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HACCP for Hygiene Control in University Foodservice Facility - Focused on Vegetable Dishes (Sengchae and Namul) -

대학급식시설의 위생관리개선을 위한 HACCP 적용에 관한 연구 - 생.숙채류를 중심으로 -

  • 허영수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이복희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to assure the hygienic safety of the food production in the university food service facility located in Seoul in accordance with the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HACCP) concepts. In the hygienic state assessment of kitchen, it has revealed that it was very important to remove water from the kitchen floor and to establish standard method for disinfection of cooking utensils. And foodservice workers were required to have training program for the safe handling of food and utensils since they did treat food without hygienic gloves. The kitchen layout had to be improved because the near distance of table with heating unit and shelf might cause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when prepared food was kept on the shelf. In terms of the timetemperature measurement and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during each of the food production phases, most of sengchae (raw vegetable dish) and namul (cooked vegetable dish) were treated within danger zone for food safeness ($5~60^{\circ}C$). It has shown that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materials was very much inferior at the time of receiving based on the TPC($10^{5}~10^{7}$), coliform($10^{3}~1O^{6}$), which was not acceptable level(TPC:$10^{6}$, coliform:$10^{3}$) suggested by Solberg. Microbiological growth has increased in the both of sengchae and namul considerably during most of food production phase. Therefore,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reduce holding and serving time and to avoid treating food within the danger zone for food safeness. In addition, the prevention of cross-contamination during mixing the ingredients with improper equipments and with insanitary treatments by workers was also important to keep the food safety in this speciqic university foodservice facility.

이 연구는 대학급식소를 대상으로 HACCP 개념을 적용하여 급식되는 생.숙채류(8종류)의 매생물적 품질을 평가하고 음식의 위생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주방의 위생 상태 평가에서 주방 바닥의 물기제거와 조리기구의 소독방법에 대한 기준 설정이 필요하였고, 조리종사자가 위생장갑과 위생적 기구사용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었다. 주방의 배치에서 가열조리대와 선반의 거리가 가까워 가열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선반에 보관된 음식의 미생물 증식 가능온도($5~60^{\circ}C$)에서 다뤄지고 있었으며 육안으로는 신선한 것으로 보였던 원재로의 미생물 수치는 총균수 $10^{5}~10^{7}$, 대장균균 수 $10^{3}~10^{6}$으로 Solberg등이 제시한 총균수 $10^{6}$, 대장균군 수 $10^{3}$을 초과하여 보다 철저한 검수와 적절한 공급자 선정이 필요하였다. 생채의 경우 씻는 과정에서 미생물 수치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배식 단계에서는 모두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숙채는 데치기 혹은 볶는 과정에서 미생물이 거의 사멸되었으나 생채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미생물의 재오염이 발생하였다. 사용도구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 행주를 제외한 배식용기, 조리원의 손, 칼, 야채절단기는 모두 Harrigan과 McCanece가 제시한 총 균수 $100\;\textrm{cm}^2$당 500미만, 대장균군 수 100 $100\;\textrm{cm}^2$당 10 이하의 안전기준치를 초과하여 개선이 요구되었다. 결론적으로 급식되는 음식의 안전을 위해 최상의 원료구입과 음식생산단계에서의 시간단축, 적절한 온도에서는 보고나, 위생적 기구 사용등을 통해 미생물의 증식방지 및 위생 관리에 노력해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