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ng single-pers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4초

1인가구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지역환경 요인 -청년 1인가구와 노년 1인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Local Environmental Factors on Stress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Young and Senior Single-Person Households-)

  • 진인화;전희정
    • 지역연구
    • /
    • 제40권1호
    • /
    • pp.69-88
    • /
    • 2024
  • 본 연구는 청년 1인가구와 노년 1인 가구를 중심으로 지역환경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지역환경을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으로 구분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가구와 다인가구 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노년층에 비해 청년층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청년 1인가구의 스트레스는 주로 물리적 환경요인의 영향을 받았으며, 노년 1인가구의 스트레스는 물리적 환경요인 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1인가구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정책을 실시함에 있어 연령별 특성과 고려한 지역수준의 지원이 제공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미국 대도시 지역 청년 1-2인가구의 주거 특성 및 주거비 부담 영향 요인 (Housing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Housing Cost Burden of Young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in the U.S. Metropolitan Areas)

  • 최병숙;이현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51-6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using characteristics of young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in the U.S. metropolitan urban areas and determinants of their housing cost burden. Total 764 single-person households, 744 two-person households and 424 households with three or more persons were selected from the 2011 American Housing Survey public-use microdata for the study based on specific sampling criteri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comparisons with larger households,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were characterized to be headed by younger householders, to have less income, and to have a greater proportion of households living in central cities of metropolitan areas, renting housing units, living in smaller size units or multifamily structures; (3) housing cost of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a larger households while housing costs per unit square footage (SQFT) of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was significantly greater; (4) regardless of the household size, there are many household headed by young college graduates paying too much of their income for housing, and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housing cost burden; and (5) a linear combination of low-income status, monthly housing costs per unit SQFT, annual household income, and unit SQFT per person was found to be most efficient to predict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with housing cost burden.

서울시 청년 1인 가구 주거 문제 분석 - 주거소비 면적 감소 현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ousing Consumption Problem in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 Focusing on Reduction of Housing Area -)

  • 조하은;김의준
    • 지역연구
    • /
    • 제34권1호
    • /
    • pp.49-6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1인 가구 증가와 함께 나타나는 주거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애 주기 가설을 기반으로 주택 수요 함수를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청년 1인 가구의 주택 수요와 항상소득 잔차로 인한 주택 수요가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는 청년 1인 가구의 주택 소비에 항상소득이 충분히 실현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할 금융 시장의 역할이 미비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상소득 실현의 어려움과 주택 금융 부족을 청년 1인 가구 주택 수요 불균형 현상의 원인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청년 1인 가구의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항상소득과 현재 주택 수요의 균형을 유도하는 정책이 도입되어야 한다.

연령대별 1인 가구 및 다인 가구의 식생활 행태 및 건강한 식생활 역량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ating Behavior and Healthy Eating Competency of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by Age Group)

  • 홍승희;김지명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37-349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behaviour and healthy dietary competency of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to improve healthy eating behavior.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6,355 adult household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2020.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ge groups comprising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middle-aged people in their 40s and 50s, and the elderly in their 60s and above. The eating behavior and healthy dietary competency of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were then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members in the single-person households was found to be higher.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also found to have a lower marriage rate and lower monthly household income than multi-person households across the age groups of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P < 0.05). Among each of the age groups, single-person households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skipping breakfast and eating breakfast, lunch, and dinner alone than multi-person households (P < 0.05).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ad lower average scores on healthy dietary competency than multi-person households (P = 0.032). When adjusted for age, gender, marriage, education, occupation, and household income, single-person households had a higher risk of delivery/take-out, eating out, or skipping meals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P < 0.05). In multi-person households, the risk of skipping meals, eating alone, eating out, or delivery/take-out decreased as healthy dietary competency improved (P < 0.05). On the other hand, in single-person households, as healthy dietary competency increased, the risk of delivery/take-out or eating alone decreased (P < 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ealthy dietary competency and eating practices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customized dietary education by age group for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수도권 1인 가구 청년의 식생활 교육 및 지원 사업에 대한 요구도 조사 (Analysis of Needs for Dietary Education and Program among Korean Young Adults of Single-person Household in the Metropolitan Area)

  • 김은경;권용석;이진영;박영희;장희진;김다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95-502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eed for dietary education and programs for young Koreans belonging to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500 young adults aged 19-34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ough an online survey. Participants responded to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problems, and the need for dietary education and program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follows: Undergraduate students, employed workers, and others. Among the subjects from single-person households, 20.2, 67, and 12.8% were undergraduate students, employed workers, and others, respectively. When asked for their estimation of an appropriate self-pay when participating in a cooking class, 39.8% of total subjects responded '5,000-10,000 won'. The most preferred program for young adults in single-person households was the 'support food package'. For the preferred method of dietary education, undergraduate students showed a greater preference for classes 'at campuses'. However, employed workers and others had a higher preference for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Undergraduate students tended to generally have a higher preference for dietary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compared to employed workers and others. This study provides data that will be useful for establishing healthy dietary policies and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

1인가구의 특성에 따른 생애주기별 건강성 결정요인 (Factors of Healthy Lifestyle by Life Cyc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 서지원;송혜림;김정은;박정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8권1호
    • /
    • pp.13-25
    • /
    • 2024
  • 1인가구 증가는 전 세계적 현상으로 한국 또한 1인가구 비중의 증가가 급속히 진행 중이다. 1인가구는 그 형성 계기, 성별, 생애주기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스펙트럼을 갖고 있으며, 각각의 특성을 반영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1인가구 집단을 세분화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생애주기에 따라 청년기, 중장년기, 노년기 1인가구 등 세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고, 1인가구 건강성 수준에 있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나아가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1인가구 삶의 특성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2022년도 김포시 거주 1인가구 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였고, 기술통계, 평균차이 검증(t-test, ANOVA),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1인가구의 전반적 건강성 수준을 살펴보면 생애주기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청년기 1인가구가 노년기 1인가구에 비해 건강성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1인가구 건강성에는 성별, 교육수준, 자발성, 차별경험 여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성을 구성하는 하위영역별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는 차이가 있었다. 생애주기에 따른 1인가구의 건강성 수준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1인가구 정책의 방향성을 논의하고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청년 1인 가구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이수진;이수진;김향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160-171
    • /
    • 2023
  • Purpos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his study investigated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depression, resili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member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from March 22 to 30, 202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d a simple mediation model applying the PROCESS macro model 4 with 95% bias-corrected bootstrapped confidence intervals.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229 member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residence (t = 2.80, p = .006), month (F = 3.70, p = .026), mental health status (F = 20.33, p < . 001), and high-intensity exercise (F = 7.35, p = .001) among general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r = -.72, p < .001) and resilience (r = .58, p < .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epression (β = -.57, p < .001) and resilience (β = .21, p < .001) influenc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oreover, resilience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direct effect = -0.002, 95% bias-corrected bootstrapped confidence interval = -0.003 to -0.001). Conclusion: Member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ended to be more vulnerable to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when lockdowns and quarantines were frequent.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people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or low levels of resilience need special attention and support to promote mental health.

청년 1인 가구의 주거환경이 주거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다른 연령 집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 김용욱;김새힘;황준원;조미정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2호
    • /
    • pp.19-34
    • /
    • 2023
  • 1인 가구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청년층의 비율은 35.9%로 전체 1인 가구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하지만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1인가구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1인 가구 전체 또는 노인 1인 가구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며, 더 나아가 연령층별 차이 및 비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체 1인 가구를 청년층과 중장년층, 노년층으로 나누어 세 집단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주거환경요인이 주거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통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에는 2020년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각 요인들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결과는, 다양한 주거환경요인들이 주거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청년 및 중장년 1인 가구 모형에서 주거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주거만족도가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 또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청년층의 주거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1인가구의 주거 및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연령층별 차이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청년 1인가구의 경우에는 주거 및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더 다양한 대안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1인 가구 대상 도서관 서비스 제공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ovision of Library Servic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 금준규;차성종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35-368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외 1인 가구 대상 공공서비스 및 도서관서비스 운영 현황과 도서관 이용자 및 전문가 대상 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1인 가구 대상 도서관 서비스 방향 및 프로그램 제공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 제시된 1인 가구 대상 도서관 서비스 방향은 1인 가구의 삶과 밀착된 정보자원을 확보하여 제공하고, 서비스를 담당할 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자치구 도서관과 함께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자료 중심 도서관에서 벗어나 1인 가구를 포함한 이용자 중심의 시설 인프라를 조성하고, 1인 가구의 특성과 분포에 따른 권역별 특화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1인 가구 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으로는 취약한 1인 가구를 위한 사회적 활동지원, 사회적 유대, 돌봄, 봉사활동, 여가 및 문화활동 분야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보고, 청년, 중장년, 여성 1인 가구 대상의 특화된 도서관 서비스 및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청년 1인가구의 여가생활과 여가의 의미 (Leisure Activities of Young Single-person-households)

  • 송혜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4권4호
    • /
    • pp.21-37
    • /
    • 2020
  • This study focuses on the leisure activitie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Data collection involved selecting and interviewing eight c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leisure activities of young, single people are divided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2.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se leisure activities are time, money, and cognition. 3. Respondents maintain their work-life balance by focusing on weekdays and weekends, they work and study intensively on weekdays and spend their time and money on leisure and rest on weekends. 4. Young people want a chance to meet and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others. This point must be central to planning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