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ield potential

검색결과 1,395건 처리시간 0.03초

조숙 다수 내재해성 호밀 품종 "참그린" (A Rye Cultivar "Charmgreen", Early-heading, High Forage Yield Potential, and Resistance to Stresses)

  • 한옥규;김대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19
    • /
    • 2024
  • "Chamgreen" was a domestically developed rye (Secale cereal L.) cultivar in South Korea, known for its quick heading, cold resistance, and abundant yield of forage. The heading date of cv. 'Chamgreen' averaged April 17th, which was 4 days earlier than the standard cv. 'Gogu'. In the early harvesting stage, the plant height reached an average of 119 cm, 7 cm taller than the standard cv. 'Gogu', and the number of spikes per m2 was 865, slightly less than cv. 'Gogu's 897. Resistance to cold and powdery mildow remained consistent across four regions nationwide over three years, with an average rating of 0, matching cv. 'Gogu'. Lodging resistance was also rated at 2, equivalent to cv. 'Gogu'. The dry matter yield of cv. 'Chamgreen' was 9.1 tons per hectare, 15% higher than cv. 'Gogu's 7.9 tons. Although the protein content in cv. 'Chamgreen' was 13.5%, 1.6% lower than cv. 'Gogu',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content was 5.81 tons per hectare, 20% higher than cv. 'Gogu'. Due to its strong cold resistance, cv. 'Chamgreen' allows for winter cultivation through double cropping and rotation systems in various regions across the country.

콩의 동화기관과 수용기관의 능력평가 (Source and Sink Limitations to Soybean Yield)

  • 이석하;성열규;김석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55-259
    • /
    • 1995
  • 콩의 수량에 대한 광합성 기관(source)과 광합성생물 수용기관(sink)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고자, 꼬투리의 크기에 비하여 종실 건물면적이 불량한 수집검정콩인 강릉재래 밀 금릉재래, 꼬투리의 비대가 충실한 백운콩 및 수원 168호를 공시하였다. 두 수준의 재식밀도(ha당 55,000, 110,000 개체)와 개화기 이후 등숙 기간 중 차광막을 설치하여 광합성 능력에 관여하는 환경요인을 변화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건물중분배 및 개체수량 반응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및 종실건물중의 품종간 광합성능력 변화를 위한 재식밀도 및 차광시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고 품종 및 처리간 유의적인 상호작용 효과도 있었다. 2. 지상부 총건물중에 대한 종실건물중 비율은 품종간 차이가 인정되어, 수원 168호가 가장 높았으며, 광합성 능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처리 가운데 극히 광이 부족한$S_2$를 제외한 나머지 세 처리간 차이는 없었다. 3. 등숙기간중에수량을 위한 source와 sink 능력을 광합성 기관 제한정도(source limitation value)에 의하여 품종간 비교하여 보면, 꼬투리에 종실이 충분히 면적되는 수원 168호는 source가, 수집검정콩인 강릉재래나 금릉재래는 sink의 기능이 수량에 있어서 제한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PDF

뽕밭 지하점적관수 및 관비에 의한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Effect of Sub-soil Drip Irrigation and Fertigation on Mulberry Yield)

  • 이원주;최영철;송성범;성문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6-12
    • /
    • 1992
  • 뽕나무에 대한 관수 및 관비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무관수를 대조로 하여 지하 20cm에 점적호수를 묻고 지하점적관수, 지하점적액비구, 지하점적액비증시구 등 4개 처리를 하고 수량 및 토양화학성, 뿌리의 분포상태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관수점을 구명하기 위하여 강우차단시설을 하고 0.1, 0.2, 0.5, 1.0 bar 및 자연 강우구 등 5개처리를 하여 수량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주요장려 뽕품종, 청일뽕, 용천뽕, 수성뽕, 개량뽕 및 신일뽕 등 5품종의 관수에 대한 반응정도를 구명한 포장시험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년 동안의 뽕잎 수량을 조사한 결과, 관수구에서는 무관수 대비 8% 액비구 및 액비증시구에서는 22%의 증수를 보였으나, 관수구는 무관수구와 통계적인 유의가 없었으며, 20% 액비증시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2. 토양의 화학성 중 인산함량은 액비구 및 액비 증시구에서 심토 중에 많이 존재하고 있었다. 3. 지하액비 공급은 심토에 뿌리를 더 많이 분포하도록 하였다. 4. 뽕잎 중의 화학성분은 지하액비 공급에 의해 무관수대비 수분율, 전질소, P$_2$O$_{5}$, $K_2$O, CaO 등의 함량을 높여 액비지하공급이 엽질도 개선시킴을 알 수 있었다. 5. 무관수구에서 잡초발생이 931kg/10a 였음에 비해, 지하액비구에서는 잡초의 발생이 거의 완전히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다. 6. 지하점적액비공급시 현행 관행시비량 (1년차 : 25-11-15, 2년차 : 30-13-18k kg/10a)으로 충분하며, 증비는 필요치 않았다. 7. 관수점을 0.5bar로 조정한 관수구에서 뽕잎수량이 가장 높았다. 8. 품종별 관수 효과는 청일뽕과 용천뽕이 가장 높아 22-25%, 수성뽕과 신일뽕 및 개량뽑은 9-l3% 정도 높았다.

  • PDF

장죽수도에서의 요각변화에 따른 조류에너지 생산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idal Energy Yield Capability according to the Yaw Angle in Jangjuk Strait)

  • 뜨란 바우억;최민선;양창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982-990
    • /
    • 2019
  • 최근 점점 더 많은 연구자와 정부에서 해양에너지 자원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장죽수도는 조류에너지 밀도가 높아 조류 발전소를 건설하기에 적합한 잠재적 후보지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CIRC 모델을 이용하여 장죽수도의 조류자원의 잠재량을 평가하기 위한 수치적 접근방식을 제시하고, 내부 코드를 이용하여 조석 특성을 입력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1 MW급 규모의 조류에너지 변환장치를 대상으로 4개의 레이아웃으로 배열하고 후류 효과로 인한 연간 에너지 생산량에 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효율이 가장 좋은 배치는 연간 최대 12.96 GWh/year의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값은 후류 효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고려하면 연간 0.16 GWh씩 감소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창낙조 때 터빈 요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이 요소가 에너지 추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터빈 배열은 터빈 요 각도가 346°와 164°(북쪽에서 시계 방향으로)일 때 대조기와 소조기에서 차례로 최대 조류 에너지를 얻을 수 있었다.

Growth, Hay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assava and Stylo 184 Grown under Intercropping

  • Kiyothong, K.;Wanapat,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6호
    • /
    • pp.799-807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field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growth, hay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assava and stylo 184 grown under intercropping.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with 5 treatments and 4 replications. The treatments were: sole crop cassava (C); sole crop stylo 184 (S) and three intercropping treatments comprising an additive series of one (SC), two (SSC) and three (SSSC) rows of stylo 184 to one row of cassava. The results showed that leaf area per plant (LA) of cassava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the sole crop relative to the intercropping treatments. Both total hay yield and CPDM yield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for C treatment and lower (p<0.05) for SSSC treatment. The total hay yield and CPDM yield were significantly greater (p<0.05) in the sole crop relative to the intercropping treatments. At the first and second harvests, CP content was similar among treatments; while at third and fourth harvests, CP conten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p<0.05) for the intercropping treatment relative to the sole crop. At the first and second harvest, NDF conten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p<0.05) in the sole crop relative to the intercropping treatments, whereas NDF contents were similar among intercropping treatments. Leaf area of stylo 184 at first and second harvest were significantly greater (p<0.05) for C, SC and SSC as compared with the SSSC treatments. At each harvest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sh, CP, NDF, ADF and ADL contents of stylo 184 hay between the sole crop and intercropping treatments, except for the first harvest. ADF conten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p<0.05) in S, SC treatments relative to SSC and SSSC treatments. Both collective hay yield and CPDM yield of cassava and stylo 184 were significantly greater (p<0.05) for the SSC treatment and significantly lower (p<0.05) for the S treatment. Collective hay yield and CPDM yield were significantly greater (p<0.05) for the intercropping treatments relative to the sole crop. Based on this research, it was concluded that stylo 184 showed potential for intercropping with cassava. Intercropping cassava with stylo 184 has beneficial effects and can improve foliage biomass yield and soil fertility, which would be a more sustainable system than growing the cassava as a pure stand. In terms of hay yield and CP production, two rows of stylo 184 to one row of cassava could be the optimal pattern for this intercropping system.

음식물쓰레기와 폐활성 슬러지를 이용한 생물학적 수소생산

  • 상병인;이윤지;김동임;김동건;김지성;유명진;박대원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제17회 워크샵 및 추계학술대회
    • /
    • pp.299-306
    • /
    • 2005
  • Anaerobic fermentation of food waste (FW) and waste activated sludge (WAS) for hydrogen production was performed in CSTR (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under various HRTs and volumetric mixing ratio (V/V) of two substrates, FW and WAS. The specific hydrogen production potential of FW was higher than that of WAS. However, pH drop in the CSTR for hydrogen production from FW was higher than that from WAS. The maintenance of desired pH during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operation parameter for the stable hydrogen production. Therefore, when the potential of hydrogen production from FW and better buffer capacity of WAS, the proper mixture of FW and WAS for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were considered as a useful complementary substrate. The maximum yield of specific hydrogen production, 140 mL/g VSS, was found at HRT of 2 day and the volumetric mixing ratio of 20:80 (WAS : FW).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ydrogen producing bacteria was observed in anaerobic fermentative reactor using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method.

  • PDF

에탄올 발효 배지로서 홍삼박의 활용 (Potential of Red Ginseng Marc for Ethanol Production as a Fermentation Medium)

  • 김동청;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6권4호
    • /
    • pp.245-247
    • /
    • 2013
  • 홍삼박을 에탄올 발효의 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홍삼박을 탄수화물 분해효소와 단백질분해효소로 처리한 결과 환원당의 함량이 7.2 g/L에서 101.1 g/L로 증가하였다. 홍삼박 효소분해물에 영양성분을 추가하지 않고 시판 효모를 접종하여 $25^{\circ}C$에서 7일간 발효한 결과 에탄올은 29.3 g/L까지 생성되었으며 총당대비수율은 0.274 g/g로 계산되었다. 이는 대조군보다 에탄올 생산량은 1,000% 이상, 수율은 50% 이상 향상된 결과이다.

Anaerobic digestion and agricultural application of organic wastes

  • Suanu, Leh-Togi Zobeashia S.;Abiodun, Aransiola S.;Josiah, Ijah U.J.;Peter, Abioye O.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73-85
    • /
    • 2018
  • The anaerobically digestion and agricultural application of organic wastes was conducted using food wastes and cow dung. Twenty kilograms each of the feed stocks was added into two 30 liters-capacity batch digesters. The anaerobic digestion was carried out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 $25-31^{\circ}C$ for a retention time of 51 days. The results showed a cumulative gas yield of 5.0 bars for food waste and no gas production for cow dung within the retention time. Bacteria such a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Proteus vulgaris and Clostridium sp were isolated. Fungi isolated included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nidulan, Trichophyton rubrum and Epidermophyton flocossum. The non-dispersive infrared (NDIR) analysis of the biogas produced confirmed that the gas consisted of $CH_4$, $CO_2$ and $H_2$.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emperature and biogas produced from the organic wastes (r= 0.177, p = 0.483).The organic wastes from the biogas production process stimulated maize growth when compared to control (soil without organic waste) and indicated maximum height. The study therefore reveals that food waste as potential substrates for biogas production has a moderate bio-fertilizer potential for improving plant growth and yield when added to soil.

친환경농업 시범마을 조성사업의 성과분석 (Evaluation of the Pilot Village Projec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for a Rice Farming)

  • 강충관;정만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134
    • /
    • 2004
  • Crop inputs in excess of the yield potential of the soil type reduce profitability and increase pollution problems from leaching and runoff. Inaccurate fertilizer and pesticide application can also result in profit loss. Current farming practices plan only for the dominate soil in the field. A government-supported program titled "Pilot village project for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was proceeded from 1999 to 2001 to tackle the problems with which our agriculture is faced by introducing IPM, INM and oth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otential input savings of agricultural chemicals and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roject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farm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e followings: (1) organic or no-pesticide farming size was increased from 9% in 1999 to 20% in 2001 ; (2) crop yield was a link bit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farming, but the sal6 price, gross income and income of the pilot village were 6%, 10% and 9%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farming, respectively; and (3) fertilizer and pesticide use also showed decreasing trend gradually.

  • PDF

여름철 파프리카 관비재배시 토양수분포텐셜이 과실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Water Potential on the Fruit Quality and Yield in Fertigation Cultivation of Paprika in Summer)

  • 이한철;최경이;정재완;조명환;여경환;김다미;안철근;이동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8-384
    • /
    • 2013
  • 파프리카의 토양재배면적 증가에 따라 관비재배법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관비재배(Fertigation)는 물과 양분을 함께 공급하는 방법으로 작물의 수분과 양분의 과부족에 의한 장해없이 근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 파프리카의 관비재배시 토양수 분포텐셜에 따른 과실 품질 및 수량의 효과를 구명코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쿠프라' 및 'E499524' 2품종을 공시하여 정식 후부터 수확기까지 토양수분포텐셜을 -10, -20 그리고 -30kPa로 처리구를 두었다. 초장은 토양수분포텐셜이 높은 -10kPa 처리구가 가장 길었다. 과실의 평균 과중은 '쿠프라' 품종에서는 평균과중은 -20kPa에서 154.5k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토양수분포텐셜이 낮은 -30kPa에서는 138.2kg으로 가벼웠다. 주당 착과수는 5.1~5.3개로 '쿠프라' 품종은 토양수분포텐셜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E499524' 품종은 -20kPa 처리구에서 10.3개로 가장 많았다. 상품수량은 '쿠프라' 품종은 -20kPa 처리구에서 2,321kg/10a로 가장 많았고 그리고 'E499524' 품종은 -20kPa 처리구에서 1,147kg/10a로 가장 많았다. '쿠프라' 품종에서는 과장과 과폭은 토양수분포텐셜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E499524' 품종은 토양수분포텐셜이 낮을수록 작은 경향을 보였다. 과실의 당도는 '쿠프라' 품종에서는 4.4~4.9oBrix, 그리고 'E499524' 품종에서는 7.6~8.3oBrix로 토양수분포텐셜에 따른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자방수는 '쿠프라' 품종에서는 3.3~3.6개, 그리고 'E499524' 품종에서는 2.5~2.7개로 토양수분포텐셜 간에 유의차이가 없었다. 과실의 열과 발생율은 '쿠프라' 및 'E499524' 품종 모두 토양수분포텐셜 낮을수록 적은 경향을 보였다. 식물체 내 질소의 함량은 토양수분포텐셜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쿠프라' 품종은 2.10~2.22%였고 'E499524' 품종은 1.72~1.82%였다. '쿠프라' 및 'E499524' 품종 모두 토양수분포텐셜에 따른 식물체의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 무기 양분의 함량은 유의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파프리카의 여름철 관비재배시 토양수분포텐셜을 -20kPa로 설정하는 것이 생육이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