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sea-level change in the tidal flat of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제 4기 층서와 해수면 변화

  • Published : 1996.10.01

Abstract

The stratigraphy of the Gomso-Bay tidal flat consists of basement, preHolocene oxidized unit, and Holocene tidal sequence in ascending order. The oxidized unit is a yellowish brown stiff mud of the last stadial (or subglacial) stage before 12,000 yr B.P. This yellowish brown preHolocene unit does not contain any marine fossils, but contains plant roots, plant fragments, and also vertical and horizontal microfractures indicating soil-formation when exposed. It is regarded as interfluve deposits. The Holocene tidal sequence is composed of lower mud facies (upper-flat muds), upper sand and muddy sand facies (middle to lower-flat sands). This coarsening-upward and retrograding pattern of Holocene tidal deposits reflects a Holocene sea-level rise. The plots of $\^$14/C-age versus depth of dated samples (peats and shells) show that the sea level of 7,000 yr B.P. was located about 6.5 m below the present mean sea level, and the sea levels of 4,000 yr B.P. and 2,000 yr B.P. were also situated about 3 m and 2.5 m below the present mean sea level, respectively.

한반도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제 4기 층서는 최소한 2개의 부정합면을 경계로 하여 하부로부터 기반암, 선현세 산화대층(혹은 풍화토), 현세 조간대층의 순서로 배열된다. 선현세의 산화대층은 황갈색의 반고화된 이질 퇴적층으로서 식물 뿌리와 식물 조각들이 산재하고, 수평 및 수직 방향의 미세한 틈(crack)들이 존재하며, 해양성 패각과 미고생물 화석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산화대층은 12,000년 B.P.이전의 아빙기(stadial) 시기에 해안 육지의 지형적 저지(소분지)에서 퇴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세의 조간대층은 하부의 이질 퇴적상(상부 조간대층) 과 상부의 사질 퇴적상(중부 및 하부 조간대층)으로 구성된 상향조립의 해침층 (transgressive succession)으로서 현세의 해수면 상승을 반영한다. 해수면 지시에 적합한 물질의 $^{14}$ C-연령과 심도(depth)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현세의 해수 면 변화를 추적한 결과, 한반도 서해의 해수면(relative sea-level 혹은 local sea- level)은 현재의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7,000년 B.P.에 6.5 m 아래, 4,000년 B.P. 에 3 m 아래, 그리고 2,000년 B.P.에는 2.5 m 아래에 위치하였고, 현세 동안 큰 범위의 상승 및 하강 변화를 보인 증거는 찾을 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