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for older adults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a Memor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 Kim, Eun-Hwi;Suh, Soon-Rim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31-44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a memor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implemented in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The participants were 62 older adults from senior centers and older adult welfare facilities in D and G city (Experimental group=30, Control group=32).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a 12-session memor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program over 6 weeks. Data regarding memory self-efficacy, memory, visual-motor integration, and depression were collected from July to October of 2014 and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using PASW Statistics (SPSS) 18.0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s. Results: Memory self-efficacy (t=2.20, p=.031), memory (Z=-2.92, p=.004), and visual-motor integration (Z=-2.49, p=.013)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depression (Z=-0.90, p=.367)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Conclusion: This program is effective for increasing memory, visual-motor integration, and memory self-efficacy in older adults. Therefore, it can be used to improve cognition and prevent dementia in older adults.

취약계층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RECEDE 모형 적용 -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 with Home Health Services - Applied PRECEDE Model -)

  • 박금화;최연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2-43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that affect poor quality of life (QOL) of older adults who received home health service. Method: The sample 492 older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QOL was measured using the scale of QOL of Ware and oth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from September to August, 2009. Results: The level of QOL was moderate (Mean 24.4, SD 7.4). The QOL was poorer in older adults (p<.05) and in those living alone (p<.01) compared to older adults and those living with couple or family respectively. The Q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sense of mastery (r=.213, p<.05), connection of health (r=.160, p<.05) and a cognitive function (r=.119, p<.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r=-.266, p<.01)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r=-.339, p<.01). Sense of mastery, connection of health & welfare, and IADL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QOL. Conclusion: Finding suggest that home health service program should incorporate strategies for increasing sense of mastery and capability of performing IADL, and strengthening connection of health service that may improve QOL of older home health service recipients.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적정인구 (Optimum Population of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 김승권
    • 한국인구학
    • /
    • 제29권1호
    • /
    • pp.241-268
    • /
    • 2006
  • 본 연구는 출산율이 세계 최저수준으로 낮아진 한국사회의 적정인구를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이는 인구규모의 급격한 감소와 인구구조외 불균형이 예측되어 결과적으로 국가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적 측면에서의 적정인구는 1인당 복지수준 또는 사회전체의 복지수준, 곧 사회적 후생(social welfare)의 크기 또는 복지성장률이 극대화되는 지점이다. 적정 인구구조는 전체인구대비 노인인구 약 $15{\sim}17%$, 생산인구 약 $64{\sim}69%$, 그리고 고령화지수 약 $72{\sim}104$ 수준이다. 또한 현재의 인구규모 및 인구구조를 감안한 한국의 적정 인구규모는 약 $4,850{\sim}4,950$만 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출산의 원인제거로 출산율을 회복하여야 함과 동시에 외국인력을 유입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동들이 좋은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여성과 노인이 노동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남녀 노인의 우울과 소득의 종단적 상호관계 (A Longitudinal Study of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come among Korean Older Men and Women)

  • 이정;전경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451-46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incom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Methods: Using 2015 to 2019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we studied 6,070 older adults (2,394 men and 3,676 women) aged 60 years over in 2015.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was employed to explore the effect of an individual income on depression and the reverse causal link-that of depression on income. Results: The study found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income and depression. Incom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Higher-income was linked to decreased risks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ores among older adults (B = - 0.121, p < 0.001). Estimates of the reverse causal link show that higher CES-D scores were also linked to income reduct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B = - 0.007, p < 0.001). In addition, we also observed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income on depression but not in the reverse causal link. Income has more detrimental to psychological consequence for older men (B = - 0.108, p < 0.001) than older women (B = - 0.057, p < 0.001). Conclusion: The finding implies that both psychological and social protection policies for the elderly are needed in view of gender perspective.

잠재프로파일(LPA) 분석을 활용한 노인의 생활시간 유형의 영향요인과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 (Factors Influencing Daily Time Use Types of Older Adults and Their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 Stud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 남석인;채주석;원해솔;이주영
    • 한국노년학
    • /
    • 제40권4호
    • /
    • pp.781-80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을 유형화하여 유형별 영향요인과 차이를 확인하고 각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6차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3,963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활시간 유형 분류 결과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 활용은 기초생활유지형(16%), 여가자유중심형(26%), 사회활동형(58%)의 3가지로 유형화 되었다. 각 유형별 영향요인 파악을 위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기초생활유지형 대비 여가자유중심형의 주요 영향요인은 배우자의 유무(p<.01), 심리적 건강상태(p<.001)로 나타났고, 사회활동형의 주요 영향요인은 연령(p<.05), 경제적 활동(p<.001), 만성질환(p<.001)으로 나타났다.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기초생활유지형에 비해 여가자유중심형과 사회활동형의 생활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생활유지형으로 시간을 활용하고 있는 노인의 시간사용 유형 변화를 추구하여 노년기 생활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일반 재가노인을 위한 치매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Dementia Education Program for the Aged)

  • 공은희;정영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2-261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dementia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older adults who resided in community. Methods: The research adopted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66 older adults completed the study (31 older ad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5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six-session dementia education program for three weeks. The effects of the dementia education program were evaluated using the measures of knowledge of dementia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with SPSS/WIN 18.0.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knowledge of dementia in the experimental group (t=2.75, p=.008). Although there was an increase in attitude toward dementia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1.26, p=.212).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mentia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knowledge of dementia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re is a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dementia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improve older adults' attitude toward dementia. Further research is needed using a highly rigorous research methodology.

The Effect of the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on Balance and Neck Functional Capacitie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Yi, Donghyun;Choi, Wonjae;Lee, SeungWo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97-104
    • /
    • 2022
  • Objective: Flexed posture commonly increases with age in older adults and is characterized by kyphosis and forward head posture. Changes in the posture with age affect both balance and mo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o improve balance. Design: Two groups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s: Fifty older adul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n=24) and control group (n=25). The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n=24) participated in group exercise for 60 minutes twice a week over 4 weeks. Timed up and go test (TUG), four square step test (FSST), functional reach test (FRT), postural sway, cervical range of motion (CROM), proprioception, craniovertebral angle (CVA)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UG, FSST, FRT, CROM, Proprioception, CVA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s: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can help improve not only neck functional capacities but also balance. Therefore, it may be used as an effective balance exercise program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한국노인의 생활양식 분석 : 소비패턴과 그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Lifestyles of Korean Older Adults - Focusing on the consumption pattern and its determinants -)

  • 이소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3호
    • /
    • pp.327-348
    • /
    • 2009
  • 이 연구는 소비패턴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대표적인 생활양식 유형과 그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노인집단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에는 한국노동패널 9차년도 데이터가 활용되었으며, 표본 가운데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가구만 추출하였다. 또한 노동패널 데이터에 제시되고 있는 20가지 소비비목을 소비의 목적성에 따라 13가지 소비비목(필수품, 사회적관계지출, 여가, 교육, 부모님용돈, 자녀용돈, 그 외 가구원 용돈, 주거비, 의료비, 내구재, 통신비, 사회보장비, 기타)으로 재분류하였다. 분석은 두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먼저 13개의 소비비목에 대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소비패턴을 유형화시킴으로써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지배적인 생활양식을 도출해 보았으며, 다음으로 각 소비패턴 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가구의 소비패턴 유형은 부양자형, 여가추구형, 사회적관계형, 생필품중심형, 의료지출형, 주거지출형의 여섯 가지로 구분되었다. 부양자형, 여가추구형, 사회적관계형의 경우 나머지 세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소비지출을 하고 있는 생활양식 유형이었으나, 부양자형 여가추구형은 사회적관계형에 비해 가족규모가 커서 자녀세대와 함께 거주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생활양식 유형인 것으로 분석된다. 부양자형 생활양식은 우리사회에서 자녀의 존재와 그 부담이 노후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반면 사회적관계형의 경우 다른 생활양식 유형에 비해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으로 분석돼, 교육수준 변인에 따른 사회적관계망의 유의미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생필품중심형, 의료지출형, 주거지출형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소비지출을 하고 있는 생활양식 유형이어서 상대적으로 경제적 역량이 낮은 집단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들의 경우 가구가 가지고 있는 욕구 유형에 따라, 즉 의료 욕구나 주거에 대한 욕구가 생활양식을 크게 규정하고 있어서, 노인복지에 있어서 의료와 주거와 같은 집합재의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의 사회적 활동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mpact of Social Activity on Drinking in Older Adults)

  • 임진섭;김다빈;유정호;정호영;박재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2호
    • /
    • pp.105-117
    • /
    • 2024
  • 본 연구는 65세 이상 음주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적 활동과 음주량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패턴을 갖는지 그리고 사회활동이 음주노인의 음주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종단연구이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이 지나면서 음주노인의 사회활동과 음주량은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사회활동과 음주량의 변화율에 대한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개인차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가를 이후 조건적 모형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조건적 모형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사회활동의 경우 초기 사회활동 정도가 높을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여자보다는 남자노인이 초기 음주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음주량의 경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여자노인보다는 남자노인이, 비흡연자보다는 흡연자가, 장애가 있는 노인보다는 없는 노인이 이후 음주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음주노인의 사회활동을 촉진하고 음주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교육연수에 따른 인지기능 영향 요인 차이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of the older adults)

  • 홍성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7-78
    • /
    • 2019
  • Objective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of people aged 65 or older.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2014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adults. A total of 10,248 people were analyzed in the final analysis, not including those who responded by proxy and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cognitive function tests.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by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Dementia Screening(MMSE-DS), and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using the SPSS/WIN 24.0 program.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depending on the education level. Overall, regular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maintaining cognitive function, and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more important it was to maintain th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In addition, for lower education levels,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was important to prevent the decline of cognitive func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customized approaches shoud be taken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whe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to prevent the decline of cognitive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