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Daily Time Use Types of Older Adults and Their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 Stud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잠재프로파일(LPA) 분석을 활용한 노인의 생활시간 유형의 영향요인과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

  • Nam, Seok In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 Chae, Joosuk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 Won, Hae Sol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 Lee, Ju Young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남석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채주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원해솔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이주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Received : 2020.06.05
  • Accepted : 2020.06.26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daily time use of older adults into different types,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m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by type, and verify the effect of each type on life satisfaction. From the 6th wave of the Korea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eRIS), analysis was conducted on 3,963 older adults aged 65 (n=3,963).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hree types of daily time use for older adults were identified: basic life maintenance type (16%), free-leisure oriented type (26%), and social activity type (58%). From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each type of daily time use, it was found that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free-leisure oriented type, when compared with basic life maintenance type, were the presence of spouse (p<.01)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p<.001).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social activity type, when compared with basic life maintenance type, were age (p<.05), economic activity (p<.001), and chronic disease (p<.001). The life satisfaction seen during free-leisure oriented time and social activity time was higher than that during basic life maintenance time. From these findings, practical and policy proposals were suggested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during basic life maintenance time by pursuing changes in the use of that tim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을 유형화하여 유형별 영향요인과 차이를 확인하고 각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6차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3,963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생활시간 유형 분류 결과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 활용은 기초생활유지형(16%), 여가자유중심형(26%), 사회활동형(58%)의 3가지로 유형화 되었다. 각 유형별 영향요인 파악을 위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기초생활유지형 대비 여가자유중심형의 주요 영향요인은 배우자의 유무(p<.01), 심리적 건강상태(p<.001)로 나타났고, 사회활동형의 주요 영향요인은 연령(p<.05), 경제적 활동(p<.001), 만성질환(p<.001)으로 나타났다.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기초생활유지형에 비해 여가자유중심형과 사회활동형의 생활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생활유지형으로 시간을 활용하고 있는 노인의 시간사용 유형 변화를 추구하여 노년기 생활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NRF-2017M3C1B6070667) 및 2020년 연세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강은나. (2017). 노인일자리사업 현황과 향후 과제. 보건복지포럼, 2017(9), 28-39.
  2. 권선영, 김명소. (2016). 직업소명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1), 151-171. https://doi.org/10.24230/KSIOP.21.1.200802.151
  3. 권중돈, 조주연. (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4. 김교성, 유재남. (2012). 노년기 삶의 만족도와 소득 궤적에 관한 종단연구. 노인복지연구, 58, 163-187.
  5. 김미령. (2013). 준고령자의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62, 257-287.
  6. 김성은, 김준엽. (2019).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X: 데이터분석보고서 -청소년 생활시간 유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160.
  7. 김승권, 정경희, 송수진. (2001). 한국인의 생활시간 배분실태와 효융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01-04, 331-507.
  8. 김영숙, 임효연. (2010). 주민참여복지 네트워크에 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 방법론. 한국사회복지학, 62(4), 223-248.
  9. 김왕배. (1999). 일상생활세계론-시.공간과 실천의 합리화. 경제와사회, 43, 175-204.
  10. 김외숙, 박은정. (2012). 노인의 생활시간배분 유형화.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405-405.
  11. 김외숙. (2013). 농가노인의 생활시간배분 유형화.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33-233.
  12. 김외숙. (2015). 노인의 시간배분 유형에 따른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족지원경영학회지, 19:1, 163-180.
  13. 김은경, 김응렬. (2002). 노인의 생활시간 구조 분석. 한국학연구, 17, 145-175.
  14. 김정엽, 권복순. (2007). 노인의 생활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37, 111-130.
  15. 김주현. (2007). 생활시간사용으로 본 노년기 생산적 활동. 한국노년학, 27(4), 739-754.
  16. 김주희, 이기영 (2015). 맞벌이 부부의 시간배분을 통해 본 일 생활 유형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01-125.
  17. 김진욱 (2006).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 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149-177.
  18. 남석인, 김세진, 김호정. (2018). 배우자와의 지원교환 유형이 전기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8(2), 57-84. doi.org/10.15709/hswr.2018.38.2.257
  19. 남석인, 시지혜, 정예은, 채주석. (2019). 노년기 삶의 의미와 우울, 자살생각에 대한 연구: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74(2), 163-192. doi.org/10.21194/kjgsw.74.2.201906.163
  20. 남지호. (2009).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생활체육참가와 생활만족도 비교. 한국노년학, 29(3), 867-881.
  21. 노재현. (2018). 노인의 경제력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GRI 연구논총, 20(2), 287-317.
  22. 문숙재. (1995). 생활시간. 서울: 학지사.
  23. 문정란. (2011). 노인의 생산적 활동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3, 131-160.
  24. 박미석, 이유리. (2003). 한국 노인의 여가활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37-48.
  25. 박미석. (2000). 도시노인의 여가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협회, 18(1), 67-84.
  26. 박미석. (2002). 노년기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5), 133-146.
  27. 박미석. (2004). 우리나라 노인의 은퇴 후 여가선용에 관한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12), 107-122.
  28. 박미희, 변금선. (2013). 생애과정 전환기의 생활시간 배분에 관한연구: 중.고령자의 생활시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5(3), 29-52.
  29. 박민자, 손문금. (2005). 고령 여성과 남성의 일상생활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1, 121-145.
  30. 박수미, 선보영, 김진욱. (2005). 한국여성의 생활세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5-12: 1-237.
  31. 박수미. (2007). 한국고령자의 생활시간 사용에 있어서의 젠더 차이 - 일, 무급가족노동, 여가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5-30.
  32. 박순미. (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 비교. 노인복지연구, 47(1), 137-160.
  33. 박순미. (2011).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3, 305-332.
  34. 박창제. (2013). 은퇴결정 형태와 노후준비가 은퇴 고령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59, 115-138.
  35. 박충선. (1998). 노년기의 생활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8(2): 30-46.
  36. 박현정, 손윤희, 김전옥. (2017).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방과후 생활시간 활용 유형과 결정요인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8(2), 197-224. doi.org/10.14816/sky.2017.28.2.197
  37. 박혜경. (2009). 노인의 여가활동, 여가생활만족도, 지각된 건강상태 및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재활간호학회지, 12(2).
  38. 백경숙, 권용신. (2007). 노년기의 경제활동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연구. 노인복지연구, 35, 87-106.
  39. 보건복지부. (2017).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7-53, 1-911.
  40. 보건복지부. (2018). 2018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운영안내.
  41. 보건복지부. (2020). 2020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운영안내.
  42. 손애리. (2000). 시간연구의 특성과 '생활시간조사' 개발과정. 조사연구, 1(1), 135-148.
  43. 안희란. (2018).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참여경험 연구. 보건사회연구, 38(3), 458-491. doi.org/10.15709/hswr.2018.38.3.458
  44. 양경욱, 윤세준, 채연주. (2016). 감정노동의 사람 중심적 접근-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9(9). 1435-1459. doi.org/10.18032/kaaba.2016.29.9.1435.
  45. 염지혜. (2019). 노인일자리사업의 현재와 미래에 관한 연구. 노동연구, 39, 105-129.
  46. 유재남. (2015). 중고령자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의 종단분석. 노인복지연구, 68, 331-356.
  47. 이기영, 조희금, 김외숙, 이연숙, 이승미, 홍두승, 조흥식, 김유경, 김주희. (2006). 농가 가족원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205-222.
  48. 이나련. (2016). 여성의 가사노동 정년은 언제인가. 경기가족여성연구원 이슈 분석, 37(16-04), 1-16.
  49. 이보람, 이정규. (2016). 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참여의 효과 비교. 노인복지연구, 71(2), 351-377.
  50. 이승미, 이현아. (2011).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5), 81-96.
  51. 이신숙. (2010). 유.무배우 여자노인의 연령, 경제상태, 신체만족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6), 215-227.
  52. 이신숙. (2011a).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2), 311-325. https://doi.org/10.5934/KJHE.2011.20.2.311
  53. 이신숙. (2011b).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35-58.
  54. 이연숙. (2002). 주휴무제에 따른 기혼남녀의 주말 생활시간구조와 여가시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4), 165-177.
  55. 이영숙, 박경란. (2009). 노인의 여가제약, 여가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 18(1), 1-12. https://doi.org/10.5934/KJHE.2009.18.1.001
  56. 이윤정, 정순희. (2003). 노인의 여가시간 소비의 영향요인 분석. 소비자학연구, 14(4), 1-19.
  57. 이윤정. (2003). 노인의 여가생활시간 구조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24.
  58. 이인정. (2009). 초고령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1), 359-382.
  59. 이주현, 박수현, 유은영, 정빈예, 조덕연. (2012).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실태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2), 85-98.
  60. 이준민, 신화경. (2005). 중년층의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3(1), 161-172.
  61. 장명숙, 박경숙. (2012).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보건사회연구, 32(2), 232-266. https://doi.org/10.15709/HSWR.2012.32.2.232
  62. 정경희. (2001). 노인의 생활시간 배분실태. 보건복지포럼, 2001(11), 61, 56-70.
  63. 정순희. (2005). 노인의 생산활동수준 및 관련변수의 분석. 한국노년학, 25, 155-170.
  64. 정진경, 박화옥, 이창호, 권은선, 이현미, 한세리. (2009). 노인자원봉사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65. 조유향. (1997). 농촌지역 재택노인의 생활시간 및 활동과 관련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1(1), 93-102.
  66. 조희금. (1993). 생산직 기혼여성의 생활시간 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1(3), 101-112.
  67. 조희금. (2019). 농촌노인의 생활시간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2), 41-59. doi.org/10.22626/jkfrma.2019.23.2.003
  68. 채화영, 김주희, 이기영. (2011). 중고령자의 생활시간 유형화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2, 129-146.
  69. 최저임금위원회. (2018). 보도자료. 2019년 적용 최저임금 시급 8,350원 - 전년 대비 820원, 10.9% 인상,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8998.
  70. 최종후, 소선하, 노원희. (2005). 생활시간조사에 기반한 노인층 생활유형분석.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5(0), 55-70.
  71. 통계청. (2014). 2014 생활시간조사결과.
  72. 한경미. (1991). 취업주부의 시간사용과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2), 171-190.
  73. 허준수. (2002). 도시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2): 227-247.
  74. 황남희. (2014). 한국 노년층의 여가활동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보건사회연구, 34(2), 37-69. https://doi.org/10.15709/HSWR.2014.34.2.37
  75. Akaike H. (1987). Factor Analysis and AIC. In: Parzen E., Tanabe K., Kitagawa G. (eds) Selected Papers of Hirotugu Akaike. Springer Series in Statistics(Perspectives in Statistics). Springer, New York, NY. doi.org/10.1007/978-1-4612-1694-0_29
  76. Chung, S., & Lee, E. (2017). Patterns of time use across the life span in korea: a latent class analysis and age and gender differenc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134(3), 1135-1155. doi.org/10.1007/s11205-016-1463-6
  77. Diener. E. D., Emmons. R. A., Larsen. R. J.,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doi.org/10.1207/s15327752jpa4901_13
  78. Feldman, L. P., & Hornik, J. (1981). The use of time: An integrated conceptual model.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4), 407-419. doi.org/10.1086/208831
  79. Gauthier, A. H., & Smeeding, T. M. (2003). Time use at older ages: Cross-national differences. Research on Aging, 25(3), 247-274. doi.org/10.1177/0164027503025003003
  80. Gauthier, A. H., & Smeeding, T. M. (2010). Historical trends in the patterns of time use of older adults. In Ageing in advanced industrial states (pp. 289-310). Springer, Dordrecht. doi.org/10.1007/978-90-481-3553-0_12
  81. Huh, J., Riggs. N. R., Spruijt-Metz, D., Chou, C. P. Huang, Z., & Pentz, M. (2011). Identifying patterns of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in children: a latent class analysis of obesity risk. Obesity, 19(3), 652-658. doi.org/10.1038/oby.2010.228
  82. Burr, J. A., Mutchler, J. E., & Caro, F. G. (2007). Productive Activity Cluster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tersecting Forms and Time Commitmen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2(4), S267-S275. doi.org/10.1093/geronb/62.4.S267
  83. Lo, Y., Mendell, N., & Rubin, D. (2001).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88(3), 767-778. doi.org/10.1093/biomet/88.3.767
  84. Krause, N., Jay, G., Liang. J. (1991). Financial strai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American and Japanese elderly. Psychology and aging, 6(2), 170. doi.org/10.1037/0882-7974.6.2.170
  85. Mannell, R. C., & Dupuis, S. L. (1994). Leisure and productive activity.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14(1), 125-141.
  86. Morin, A. J., Morizot, J., Boudrias, J. S., & Madore, I. (2011). A multifoci person-centered perspective on workplace affective commitment: A latent profile/factor mixture analysi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4(1), 58-90. doi.org/10.1177/1094428109356476
  87. Muthen, L. K., & Muthen, B.O (2018). Mplus. The comprehensive modelling program for applied researchers: user's guide, 5.
  88.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134-143. doi.org/10.1093/geronj/16.2.134
  89. Pavot, W., & Diener, E. (1993). The affective and cognitive context of self-reported measures of subjective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28(1), 1-20. doi.org/10.1007/BF01086714
  90. Reitzes, D. C., Mutran, E. J., & Verrill, L. A. (1995). Activities and self-esteem: Continuing the development of activity theory. Research on aging, 17(3), 260-277. doi.org/10.1177/0164027595173002
  91. Robinson, J. P. (1996). Time, housework, and the rest of life.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17(3-4), 213-229. doi.org/10.1007/BF02265017
  92. Sullivan. O., Gershuny. J. (2001). Cross-national changes in time-use: some sociological (hi) stories re-examined.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52(2), 331-347. doi.org/10.1080/00071310120045015
  93. Schwarz, G. (1978).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The annals of statistics, 6(2), 461-464. doi.org/10.1214/aos/1176344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