 심한 동맥혈 산소 탈포화 상태가 일어날 수 있으며, 그 결과 반복적인 폐동맥압의 상승, 폐성심, 수면 장애를 초래하고 심장의 부정맥으로 급사할 수도 있다. 또한 저산소혈증이 있는 COPD 환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산소를 투여하였을 때 신경정신적 상태의 호전으로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을 COPD 환자들에서 수면중 야간 동맥혈 산소 포화도를 감시하여 산소 탈포화 상태의 빈도 및 심한 정도를 알아보고, 수면중 심한 동맥혈 산소 탈포화 상태가 일어나는 것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찾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폐질환으로 입원중인 환자들에서 맥박 산소측정기(Pulse oxymeter)를 이용하여 수면중 동맥혈 산소포화도를 감시하였고, 이들의 성적과 기초폐기능검사 성적, 깨어있는 동안의 동맥혈 산소 상태등과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1) 20명의 대상 환자들 중 18예(90%)에서 야간 동맥혈 산소포화도($StcO_2$)가 4%이상 저하되었으며, 10%이상 심하게 저하된 경우(탈포화군)도 8예(40%)였다. 2) 깨어있을 때의 $PaO_2$가 60 mmHg 미만으로 저산소혈증이 있었던 7예중 5예(71.4%), 그 이상이었던 13예중에서는 3예(23.1%)에서 10% 이상의 심한 탈포화를 일으켰다. 3) 탈포화군의 야간 수면중 최저 $StcO_2$는 평균 $73.8{\pm}20.7%$로 깨어있을 시의 $93.4{\pm}1.9$ 보다 크게 저하되었으며, 이때 최대 분당 맥박수는 $149.3{\pm}46.0$으로 깨어있을 시의 $91.9{\pm}15.4$보다 크게 증가되었다. 4) 탈포화군과 비탈포화군을 비교해 보았을 때 연령, 신장, 흡연력, 혈색소치, 폐환기기능에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PaO_2/FIO_2,\;PaO_2/PAO_2$ 값은 탈포화군에서 각각 $274.0{\pm}83.7,\;0.60{\pm}0.29$로 비탈포화군의 $373.1{\pm}83.5,\;0.78{\pm}0.17$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aO_2/FIO_2$: p<0.01, $PaO_2/PAO_2$: p<0.05). 또한 4%이상 산소포화도가 저하된 탈포화 시간과 빈도가 탈포화군에서 각각 $67.9{\pm}56.4$분, $7.3{\pm}6.3$회로 비탈포화군의 $8.4{\pm}12.1$분, $1.8{\pm}1.7$회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각각 p<0.01). 5) $PaO_2/FIO_2$ 값은 산소포화도의 저하 정도(${\Delta}StcO_2$) 및 기초산소포화도에 대한 ${\Delta}StcO_2$의 비율과 높은 역상관관계(각각 r=-0.78, r=-0.79, p<0.01)를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탈포화군을 감별할 수 있는 인자로서 깨어있을 동안의 $PaO_2/FIO_2,\;PaO_2/PAO_2$만이 의의가 있었고 기초 $PaO_2,\;SaO_2$는 의의가 없어서 기초 $PaO_2$를 낮게 만드는 폐병변의 심한 정도가 산소 탈포화 정도를 결정하는 더 중요한 요소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기초 $PaO_2$가 60mmHg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서도 약 1/4에서 심한 탈포화를 일으켜서 COPD 환자에서 폐환기기능 및 기초 $PaO_2$ 정도에 관계없이 수면중 야간 $StcO_2$를 감시해 볼 필요가 있는것으로 생각되었다.

To find out the predictors of nocturnal arterial oxygen desaturation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transcutaneous oxygen saturation($StcO_2$) monitoring studies using a pulse oximeter were performed during sleep in 20 patients. $StcO_2$ was decreased more than 4% from the baseline value in 18 patients(90%) and more than 10%("Desaturator") in 8(40%). Five of the seven patients(71.4%) with awake $PaO_2$<60mmHg and three of the thirteen patients(23.1%) with awake $PaO_2{\geq}60mmHg$ were "desaturators". The awake $PaO_2/FIO_2$ and $PaO_2/PAO_2$ could distinguish "desaturator" from "nondesaturator", and $PaO_2,\;SaO_2$ or $StcO_2$ could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octurnal oxygen desaturation depends on the severity of the underlying disease rather than the baseline $PaO_2$. Anthropomorphic and lung function factors could not separate between "desaturator" and "non-desaturator", and about a quater of patients with a wake $PaO_2{\geq}60mmHg$ developed significant desatu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nocturnal arterial oxygen saturation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regardless of their severity of airflow obstruction or awake $PaO_2$.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