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llowish brown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33초

The First Zoeal Stage of Echinoecus nipponicus (Decapoda: Pilumnidae: Eumedoninae) Hatched in the Laboratory

  • Lee, Seok Hy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4호
    • /
    • pp.304-308
    • /
    • 2020
  • Ovigerous crab of Echinoecus nipponicus of subfamily Eumedoninae in Pilumnidae was collected from Seogwipo, Jejudo and hatched in the laboratory. The first zoeal stage of E. nipponicus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nd its digital image of live zoeas is provided. The first zoea of E. nipponicus has yellowish red chromatophores which occurring behind eyes, on dorsal spine and on anterior margin of telson, reddish brown chromatophores on abdominal somites 2-5 ventrally, dorsal, rostral, and lateral spines shorter than carapace length, three aesthetascs and two setae on the antennule, two medial setae on the antennal exopod, lateral processes on the abdominal somites 2, 3, and two lateral spine and one dorsomedial spine on the telson.

Spectrofluorometric quantification of Clozapine i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and human plasma

  • Mohammed, Ali Fahim;Alshirifi, AN;Kadhim, Kasim Hassan
    • 분석과학
    • /
    • 제35권1호
    • /
    • pp.24-31
    • /
    • 2022
  • Herein, we present a simple, precise, accurate, and ultra-sensitive spectrofluorimetric method for estimation of clozapine (CLZ) in tablets and human plasma was developed and then validated. A highly fluorescent brown-yellowish fluorophore was formed (λex=469 nm, λemi=540 nm) as a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occurred between CLZ and 4-chloro-7-nitro-2,1,3-benzoxadiazole (NBD-Cl) in alkaline mcllavine buffer (pH 9.0). Optimum values of experimental parameters were carefully determined and optimized. The calibration curve was rectilinear over the concentration range of 80-900 ng mL-1 with a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 (r=0.9984). The LOD and LOQ were determined to be 14 ng mL-1 and 42 ng mL-1, respectively. The proposed approach has been used successfully to quantification of Clozapine in its commercial formulations and human plasma.

Review of the genus Eopompilus Gussakovskij, 1932 (Hymenoptera: Pompilidae) in South Korea

  • Kim, Jeong-Kyu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94-201
    • /
    • 2022
  • Species of the genus Eopompilus Gussakovskij, 1932 from South Korea are reviewed. Three species are confirmed: E. internalis, E. luteus, and E. minor. Eopompilus luteus i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is easily separated from its congers by markedly extensive coloration and comparatively large body size in both sexes. Females are characterized by yellowish wing, light brown stigma and veins, lacking of subapical or apical dark fascia on forewing. Males are characterized by serrate antenna formed by submesal convex on each flagellomeres 2-11, symmetrical claws of fore tarsus, hypopygium widened basally and forming a rhomboid plate, lacking of dark fasciae in forewing. The specimen identified as Cryptocheilus nicevilli Bingham from Korea by Kim (1970) is examined and is reclassified as conspecific with E. luteus. A key is presented of the three species complemented by digital images and diagnosis.

재배기간이 짧은 갈색 팽이버섯 신품종 '금향'의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brown variety 'Geumhyang' with short cultivation period in Flammulina velutipes)

  • 김민자;장후봉;최재선;이관우;주경남;김이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2-96
    • /
    • 2015
  • 팽이버섯 신품종 '금향'은 '갈뫼'와 수집 야생균주인 'CBMFV-33'으로부터 분리한 단포자를 교배함으로써 육성된 품종으로, 갓 색이 진한 미색을 나타내며, 재배기간이 짧다. 병재배 시 배양 기간은 23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7일, 생육일수는 17일로 총재배기간이 47일이 소요되어 대조품종 '갈뫼'에 비해 7일이 단축되었다. 갓 직경은 '갈뫼'에 비해 크고, 갓 색은 진한 미색을 나타냈다. 수량은 850 ml 병 당 162 g으로 '갈뫼' 대비 8% 증수되었다. 또한 야생 팽이버섯처럼 식미감도 우수하여, 차별화된 색과 맛으로 백색 팽이버섯의 틈새시장 공략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흡충에 대한 살충성 물질에 관한 연구 V. 잉어 체표점액내 살충성물질의 화학적 성상 (The Wormicidal Substance of Fresh Water Fishes on Clonorehis sinensis V. Purification and Chemical Charaeterization of Clonorehicidal Substance from Epidermal Mucus of Cyprinus carpio)

  • 이재구;안병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127-134
    • /
    • 1984
  • As a series of studies to clarify clonorchicidal substances in body surface mucus of some freshwater fishes, the substance in the epidermal mucus of Cyprinus carpio was isolated by silica gel column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analysed for its chemical nature. Wormicidal trial was done in vitro,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ucus was extracted by ethyl ether and separated into 4 fractions by column chromatography using benzene as solvent. The second fraction with yellowish red colour among them showed the strongest clonorchicidal effect. The yellowish red fraction obtained by column chromatography was then fractionated into 6 spots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with petrol/ etherjchloroform (30/70, v/v), and the Rf. 0.714 spot among the 6 spots showed the strongest effect. The Rf. 0.714 spot was further fractionated into 6 spots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with benzene/acetone (90/10, vlv), and the Rf. 0.800 spot among the later 6 spots revealed the strongest effect. The Rf. 0.800 spot was chromatographed on column with benzene and 2 fractions were obtained. The second fraction of light brown colour represented the final purified fraction. By these Purification Procedures, clonorchicidal substance was Purified 15-fold with 0.035 yield from the mucus of C. carpio, and 10mg of the final fraction killed the cercaria in 26 min, the metacercaria in 115 min, and the adult in 443 min. Infra red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ric analysis of the purified substance revealed that the substance belongs to an ethyl ester of unsaturated fatty acid with 2 double bonds, 15 methylene groups and 1 methyl group.

  • PDF

녹조류 참홑파래 (Monostromu nitidum)의 생태와 초기생장 (Ecology and Early Growth of Monostroma nitidum (Ulvales, Chlorophyta) in Korea)

  • 윤장택;조용철;공용근;정규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19-426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cology and growth of Monostroma nitidum Wittrock in both its natural habitat and the laboratory. The maximum length, width, and weight of M. nitidum in March were 9.0$\pm$4.7 cm, 9.6$\pm$3.6 cm, and 1.52$\pm$1.13 g, respectively. Yellowish-green or yellowish-brown reproductive thalli began to appear in January, and over 80% of the thalli matured by March. The male and female spores were ca. 6 $\mu$m long, and elongate and ovoid in shape. The spores had two flagella and one-eye spot, and tended to swim toward light. Maximum number of spores released from matured thalli was 236 cells/mL after 70 minutes at a light intensity of 100 $\mu$mol/m$^2$/s. The zygote diameter ranged from 3.4-6.0 $\mu$m (mean 4.2 $$m) and increased to 69.8 $\mu$m 14 weeks after culture. The mass release of zoospores was observed from thalli in the dark (3 to 12 days), after 30 min under dry conditions in the shade, at 25$^{\circ}C$, and a light intensity of 100 $\mu$mol/m$^2$/s. The maximum number of zoospores released was 109.8 cells/mL after 60 min of induction. M. nitidum fronds on the net increased to 6.8-7.2 cm in length, and 6.6-8.9 cm in width during the winter.

기장 유전자원의 농업적 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ommon Millet Germplasm)

  • 윤성탁;허진우;김성민;김창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94-400
    • /
    • 2008
  • 수년 동안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기장 137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농업적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137자원의 수형은 편수형, 산수형, 편밀수형(편수형과 밀수형의 중간형태) 및 산편수형(산수형 과 편수형의 중간 형태)의 4가지 수형으로 구분되었다. 수형별 빈도를 보면 편수형이 91자원으로 66.4%를 차지하였다. 2. 종피색은 황백색, 황갈색, 흑갈색, 황색 및 갈색 5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종피색별 빈도를 보면 황백색 이 54자원 39.4%로 가장 많았으며, 종실형태는 방추형이 62.8%, 단방 추형이 37.2%이었다. 3. 출수소요일은 $68{\sim}85$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73.7일이었다. 빈도별 분포는 $70{\sim}75$일이 46.7%로 가장 많았다. 생육기간은 $109{\sim}124$일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평균 112일이었다. 생 육기간의 빈도를 보면 $111{\sim}115$일이 83자원으로 60.6%로 가장 많았다. 4. 간장의 분포는 $181{\sim}190\;cm$가 65자원으로 47.4%로 가장 많았으며, 160 cm 이하가 2.9%로 가장 적었다. 수장은 $156{\sim}201\;cm$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181.4 cm이었으며, 빈도별 분포는 $31{\sim}35\;cm$가 74자원으로 54.0%로 가장 많았다. 5. 1수립수의 범위는 $432{\sim}2,665$개로 변이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1,429.5개이었다. 1수립수 분포는 $1,200{\sim}1,400$개가 20.4%로 가장 많았으며, 1,000개 이하 및 2,000개 이상이 각각 13.1%, 8.6%를 차지 하였다. 6. 등숙률은 10% 이하에서 90% 이상까지 변이의 폭이 매우 컷다. 1000립중은 범위가 $2.2{\sim}6.0\;g$으로 변 이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4.69 g이었다. 7. 간장은 수장 및 출수소요일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생육기간은 1000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등숙률도 1000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등숙률이 높은 자 원일수록 1000립중이 높았다.

산성암(酸性岩) 및 중성암(中性岩)의 잔적층(殘積層)에 발달(發達)한 적황색토(赤黃色土)의 생성(生成) 및 분류(分類) -제(第)II보(報) 송정통(松汀統)에 관(關)하여 (Gene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Red-Yellow Soils derived from Residuum on Acidic and Intermediate Rocks -II. Songjeong series)

  • 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5-81
    • /
    • 1973
  • 산성암(酸性岩)인 화강암(花崗岩)의 풍화잔적물(風化殘積物)을 모재(母材)로하여 발달(發達)한 적황색상(赤黃色上)인 전남통(全南統)에 이어 송정통(松汀統)의 형태(形態), 물리(物理), 화학적특성(化學的特性)과 생성(生成) 및 분류(分類)에 관(關)하여 연구조사(硏究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형태적특성(形態的特性)을 보면 표토(表土)는 갈색(褐色) 내지(乃至) 암갈색(暗褐色)의 양토(壤土)이며 심토(心土)는 황적색(黃赤色) 내지(乃至) 적색(赤色)의 식양토(埴壤土)로 토양구조(土壤構造)의 발달(發達)은 보통(普通)이고 엷은 점토막(粘土膜)이 구조표면(構造表面)에 형성(形成)되여 있다. 기층(基層)은 매우깊고 황적색(黃赤色) 내지(乃至) 황갈색(黃褐色)의 세사양토(細砂壤土) 또는 사양토(砂壤土)로 화강암풍화(花崗岩風化) 잔적물(殘積物)이며 암석구조(岩石構造)와 유사(類似)하다. 2. 물리적특성(物理約特性)에서 토양입자(土壤粒子)의 분포(分布) 비율(比率)을 보면 표상(表土)에서 보다 심토(心土)로 점토(粘土) 함량(含量)이 많으며 기층(基層)으로 내려갈수록 점토(粘土) 함량(含量)이 줄어든다. 3. 화학적특성(化學的特性)은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적고 토양반응(土壤反應)이 매우 강(强)한 산성(酸性)이며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 및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가 낮다. 4. 토양(土壤)의 자연비옥도(自然肥沃度)는 낮어 특별(特別)한 관리(管理)나 충분(充分)한 비료(肥料)의 시용(施用) 그리고 토양침식(土壤浸蝕)을 방지(防止)하여야 경지(耕地)로 이용(利用)이 가능(可能)하다. 5. 송정통(松汀統)의 생성(生成)은 온난습윤(溫暖濕潤)한 기후조건하(氣候條件下)에서 침엽(針葉), 활엽 및 혼성림지대(混成林地帶)에 생성(生成)되며 토양분류(土壤分類)는 적황색토(赤黃色土)라 분류(分類)할 수 있고 미국(美國)의 7차시안(次試案)에 의(依)하면 Fine Loamy, mesic, Typic Hapludults, FAO/UNECO의 방법(方法)에 의(依)하면 Orthic Acrisols에 층(層)할 수 있다.

  • PDF

석간주의 이화학적 특성이 기능성 및 내광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eokganju on Functionality and Light Fastness)

  • 박주현;정혜영;문성우;우인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85-495
    • /
    • 2017
  • 본 연구는 천연안료 중 단청용 적색안료로 주로 사용되는 석간주의 성분 및 물성에 따른 기능성 및 내광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여 시판되는 적색의 산화철계열 천연안료는 석간주와 대자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으며 수집된 8종의 석간주를 대상으로 구성광물과 성분조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Hematite를 포함하고 있으며, 성분조성에 따라 $Fe_2O_3$함량이 40% 이상의 고함량인 그룹과 15%이하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소성 여부에 따라서도 구분이 되는데 소성된 석간주의 경우 소성에 따라 운모의 상전이로 인한 색상 변화와 평균입도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석간주 안료 자체의 색도를 분석한 결과 $Fe_2O_3$ 함량이 높은 시료들의 색도는 암적색, 회갈색인 반면, $Fe_2O_3$의 함량이 낮은 시료는 황갈색이나 황적색을 나타내었으며, 적색도 $a^*$를 결정하는 것은 산화철($Fe_2O_3$)의 함량이었다. 안료의 기능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아교를 석간주와 배합하여 발림성, 은폐력의 기능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결과 점토성 광물의 성분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얻었다. 내광성 평가를 통하여 색변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안료의 발림성과 은폐력은 주구성광물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었다. 내광성 평가 결과 대부분 누적광량이 $0{\sim}9,000KJ/m^2$까지는 색차가 크지 않지만 $18,000kJ/m^2$에서 크게 변색되었다. 특히 소성한 석간주는 소성하지 않은 석간주에 비해 내광성이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제 4기 층서와 해수면 변화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sea-level change in the tidal flat of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 장진호;박용안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권2호
    • /
    • pp.59-72
    • /
    • 1996
  • 한반도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제 4기 층서는 최소한 2개의 부정합면을 경계로 하여 하부로부터 기반암, 선현세 산화대층(혹은 풍화토), 현세 조간대층의 순서로 배열된다. 선현세의 산화대층은 황갈색의 반고화된 이질 퇴적층으로서 식물 뿌리와 식물 조각들이 산재하고, 수평 및 수직 방향의 미세한 틈(crack)들이 존재하며, 해양성 패각과 미고생물 화석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산화대층은 12,000년 B.P.이전의 아빙기(stadial) 시기에 해안 육지의 지형적 저지(소분지)에서 퇴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세의 조간대층은 하부의 이질 퇴적상(상부 조간대층) 과 상부의 사질 퇴적상(중부 및 하부 조간대층)으로 구성된 상향조립의 해침층 (transgressive succession)으로서 현세의 해수면 상승을 반영한다. 해수면 지시에 적합한 물질의 $^{14}$ C-연령과 심도(depth)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현세의 해수 면 변화를 추적한 결과, 한반도 서해의 해수면(relative sea-level 혹은 local sea- level)은 현재의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7,000년 B.P.에 6.5 m 아래, 4,000년 B.P. 에 3 m 아래, 그리고 2,000년 B.P.에는 2.5 m 아래에 위치하였고, 현세 동안 큰 범위의 상승 및 하강 변화를 보인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