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y debri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7초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한 고사목의 탄소저장량 변화: 강원도를 대상으로 (Changes in Carbon Stocks of Coarse Woody Debris in National Forest Inventories: Focus on Gangwon Province)

  • 문가현;임종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2호
    • /
    • pp.233-243
    • /
    • 2021
  • 기후변화 영향의 심각성을 인지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발맞춰 우리 정부는 2050 탄소중립 선언을 통해 지속가능한 탄소중립 사회를 지향하고 있으며,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이행을 위해 산림부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전략을 수행중이다. 특히 산림 내 고사목은 탄소저장고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므로 고정표본점에 대하여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는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에서 수집되는 고사목 자료를 활용하여 고사목 축적량과 고사목의 탄소저장량 변화 특성을 구명하는 것은 의의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차수별(제5차-제7차 NFI) 고사목 자료를 활용하여 동일표 본점 내 고사목의 발생 현황 및 탄소저장량을 산출하고 시간에 따른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강원도 산림에서 각 차수별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동일 표본점 2,021개를 분석한 결과 조사차수별 고사목 축적량(m3 ha-1)은 제5차 및 제6차 NFI에서 각각 4.71과 4.09로 나타났으나, 제7차 NFI에서는 3.09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연도별 고사목의 탄소저장량(ton C ha-1)은 2009년 0.67, 2014년 0.64, 그리고 2019년 0.41로 분석되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감소추세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향후 전국 산림에 대한 고사목의 탄소저장량 추정 및 시계열적 변화 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산불피해지 복원방법에 따른 설치류의 서식밀도 및 체중 차이 (Differences in Density and Body Weight of Rodents in Different Restored Forest Areas after Forest Fire)

  • 이은재;이우신;임신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3호
    • /
    • pp.365-369
    • /
    • 2006
  • 본 연구는 강원도 삼척시 검봉산 일대의 침엽수림 지역에서 2000년 발생한 산불피해 후 복원방법에 따라 각각 산림환경이 다른 조림지역과 자연복원지역, 미피해지역에서 설치류의 서식밀도 및 체중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2004년 7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산불 미피해지역과 자연복원지역 간 설치류의 개체군 밀도는 차이가 없는 반면, 조림지역에서 가장 낮았다. 체중 역시 조림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자연복원지역이 조림지역에 비해 설치류의 서식밀도 및 체중이 높게 나타난 것은 지면의 수목잔존물(CWD, coarse woody debris)과 하층식생이 커버(cover)로써 설치류에게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Fuel Properties of Woody Pellets in Domestic Markets of Korea

  • Oh, Jae-Heun;Hwang, Jin-Sung;Cha, Du-So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4호
    • /
    • pp.362-369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physical properties and combustion gas characteristics for 8 types of wood pellets (4 domestic and 4 imported products) distributed in the domestic market. Results showed that most pellet types were first-grade pellets in the wood pellet quality standards in Korea with the exception of 3 pellet types from K company (second-grade in mechanical durability), G company (off-grade in nitrogen content) and P company (second-grade in ash percentage). Mixed pellets which contained more lignin and sap content were higher in mechanical durability (%) than that of white pellets. From the combustion gas analysis results, NOx emitted from all pellets combustion was at acceptable levels for national emission standard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except for pellets from G company. In addition, CO levels from all types of wood pellets were acceptable except for pellets from D company and domestic pellets were higher CO levels than imported pellets. These results indicate the higher CO levels in domestic pellets due to the usage of forest thinning materials including logging debris which usually had the high content of bark.

산불피해 후 자연복원과 소나무 조림을 실시한 지역에서 설치류 3종의 개체군 밀도 차이 (Differences in Population Density of 3 Rodent Species Between Natural Restored and Red Pine Silvicultured Forests after Forest fire)

  • 이은재;손승훈;이우신;어수형;임신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53-558
    • /
    • 2010
  • 본 연구는 산불피해 후 자연복원과 소나무 조림을 실시한 지역에서 서식환경과 설치류 개체군의 밀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강원도 삼척시 검봉산 일대의 2000년도 산불피해 지역에서 2008년 3월에서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수행되었다. 자연복원지과 소나무 조림지에서 각각 3개씩 1 ha 크기의 조사지를 선정하여 2개월 간격으로 각각 4일간의 포획조사 및 서식환경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식환경 조사 결과, 하층 피도량 및 치수의 수는 조림지가 자연 복원지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중층 피도량, 중상층 피도량, 상층 피도량, 교목, 관목의 수, 고사목의 수, 수목잔존물의 양 등은 자연복원지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포획 조사 결과 등줄쥐(Apodemus agrarius), 흰넓적다리 붉은쥐(Apodemus peninsulae), 대륙밭쥐(Eothenomys regulus), 다람쥐(Tamias sibiricus) 등 총 4종 688개체가 포획되었다. 설치류의 포획 개체수는 조림지보다 자연복원지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흰넓적다리붉은쥐, 대륙밭쥐, 다람쥐 등 3종이 조림지보다 더 높은 포획 개체수를 보였다. 이에 비해 등줄쥐는 조림지에서 많이 포획되었다. 등줄쥐와 흰넓적다리붉은쥐는 4월과 12월에 최대 포획개체수를 나타내었으며, 대륙밭쥐는 4월과 6월에, 다람쥐는 6월과 10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포획되었다. 수목잔존물 제거 및 조림으로 인해 수관층과 하층식생이 개방된 서식 환경은 설치류의 서식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산불 피해 발생후 하층식생 및 수관층이 유지될 수 있도록 산림을 관리하는 것이 설치류의 다양성 유지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내설악 전나무 고목림에 존재하는 고사목에 관한 기본 자료조사 (A Basic Survey about Dead Tree of Old Korean Fir Stands in Mt. Sorak)

  • 장동원;윤영일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251-256
    • /
    • 2003
  • 내설악의 5개 전나무 고목림에서 고사목의 형태, 수종, 축적 등에 관한 다양한 기본자료를 수집하였다. 비록 전나무 고목림에 한정된 조사였으나 국외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고사목에 관한 각종 자료수집이 가능하였다. 고사목의 수종은 전나무 외에도 기타 활엽수종이 약간 나타났으며, 고사목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모든 형태가 두루 나타났다. 고사목의 축적은 평균 60.42 $\textrm{m}^2 \; ha^{-1}$로 나타났으며, CWD와 고사목의 분포는 서로 관련이 없어 보인다.

Heterogeneous Habitat for Increasing Biological Diversity

  • Lee, Sang-Don
    • 환경생물
    • /
    • 제21권4호
    • /
    • pp.337-341
    • /
    • 2003
  • Habitat heterogeneity can enhance biological diversity by providing variation in structural diversity. This paper reviewed heterogeneous habitat serves as a population stability and superior demographic performance (e.g., high density, survivorship, reproductive rate) can be observed compared with organisms with inferior demographic performance. The idea of habitat variation has been further developed in modelling. Furthermore the size and configuration (distribution) of a patch (of a particular habitat type) become effective for the stability of population through hiding places and food resources. Species diversity is related to habitat complexity that provides structural diversity to ground -dwelling organisms. Finally coarse woody debris can enhance habitat complexity thus stabilizing population fluctuation and increasing survivorship.

유역관리에서 경관생태학의 응용 : 절개된 경관의 생태적 기능을 어떻게 회복시킬 수 있을까\ulcorner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y to Watershed Management : How can We Restore Ecological Functions in Fragmented landscape\ulcorner)

  • Nakamura, Futosh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4호
    • /
    • pp.373-382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the ecological structure and function of riparian zone, and their historical changes with land-use. The riparian zone consists of valley floor landform and riparian vegetation. The functions discussed are attenuation of sunlight energy, input of leaves and needles, contribution of woody debris to streams, and retention of flowing material out of transport. These primary function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water and sediment qualities of streams, bars and floodplains, and thereby aquatic biota. Temporal changes in a hydrological system and riparian ecosystem were examined with reference to land-use conversin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nkages between these two systems in Toikanbetsu River. The influences of channelization and land-use on discharge of suspended sediment and wetland vegetation was also investigated in Kushiro Marsh. These two examples suggested that the ecological functions of riparian zone have been degraded as flood control and reclamation works have expanded in the past twenty years The author proposes river restoration planning by preserving or creating landscape elements based on the concepts of sustaining physical and ecological linkages.

  • PDF

울릉도 섬잣나무-솔송나무림의 구조 및 하층식생의 종 다양성 (Structure and Understory Species Diversity of Pinus parviflora - Tsuga sieboldii Forest in Ulleung Island)

  • 조용찬;홍진기;조현제;배관호;김준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34-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 태하령의 섬잣나무-솔송나무림에서 10개의 영구방형구($10m{\times}10m$) 및 30개의 소방 형구($1m{\times}3m$)를 설치하여 임분구조, 식생조성 및 종다양성을 밝히며 종다양성 모형을 수립하였다. 섬잣나무-솔송나무 임분의 광량은 평균 $3.7mol{\cdot}m^{-2}{\cdot}day^{-1}$, 수관 열림도는 평균 8.6 %로 분석되었다. Mantel 검정 결과, 임분 상층의 구조가 장기적으로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나타났다. 하층식생의 조성은 지상부의 구조 및 토양 나출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중회귀분석을 통한 종다양성 모형에서 섬잣나무의 양적 요인(단면적 및 밀도) 및 숲 바닥 조건이 유의한 예측변수로 분석되었다. 섬잣나무-솔송나무림의 유지에는 비교적 큰 규모의 교란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종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여우꼬리사초 및 큰두루미꽃과 같은 단일 군반을 형성하는 교란지 종의 확장을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잎갈나무와 리기다소나무 고사목의 호흡속도: 고사목의 부후등급과 이화학적 특성의 영향 (Coarse Woody Debris (CWD) Respiration Rates of Larix kaempferi and Pinus rigida: Effects of Decay Clas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WD)

  • 이민규;권보람;김성근;윤태경;손요환;이명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1호
    • /
    • pp.40-49
    • /
    • 2019
  • 고사목(CWD)은 산림생태계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산림의 에너지 흐름과 물질순환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고사목은 탄소를 격리하는 장기 저장고로서, 산림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탄소의 속도를 지연시키는 측면에서 고사목의 호흡속도를 구명하는 것은 의의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대중부지역의 일본잎갈나무와 리기다소나무 고사목을 대상으로 호흡속도를 측정하고, 호흡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밀도, 함수율, 탄소농도, 질소농도 및 C/N비)의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2018년 여름, 우리나라 중부지역 14개 임분에서 부후등급 별로 시료를 채취하고, 실험실에서 휴대용 이산화탄소 센서를 부착한 밀폐형 챔버를 이용하여 고사목 호흡을 측정하였다. 두 수종 모두 부후가 진행함에 따라 고사목 밀도는 감소하였으며, 함수율은 증가했다. 또한 탄소농도는 부후등급에 따라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질소농도는 증가하고 C/N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본잎갈나무의 경우 부후 IV등급까지 고사목의 호흡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리기다소나무에서는 부후 II등급까지 증가 후 평형상태를 보였다. 따라서 탄소농도를 제외하고, 모든 인자들이 호흡속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단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두 수종 모두 함수율이 고사목 호흡속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고사목의 수분은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여 호흡속도에 영향을 미치며, 온도와 광 환경 등 복잡하게 연결된 환경인자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므로 향후 이들의 상호관계 및 수분의 시계열적패턴 추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Carbon Storage of Pure and Mixed Pine-Deciduous Oak Forests in Gwangneung, Central Korea

  • Lee, Sue-Kyoung;Son, Yo-Whan;Noh, Nam-Jin;Yoon, Tae-Kyung;Lee, Ah-Reum;Seo, Kyung-Won;Hwang, Jae-Hong;Bae, Sang-W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4호
    • /
    • pp.237-24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arbon (C) contents in different mixed stands of P. dens if/ora and deciduous oak species in Gwangneung, central Korea. Five mixed stands with different ratios of P. densiflora and deciduous oak species were chosen based on the basal area of all trees ${\geq}\;5cm$ DBH: pure P. densiflora (P100D0), 70% P. densiflora + 30% deciduous oak species (P70D30), 44% P. densiflora + 56% deciduous oak species (P50D50), 37% P. densiflora + 63% deciduous oak species (P40D60), and 10% P. densiflora + 90% deciduous oak species (P10D90). Total C contents in the overstory (aboveground and belowground) vegetation were higher in the mixed stands (P70D30, P50D50, P40D60) than in the pure stands (P100D0, P10D90). Moreover, except for P40D60, C contents of forest floor (litter and coarse woody debris) were larger in the mixed stands (P70D30, P50D50) than in the pure stands. However, total soil C contents up to 30cm depth were highest in the pure deciduous oak stand than in the pure P. densiflora stand and mixed stands. Total ecosystem C contents (Mg/ha) were 163.3 for P100D0, 152.3 for P70D30, 188.8 for P50D50, 160.2 for P40D60, and 150.4 for P10D90, respectively. These differences in total ecosystem C contents among the different mixed stands for P. densiflora and deciduous oak species within the study stands were attributed by the differences in vegetation development and forest management practices. Among the five study stands, the total ecosystem C contents were maximized in the 1:1 mixed ratio of P. densiflora and deciduous oak species (P50D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