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ste carbon materials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8초

산업폐기물을 활용한 무기계 흡음 패널 개발 기초 연구 (Developing Sustainable Inorganic Sound-Absorbing Panel Mixtures Using Industrial Waste)

  • 이철규;권성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01-508
    • /
    • 2023
  • 이 연구는 도시화와 교통량 증가로 인해 심화되는 환경 소음 문제에 대응하여, 친환경적인 무기계 흡음 패널을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PMMA 및 시멘트 기반 패널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전통적인 패널들은 가연성으로 인한 안전 위험과 탄소 배출로 인한 환경 문제를 가지고 있다. 산업폐기물을 활용한 이 연구는 두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물리적 및 성능적 특성(유동성, 밀도, 압축 강도, 흡음률)에 대한 기초 시험, 둘째, 최적화된 패널 혼합물의 개발. 이 접근 방식은 기존 패널을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인 대안으로 대체하고자 하며, 안전하고 환경적으로 책임 있는 도시 인프라에 중요한 기여를 목표로 한다. 연구 결과는 방음 패널 시장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며, 소음 제어와 함께 환경 및 안전 기준에 부합하는 혁신을 추구한다.

HAp, Zeolite에 여러 금속 Ion 치환시 나타나는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Metal tons Substitution to HAp, Zeolite)

  • 김윤종;김택남;김상배;조성백;조건준;이태형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0-125
    • /
    • 2001
  • 흡착재료에는 hydroxyapatite(HAp), zeolite,, 분자체탄소, 활성탄, 알루미나등의 재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흡착재료 중에서 금속이온과 양이온 교환반응이 좋은 HAp, zeolite는 폐수처리과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피러나 이 폐수처리과정에서 문제되는 것은 유해한 중금속뿐만 아니라 많은 세균들이 이 폐수에 존재하고 있어 수질오염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여러 중금속 흡착재료 중에서 HAp, zeolite에 항균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금속이온 (Ag$^{+}$, Cu$^{2+}$, $Zn^{2+}$)들을 이온 치환시켜 항균성을 흡착재료에 부여하고자 한다. HAp, zeolite에 Ag$^{+}$, Cu$^{2+}$, $Zn^{2+}$의 금속이온들을 치환시킨 후, E. Coli로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HAp, zeolite와 여러 금속이온 치환후의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Ag$^{+}$ 로 이온치환 시킨 HAp, zeolite에서는 1$\times$$10^{-2}$cell/ml 농도의 E. Coli에서 24시간가지 완벽한 항균효과를 보였고, Cu$^{2+}$$Zn^{2+}$으로 이온치환 시킨 경우에서는 좋은 항균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Feng. et. al.이 발표한 바와 같이1) Ag ion이 cell내부의 DNA에 영향을 기척, 복제능력을 떨어뜨리고 Cell을 비활성화 시키기 때문이다.

  • PDF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공학방벽 재료로서의 국산 벤토나이트 및 제올라이트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Bentonite and Zeolite as Candidate Materials for a Engineered Barrier in a Radwaste Repository)

  • 정찬호
    • 지질공학
    • /
    • 제9권2호
    • /
    • pp.89-100
    • /
    • 1999
  • 핵폐기물 처분장 공학방벽재로서의 우리나라 제 3 기층에서 산출되는 벤토나이트와 제올라이트의 활용 가능성을 물리화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연일 및 감포일대 제 3 기층의 9개 대표적인 벤토나이트 광산과 6개의 제올라이트 광산에서 채취한 자연산 시료와 관련회사의 추천상품시료에 대해 X-선 회절 분석, 팽윤도 측정, 양이온교환능 측정, 비표면적 측정, 몬모릴로나이트의 함량계산, 유기탄소함량 분석, 시차 열분석(DTA), 편광현미경 관찰, 주사전자현미경(SEM)관찰 및 전자현미분석(EPMA)을 실시하여 각 분석항목을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U-41 및 G-46의 광산에서 산출되는 벤토나이트와 대도 및 Y-1호 광산의 제올라이트가 인공방벽재료로 갖추어야할 물리화학적 특성이 최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 PDF

RESEARCH PAPERS : A STUDY ON REMOVAL OF PB2+ ION USING PELLET - TYPE RED MUD ADSORBENTS

  • Kim, Jung-Sik;Han, Sang-Won;Hwang, In-Gook;Bae, Jae-Heum;Shuzo Tokunaga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33-37
    • /
    • 2002
  • The two kinds of pellet-type red-mud adsorbents (bead-type, crushed-type) were from red mud, which is generated as a by-product during the production of aluminum hydroxide from bauxite ore. The adsorption experiments of Pb^{2+} ion in the aqueous solution by these red-mud adsorbents were studied with a continuous adsorption ccolumn. As a result, the crushed-type adsorbent shows better performance in adsorption of Pb^{2+} than the bead-type adsorbent between the two types of the pellet-type adsorbents. The continusous adsorption experiment shows that the pellet-type adsorbents made from red mud have good performance for removal of Pd^{2+}. The breakthrough curves of the red-mud adsorben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activated carbon.

공기부상반응조에서 체류시간과 반송율에 의한 유기물질 및 질소제거 향상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Organics and Nitrogen Removal by HRT and Recycling Rate in Air Lift Reactors)

  • 김진기;유성환;임봉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5-50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ir lift reactors (ALR) by variations of HRT and recycling rate. Air lift reactor was composed of bioreactor and clarifier above it. To remove organic matters and nitrogen through the formation of microbic film and filtration, bio-filter reactors were filled with clay, glass, bead, waste plastic, respectively. Influent wastewater was fed to biofilter reactor, and effluent wastewater from bio-filter reactor was injected ALR again, instead of adding external carbon source. Effluent BOD concentration was satisfied with lower than 10 mg/L in recycling rate 100% regardless of the variation of HRT and the kinds of media materials. In HRT 4 hr, recycling rate 100%, BOD removal efficiency rate was from about 85 to 90%, COD removal efficiency rate was higher than 90%. Effluent TN concentration was satisfied with less than 20 mg/L, if HRT was maintained by over than 6 hr regardless of recycling rate and media materials. Over than HRT was 4 hr, microbes concentration in air lift reactor was maintained over than 2,500 mg/L constantly, not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 and organic removal was effective as it was higher.

폐 MDF 퇴비화 사용을 위한 생분해 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I)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tion under Composting and Vermiculite Condition)

  • 최철;류지창;양승민;이창구;이석언;강석구
    • 펄프종이기술
    • /
    • 제48권1호
    • /
    • pp.127-133
    • /
    • 2016
  • This study is performed that furniture and interior materials of MDF's (Medium Density Fiberboard) biodegradation properties, and the goal of this study is investigation of possibility of waste-MDF's composting after landfilling. To investigate biodegrad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according to KS M ISO 14855-1, and there were two different soil conditions including a compost condition and an activated vermiculite condition as artificial soil. This experiment was tested for 40 days. The measurement of carbon-dioxide generation was processed every 24 hour in 1-2 week, and every 48 hour after 3 week. In the same days, MDF showed 24.4% of biodegradation in compost condition, and 6.2% in activated vermiculite. Also, the reference material of TLC (thin-layer chromatography) grade cellulose showed 26.4%, 11.4% in compost and activated vermiculite respectively. The dilution plate method was performed for biological analysis in the study. This experiment was used for investigation of inoculum's (Bacillus licheniformis) activity. As the result of bioassay, compost has more other germs include inoculum than activated vermiculite in the first week. Especially in the 2nd week, the reference material under the compost condition showed the most germ's activity, and also the biodegradation was the highest. Consequentially, compost condition was able to reduce a performing period of biodegradation testing than activated vermiculite. However, activated vermiculite could be stabilizing errors between repetition.

목재 펠릿(pellet)을 활용하는 휴대용 펠릿 난로의 연소 효율 향상과 일산화탄소(CO) 배출 저감을 위한 연소기 개발 (Development of a Combustor in Portable Pellet Stoves Using Wood Pellets to Improve Combustion Efficiency and to Reduce Carbon Monoxide (CO) Emission)

  • 민경순;임대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315-320
    • /
    • 2020
  • 목재 부산물 등을 활용하여 제조되는 목재펠릿(pellet)은 가공되는 방식과 추가되는 부산물의 종류, 목재펠릿난로의 종류에 따라 완전연소가 아닌 불완전연소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불완전연소로 인한 환경오염과 에너지 낭비를 줄이기 위해 목재펠릿난로 연소 작용의 핵심부인 연소기를 개발하였다.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목재펠릿난로의 연소 작용을 담당하고 있는 연소기의 한계점을 넘기 위해 다층구조(Multi Layer)방식이라 명명하는 새로운 구조의 연소기 방식을 창안하고, CAD (Computer Aided Design) program으로 설계 후 3D 프린터를 활용하여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검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층구조(Mulit Layer)방식의 목재펠릿난로의 연소 작용을 담당하는 연소기의 시제품(Prototype)을 설계, 제작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의 신뢰도를 위해 동일한 날짜, 장소, 연료를 사용하여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어 판매되고 있는 목재펠릿난로의 연소기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목재펠릿난로의 연소기를 비교실험하였다. 실험의 결과로 환경적인 측면에서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배출량의 감소를 확인하였고, 에너지 효율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열효율 결과를 도출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수용액상에서 클로렐라와 녹차의 염소 제거 효과 비교 (Comparison on Chlorine Removal Characteristics of Chlorella vulgaris and Green Tea in Aqueous Solution)

  • 인만진;조인경;김선희;김동청;채희정;오남순;김동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44-349
    • /
    • 2001
  • 클로렐라는 건강보조식품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수용액상에서 중금속 제거를 위한 흡착제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클로렐라를 이용하여 수도물의 소독제로 사용되는 염소의 제거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녹차, activated carbon과 비교하였다. 수용액상에서 pH와 초기염소의 농도가 염소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최적의 제거 pH는 10이었으며, 염소의 제거량은 초기 염소의 농도가 1.62 g/L까지 증가함에 따라 2.46 mg/mg까지 증가하였다. 녹차의 경우 초기 염소의 농도가 1.0 g/L 이상으로 증가하여도 제거량은 약 1.5mg/mg 정도에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클로렐라와 녹차에 의한 염소의 제거 결과는 Langmuir 흡착모델과 Freundlich 흡착모델에 대단히 잘 맞았으며 Langmuir 흡착모델에 의한 클로렐라의 최대 흡착량은 녹차와 activated carbon의 최대 흡착량에 비하여 약 2배로 나타나 클로렐라의 염소의 제거효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폐 반도체 슬러리 및 폐 망간전지 흑연봉으로부터 탄화규소 합성 (Synthesis of SiC from the Wire Cutting Slurry of Silicon Wafer and Graphite Rod of Spent Zinc-Carbon Battery)

  • 손용운;정인화;손정수;김병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2권3호
    • /
    • pp.25-3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실리콘웨이퍼의 절단공정에서 발생한 폐슬러리와 폐망간전지에서 발생하는 흑연봉을 각각 규소 및 탄소의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가스터빈 부품, 열교환기 등에 사용되는 탄화규소(SiC)를 합성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리콘웨이퍼의 절단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슬러리로부터 비중차이에 의한 선별과 자력선별 등에 의해 정제된 규소와 탄화규소를 얻을 수 있었으며, 폐망간전지를 해체하여 얻은 탄소봉으로부터 수세와 분쇄를 통하여 탄소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탄화규소의 합성은 규소와 당량비의 탄소분발을 혼합하여 1$600^{\circ}C$이상의 온도에서 아르곤 분위기와 진공분위기 하에서 2시간 유지시켰을 때 이루어졌으며, 이때 합성된 탄화규소의 순도는 99% 이상이었다.

회분 병류 4단 평형추출에 의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유분 중의 파라핀 성분의 회수 (Recovery of Paraffin Components from Pyrolysis Oil Fraction of Waste Plastic by Batch Cocurrent 4 Stages Equilibrium Extraction)

  • 강호철;신성순;김두한;김수진
    • 공업화학
    • /
    • 제29권5호
    • /
    • pp.630-634
    • /
    • 2018
  • 본 연구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WPPO) 유분의 품질향상의 일환으로 유분 중에 함유된 파라핀 성분의 회수를 회분 병류 4회 평형추출에 의해 검토했다. 원료로서는 WPPO를 단증류하여 회수한 유출온도 $120-350^{\circ}C$의 유분을, 용매로서는 소량의 물이 첨가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용액을 각각 사용했다. 평형추출 횟수(n)와 파라핀 성분의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추잔유 중에 함유된 파라핀 성분의 농도는 증가했다. n = 4에서 회수된 추잔유 중의 $C_{12}$, $C_{14}$, $C_{16}$, $C_{18}$ 파라핀 성분의 농도는 원료의 농도에 비해 약 1.2, 1.5, 1.6, 1.8배 각각 높았다. 파라핀 성분의 회수율(추잔유 중의 잔류율)은 n가 증가할수록 급격히 감소하고 탄소수가 큰 성분일수록 급격히 증가했다. 또한, 원료 중에 함유된 전체 파라핀 성분($C_7-C_{24}$)에 대한 n = 1 - 4에서의 회수율을 예측 가능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회수한 추잔유는 신재생에너지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