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role

검색결과 3,372건 처리시간 0.029초

분산환경에서의 권한필터링을 위한 접근제어 모델 (An Access Control Model For The Authority Filtering in the Distributed Environment)

  • 민병석;조태경;심완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50-256
    • /
    • 2007
  • 역할기반접근제어(RBAC)는 사용자나 네트워크상의 자원을 관리하는데 있어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접근제어 모델로 인정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역할기반 접근제어기법을 응용하여 기존의 RBAC에 Role의 상위 개념인 워크(work)개념을 도입한다. 워크개념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업무를 수행시 역할(Role)이 아닌 좀더 추상적이고 포괄적 개념인 워크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워크는 사용자가 선택된 업무에 따라 정해지지만 정해진 워크에 따라 자신에게 부여되어 있는 권한이라 할지라도 현재 처리하고 있는 업무에 관련성이 없는 권한은 시스템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고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취업모의 일-어머니 역할 갈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모역할만족도의 매개효과 (Effect of Employed Mother's Work-mother Role Conflict on Parenting Stress: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atisfaction)

  • 김안나;권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375-384
    • /
    • 2014
  • 본 연구는 취업모가 지각한 일-어머니 역할 갈등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모역할만족도의 매개적 역할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직장에 다니는 만 2-5세의 자녀를 둔 취업모 515명이었다. 조사는 2013년 2월 15일부터 3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일-어머니 역할 갈등, 부모역할만족도,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어머니 역할 갈등과 부모역할만족도는 양육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어머니 역할 갈등은 부모역할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어머니 역할 갈등은 부모역할만족도를 매개로 양육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해서 보육정책의 정착을 통하여 일-어머니 역할 갈등을 낮추고 부모역할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취업모의 직장환경, 양육시간에 따른 일-어머니 역할갈등 (Employed Mother's Work-mother Role Conflict According to Mother's Work Variables and Parenting Time)

  • 최연화;조복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5
    • /
    • 2007
  • 본 연구는 취업모의 직장환경과 양육시간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일-어머니 역할갈등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을 통해 만 3-5세 영유아의 취업모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설문지는 아동을 통해 각 가정에 의뢰하여 어린이집에서 수거한 뒤 본 연구자가 취합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중에서 202부가 회수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t, F검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직장환경은 근무시간 융통성이 낮고, 비정규 근무가 높을수록 일-어머니 역할갈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과 관련된 정책의 시행여부에 따라서는 일-어머니 역할갈등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취업모가 자녀와 함께하는 양육시간이 짧을수록 일-어머니 역할갈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취업모의 일-어머니 역할갈등과 직장환경, 양육시간은 서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모의 직장환경과 양육시간은 일-어머니 역할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막벌이부부의 역할갈등과 심리적.신체적 디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Physical Distress of Dual-earner Couples)

  • 하현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9-326
    • /
    • 199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eset the relationships between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physical distress of dual/earner families in Pusan.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socio-economic status, wives' work time, spouse's emotional support scale, husbands' housework participation, role conflict scale, psychologica/physical distress scal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role conflict and psychological/physical distress were higher among wives than among husbands. 2. Role conflict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level of psychological/physical distress directly. 3. Wives' psychological/physical distres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role conflict and socio-economic status directly. Wives' psychological/physical distress were affected by wives' work time, husbands' emotional support, husbands' housework participation indirectly. 4. Husbands' psychological distre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role conflict and husbands' housework participation directly. Husbands' physical distre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role conflict directly. Husbands' psychological/physical distress were affected by wives' work time, wives' emotional support indirectly.

  • PDF

역할 모델(Role model)을 이용한 업무 개선 - 업무의 달인(達人)을 찾아라 - (The Performance Improvement by Using a Role Model)

  • 정우영;류재광;김경식
    • 핵의학기술
    • /
    • 제12권3호
    • /
    • pp.199-207
    • /
    • 2008
  • 목적 : 역할 모델링의 목적은 효율적(빠르고, 쉽고, 정확 하게)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업무의 달인(達人)을 찾아 이를 모델로 하여 실무자들이 효과적으로 각자 맡은바 업무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실무자들 간의 업무 능력의 편차를 발견하고 역할 모델을 제시하여 실무에 최적화된 업무 프로세스를 정착하기 위한 노력이며 이는 업무 기술 기준의 표준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실험재료 및 방법 :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는 6~7개의 역할 모델링 항목을 개발하였고, 실무에 적용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 중에서 첫째, Bone scan 검사 시에 발목 고정의 중요성 인식 및 고정의 효율 향상과 둘째, Bone scan 검사에서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의 표준화를 통한 업무 개선 사례를 보고한다. 결과 : 두 가지의 사례 모두에서 개선 전에 비하여 개선 후에 업무 효율을 향상할 수 있었다. 결론 : 역할 모델링(Role modeling)의 실무 활용은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업무 수행자 또는 우수한 집단들의 행동 및 업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탁월한 역할 모델을 발굴하고 이를 업무 기술 기준 표준화에 적극 활용하여 직원들 간의 업무능력의 편차를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담당 업무를 효과적으로 잘 처리하는 직원을 모델로 하여, 업무를 열심히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가 부족한 직원의 성과 향상을 꾀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 하겠다. 핵의학팀은 역할 모델링 항목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실무에 활용하여 업무를 개선해 나아갈 계획이며 업무 개선 활동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평가하고 있다.

  • PDF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to Turnover Intention for Men in Nursing)

  • 황하만;김명자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2-41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conflict for men in nursing,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1 and September 1, 2015 from 225 men in nursing currently working in 36 Korean general hospitals, each with ${\geq}100$ beds. Frequency and percentages were analyzed,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and Duncan's test were us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role conflict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en. In contra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role conflict were found in association with the following job-related characteristics: work experience at the present hospital, work department, work unit, and type of work.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detected between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decrease the turnover intention of men in nursing, measures to reduce gender role conflict are needed.

남성의 부모기로의 전이와 직업역할 : 전이시기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Men's Work Role and Transition to Fatherhood : Does Transition Timing Matter)

  • 한경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31-24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work role and fatherhood role of young men who experienced the transition to fatherhood within the last two years. The effect of transition tim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role and fatherhood was also explored. In-depth, qualitative data were gathered from thirty m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exist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timing groups.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nature of career demand between 'late' fathers and 'early' or 'on-time' fathers. However, no clear effects of timing of fatherhood on men's parenting behavior and attitude toward father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role and fatherhood were found.

  • PDF

기혼여성이 지각한 가족 내 역할 인식 및 부부친밀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일-가정양립 인식의 매개효과: 잠재성장모형 및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연구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on the Relationship of Role Recognition in the Family, Marital Intimacy and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 한혜림;이지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263-274
    • /
    • 201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on the relationship of role recognition in the family, marital intimacy and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and to introduc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by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subjects were married women from the third year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Structural equational models were conducted with Amos ver. 21.0.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latent growth modeling is the rate of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mediated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role recognition in the family and the rate of change of job satisfaction, and the rate of change of work-family balance mediated between the rate of change of marital intimacy and the rate of change of job satisfaction. Second, when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the more role recognition and marital intimacy of third year were the more work-family balance of fourth year, job satisfaction of fifth year. In both models, work-family balance mediated between role recognition in the family, marital intimacy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can be found that there was a longitudinal effects.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다중역할 경험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ual-Earner Couple's Gender Role Attitude and Work-family Experience on Marrital Satisfaction)

  • 손보영;김수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26-333
    • /
    • 2020
  •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대한 이해를 위해 부부 각각의 성역할 태도, 다중역할 수행에서의 갈등과 향상의 경험이 자신과 배우자에게 미치는 상호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맞벌이 부부 95쌍, 총 190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태도, 다중역할 경험 및 결혼만족도에 있어 부부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역할태도 및 다중역할 경험에 있어 부부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결혼만족도에 있어 남편이 아내보다 유의하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상호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부 간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남편의 경우 자신의 성역할태도, 자신의 다중역할 향상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반면, 아내의 경우는 남편의 성역할태도가 결혼생활 만족에 있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아내 자신의 다중역할 갈등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관한 교육 및 프로그램에 있어 남편과 아내 각각의 영향과 상호간의 영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Unveiling the Mediating Role of Personality: Exploring the Nexu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rk Stress in Public Organizations

  • Rohana Ahmad;Mohd Fo'ad Sakdan;Halimah Abdul Manaf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1-27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play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sonality, and work stress in public organizations, focusing on public servants in Putrajaya, Kuala Lumpur. Data from 702 public servants in Putrajaya, Kuala Lumpur, out of 800 distribu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igorous analysis employ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ith partial least squares (PLS-SEM) methodology. Our empirical analysis challenges the conventional belief of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rk stress in public organizations, revealing no direct link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creased work stress in this context. Our study highligh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work stress among public servants, emphasizing the role of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shaping work-related stress levels. Finally, personality emerged as a crucial mediator i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work stress relationship, indicating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rectly influences work stress through its impact on personality.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personality as a mediating factor in understanding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work stress dynamic in public organizations. In summary, our research provides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sonality, and work stress in public organizations. These findings challenge conventional assumptions, emphasize individual differences in stress levels, and underscore the mediating role of personality in addressing work stress among public serv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