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level control

검색결과 1,957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급식시설의 위생관리개선을 위한 HACCP 적용에 관한 연구 - 생.숙채류를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HACCP for Hygiene Control in University Foodservice Facility - Focused on Vegetable Dishes (Sengchae and Namul) -)

  • 허영수;이복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3-304
    • /
    • 1999
  • 이 연구는 대학급식소를 대상으로 HACCP 개념을 적용하여 급식되는 생.숙채류(8종류)의 매생물적 품질을 평가하고 음식의 위생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주방의 위생 상태 평가에서 주방 바닥의 물기제거와 조리기구의 소독방법에 대한 기준 설정이 필요하였고, 조리종사자가 위생장갑과 위생적 기구사용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었다. 주방의 배치에서 가열조리대와 선반의 거리가 가까워 가열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선반에 보관된 음식의 미생물 증식 가능온도($5~60^{\circ}C$)에서 다뤄지고 있었으며 육안으로는 신선한 것으로 보였던 원재로의 미생물 수치는 총균수 $10^{5}~10^{7}$, 대장균균 수 $10^{3}~10^{6}$으로 Solberg등이 제시한 총균수 $10^{6}$, 대장균군 수 $10^{3}$을 초과하여 보다 철저한 검수와 적절한 공급자 선정이 필요하였다. 생채의 경우 씻는 과정에서 미생물 수치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배식 단계에서는 모두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숙채는 데치기 혹은 볶는 과정에서 미생물이 거의 사멸되었으나 생채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미생물의 재오염이 발생하였다. 사용도구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 행주를 제외한 배식용기, 조리원의 손, 칼, 야채절단기는 모두 Harrigan과 McCanece가 제시한 총 균수 $100\;\textrm{cm}^2$당 500미만, 대장균군 수 100 $100\;\textrm{cm}^2$당 10 이하의 안전기준치를 초과하여 개선이 요구되었다. 결론적으로 급식되는 음식의 안전을 위해 최상의 원료구입과 음식생산단계에서의 시간단축, 적절한 온도에서는 보고나, 위생적 기구 사용등을 통해 미생물의 증식방지 및 위생 관리에 노력해야 하겠다.

  • PDF

월파형 파력발전구조물의 월파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Wave Overtopping Characteristics on the Structure for Wave Overtopping Power Generating System)

  • 신승호;홍기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49-655
    • /
    • 2006
  • 연안으로 입사해 들어오는 파랑은 월파형 파랑제어구조물에 의해 증폭, 월파되어 구조물 배후의 유수지에 위치 에너지로 저장될 수 있으며, 수두차의 형태로 저장된 위치에너지는 초저낙차 수차 터빈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월파형 파력발전에 있어서 주어진 입사파 조건에 대해 최대 월파 유량을 획득하는 월파형 파랑제어구조물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이다. 월파형 파랑제어구조물의 형상 도출을 위한 수조 실험은 삼차원 조파 수조에서 이루어졌으며, 평면 파랑 집중 형상을 가진 삼차원 구조물의 형상은 5가지의 종류로 제작되었다. 파랑제어구조물은 신과 홍(2005)에서 제안한 월파형 파랑제어구조물의 이차원 단면 형상을 토대로 수로폭 및 수렴각을 가진 삼차원 형상으로 확장한 것이다. 본 삼차원 월파실험에서는 20개의 입사파 조건과 각각의 파에 대한 $0^{\circ},\;15^{\circ},\;30^{\circ}$의 상대 입사각을 부여하여 계측된 월파량을 분석하였다.

선인장색소 및 유산나트륨이 저 아질산염 소시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Pigment and Sodium Lactate on Nitrite-reduced Sausages)

  • 강종옥;이상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551-56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손바닥선인장 색소 및 유산나트륨이 저 아질산나트륨 소시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아질산염을 부분 대체(저감화)하고자 소시지를 제조하여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고 천연 폴리페놀이 함유된 손바닥선인장 추출 색소 첨가에 따른 소시지의 혈액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항목은 소시지의 적색도(a*), 총세균수, pH, 보수력, 조직분석, 관능검사, 쥐의 증체량 및 혈당이었으나,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항목은 TBA와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total, LDL, HDL) 및 중성지방이었다. 즉 TBA 값은 대조구에서,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처리구에서 각각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그러나 처리구 중에서는 T2(30 ppm of nitrite+2% of sodium lactate+0.2% Opuntia ficus indica pigment)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30 ppm의 아질산나트륨, 2%의 유산나트륨, 0.2%의 손바닥선인장 색소의 혼합사용은 아질산나트륨의 통상 첨가량 100ppm(잔존량 70 ppm 이하)을 30ppm으로 줄여도 발색, 저장성 및 풍미에는 별문제가 없이 사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혈중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이 감소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

오일과 토코페롤 급여가 돈육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Dietary Different Oil and Tocopherol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 진상근;김일석;송영민;정기화;이성대;하경희;김회윤;박기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5-121
    • /
    • 2003
  • 우지가 5% 첨가되어 있는 일반적인 비육후기사료를 급여한 돈육(C), 우지 3%에 들깨유 2%를 대체 급여한 돈육(T1), T1에 비타민 E를 250 ppm 첨가한 돈육(T2), 우지 3%에 오징어유 2%를 대체 급여한 돈육(T3), T3에 비타민 E를 첨가 급여한 돈육(T4), 우지 3%에 CLA 2%를 우지 대체 급여한 돈육(T5)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일만 급여한 처리구들간(C, T1, T3, T5)에 근절길이, 염용성 및 총단백질의 함량은 T1이 다른 세 처리구들보다 낮았으며, 동일한 오일 급여구에서 비타민 첨가구들(T2, T4)이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들(T1, T3)보다 염용성 및 총단백질의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pH및 보수성의 경우 대조구가 다른 세 처리구들(T1, T3, T5)보다 높았으며, 비타민 첨가한 처리구들이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들보다 보수성은 높게 나타났다. 오일간에 육색의 L값과 지방색의 a값의 경우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3)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선육의 경도, 부착성, 점착성의 경우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3)보다 높게 나타났다. 오일간에 가열육의 부착성의 경우 T3가, 탄력성은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첨가에 따라 경도는 T3가 T4보다 높은 반면 응집력과 탄력성은 반대로 낮게 나타났다.

돼지심장에서 획득한 근원섬유 단백질 추출물이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yofibrillar Protein Extracted from Pig Hear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 Type Sausages)

  • 강근호;오성현;양한술;김진성;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2-127
    • /
    • 2003
  •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 제조시 이용되는 원료육에 대해 돼지 심장근으로부터 획득한 근원섬유 단백질 추출물인 수리미 유사물의 대체첨가가 제품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원료육에 대해 15% 수리미 유사물을 대체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가열감량은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고, 보수력은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단가 및 경도에 있어서도 수리미유사물의 대체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육색에 있어 명도(L)는 수리미유사물을 대체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a, b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한편,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향미와 불쾌취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 15% 수리미유사물 대체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화형 소시지제조시 돼지 심장근에서 획득한 근원섬유 단백질 추출물을 원료육 대비 15%까지 대체하더라도 가열감량을 낮춰 제품 수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보수력을 높이고 조직감을 부드럽게 하여 기호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아질 표면상태에 따른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 CURED GLASS IONOMER CEMENTS TO CONTAMINATED DENTIN)

  • 김경화;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2호
    • /
    • pp.609-62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ree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s to blood contaminated bovine dentin. 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Fuji II LC, Dyract and Variglass VLC. The dentin conditioners were 10% polyacrylic acid, 10% maleic acid and 10% phosphoric acid. 180 lower anterior bovine teeth were selected in this study. The teeth were embedded in acrylic resin and were grounded with 320 to 600 grit silicon carbide paper to create a flat dentin surface. The teeth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The experimental procedures in six groups were as follows; Group l(GF) : Samples bonded to dentin surface with Fuji II LC after 10% polyacrylic acid treatment. Group 2(BGF) : Samples bonded to dentin surface with Fuji II LC after 10% polyacrylic acid treatment and blood contamination. Group 3(MD) : Samples bonded to dentin surface with Dyract after 10% maleic acid treatment. Group 4(BMD) : Samples bonded to dentin surface with Dyract after 10% maleic acid treatment and blood contamination. Group 5(PV) : Samples bonded to dentin surface with Variglass VLC after 10% phosphoric acid treatment. Group 6(BPV) : Samples bonded-to dentin surface with Variglass VLC after 10% phosphoric acid treatment and blood contamination. Group 1,3 and 5 were classified into the control groups, while group 2,4 and 6 were classifi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s. Each group contained 30 samples. After 24 hours water storage at $37^{\circ}C$, all smples were subjected to a shear load to fracture at a cross head speed of 1.0 mm/min with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No. 4467). Debonded surfaces were observ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Hitachi S-2300) at 20kvp. The data were evaluated statistically at the 95% confidence level with Student's t-test. The following results obtained; 1. Shear bond strengths were higher in the control groups(1,3,5 group) than in the experimental groups(2,4,6 group). 2. The shear bond strength of group 5(PV)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groups, and the group 5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l(GF) on the shear bond strength. 3. The group 4(BMD) was the highest on the shear bond strength, and the group 2(BGF) was the lowest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 4(BMD) and 6(BPV)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group 2 on the shear bond strength. 4. All the groups showed an adhesive-cohesive failure. except the group 2(BGF) showing adhesive failure.

  • PDF

철보충이 납중독된 흰쥐의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활성과 해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rons Supplementation on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Activity and Detoxification of the Pb-administered Rats)

  • 이정숙;조수열;김영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12
    • /
    • 1994
  • 철보충이 납종독된 흰쥐의 체내 무기질 함량과 DALAD activity 및 해독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흰쥐에게 납 2,000ppm을 함유한 식수를 제한없이 주면서, 철분 100ppm, 500ppm을 보충한 식이로 5주동안 사육하여 얻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납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철보충납급여군은 납단독급여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과 심장의 무게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신장은 납급여군이 대조군보다 증가를 보였다. 비장은 납단독급여군에서만 증가를 보였고, 철보충납급여군에서는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헤마토크릿치는 철보충납급여군에서는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납단독급여군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DALAD activity는 혈액과 간 모두 납급여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납단독급여군보다 철보충납급여군이 높게 나타났고, 철보충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혈청과 간의 amino-transferase activity는 철보충납급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납단독급여군에서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혈청 납함량은 납단독급여군과 철보충납급여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간의 납함량은 철보충납급여군이 납단독급여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혈청 철함량은 납급여군이 대조군보다 감소했으나, 간의 철함량은 납급여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철보충납급여군이 납단독급여군보다 증가를 보였다. 혈청과 간의 구리함량은 납단독급여군은 대조군과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철보충납급여군은 감소를 보였다.

  • PDF

천년초(Opuntia humifusa) 열매 분말 첨가 증편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Jeung-pyun with Added Withprickly Pear (Cheonnyuncho) Powder)

  • 조은자;김민정;최원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903-910
    • /
    • 2007
  • In order to make acquire a potential use for Opuntia humifusa as a natural functional food materia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quality properties of Jeung-pyun made with added Opuntia humifusa, or prickly pear powder. According to an analysis of its major components, we found that the prickly pear powder consisteds of nitrogen-free extracts (71.85%) and crude fiber (11.20%). Greater additions of prickly pear powder had resulted in significantly lower pH in the of Jeung-pyun. According to measurements on the degree of Jeung-pyun gelatinization, by means of ${\beta}$-amylase, greater additions of prickly pear powder led to the higher levels of isolated maltose, indicating that the gelatinization degree of the Jeung-pyun became higher. Also, samples with higher concentrations of prickly pear powder had a tendency toward lower water content, which allowed us to expect a longer storage duration for the Jeung-pyun. In the textural property tests the Jeung-pyun that had less hardness and greater adhesiveness (p<0.05) than the control group as the content of prickly pear powder became higher. Also, the Jeung-pyunhad lower gumminess and chewiness than the control group as the content of prickly pear powder became hig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pare relatively soft Jeung-pyun using prickly pear powder. For the color differences of the Jeung-pyun samples, lower L- values, and higher a- and b -values (p<0.05) presented as the addition level of prickly pear powder became higher. According to SEM observations of the Jeung-pyun, the added prickly pear powder addition groups generally showed a smaller and more inconsistent pore size, but higher porosity, tha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sensory analyses of the Jeung-pyun, the P2 group scored highest for color item, and the P4 group generated the fermented scent. Higher additions content of prickly pear powder led to the lower score, but higher scores for adhesiveness. Finally, the P2 group achieved the highest score for overall taste.

  • PDF

알지닌캡슐을 이용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의 섭식유도형 제제화 기술 (An Edible Alginate Microcapsul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 김용균;이승화;유용만;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5-152
    • /
    • 2003
  •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을 이용한 지상부 가해 해충 방제는 자외선과 건조 등의 제약점 때문에 적용의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제 기술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기주의 지상부를 가해하는 두 나비목 해충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과 담배거세미나방(Sp. litura)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감염태 선충을 포함하는 알지닌캡슐은 이들 두 해충에 대해 뚜렷한 섭식독성을 보였다. 이러한 독성은 캡슐내에 함유되어 있는 감염태 선충의 밀도에 따라 증가하는 전형적인 양독곡선을 나타냈다. 캡슐내에 잔존하는 수분함량은 감염태 선충의 생존력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캡슐내에 약 10%이상의 수분이 함유되었을 때 약 80%의 감염태 선충이 생존하였다. 캡슐내 보습 능력은 상대습도, 온도 및 캡슐의 크기에 따라 변동되나, 캡슐 형성 과정 중의 시트릭산 반응 시간과는 무관하였다. 알지닌캡슐이 15$^{\circ}C$ 증류수에 보관되었을 때, 60일 경과후에도 80%이상의 생존 능력을 보였다. 이러한 감염태 선충이 함유된 캡슐을 섭식유도제로서 사용된 파추출물을 함유시킨 후 야외 땅콩을 가해하는 파밤나방 3령충에 적용시켰을 때, 약 90%의 방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알지닌캡슐이 곤충병원선충의 저장 형태의 캡슐 용도 뿐만 아니라 지상부 해충 방제용 제제화로서 이용될 수 있다고 제시한다.

피부 가려움증에 대한 대두(大豆) 발효물(Bio-Peptone)크림의 유효성 평가 : 무작위 배정, 양측 눈가림, 위약크림 대조, 평행 설계 연구 (Evaluate efficacy of fermented soybean(Bio-Peptone)cream in pruritus : Randomized,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clinical experiment study)

  • 안재현;정현아;김은주;김애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7-44
    • /
    • 2020
  • Objectives : The authors conducted randomized, Double-blinded, an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clinical experiment study to evaluate efficacy of fermented soybean(Bio-Peptone)cream in pruritus. Methods : The research had been conducted for 4 months from the date of IRB approval(May 26 in 2017) to Sept 2017. The experiment started by randomly distributing 25 subjects with pruritus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fermented soybean(Bio-Peptone)cream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evening, for one week on itchy area. The effect of the product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PSS(Patient subjective score), moisture level by measuring skin moisture content(Corneometer)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Tewameter), and the Korean version of Skindex-29(index of quality of life improvement) before applying the cream, after applying the cream for one week and after stop applying the cream for one week. The control group conducted identical experiment with the experimental group, except the control group applied placebo instead of the fermented soybean(Bio-Peptone)cream. Results : Pruritus, criterion of the first validation testing, indicates fermented soybean(Bio-Peptone)cream tend to reduce pruritus compare to placebo, although the result is not statistically noticeabl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uction of prutitus, the second validation test was not discovered in both groups. Corneometer and life quality tend to be improved with soy cream than placebo, but not statistically effective and both grou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erms of Tewameter measurement. Conclusions : The result of clinical experiment didn't prove that the fermented soybean(Bio-Peptone)cream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pruritus than placebo, statistically. The clinical use of soybean product for pruritus requires further studies to be ver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