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ne growth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3초

포도와 미국자리공의 세포현탁배양계에 있어서 배지내 무기염 농도가 색소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 Concentrations on Accumulation of Pigments in Cell Suspension Cultures of Vitis vinifera and Phytolacca americana L.)

  • 인준교;이영복;최관삼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34-42
    • /
    • 1993
  • 포도 및 미국자리공의 세포현탁배양계에서 세포생장 및 색소축적에 미치는 배지내 무기 염농도의 효과를 알아 보았다. 포도의 세포 증식은 control구에서만 정상적인 대수증식기를 보였고, 희석배지에서는 4일째에서 6일째까지 완만한 대수증식기를 나타냈다. Anthocyanin은 모든 처리구에서 배양후 12일째에 최대로 축적이 되었다. 미국자리공에 있어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세포증식과 동조적으로 betacyanin이 축적되어, 배양 8일 이후에 최대축척을 나타냈다. 포도의 세포배양에서는 sucrose 87.6mM까지는 세포증식이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증식이 급격히 떨어졌다. Anthocyanin은 146mM에서 최대로 축적되었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도 다량의 anthocyanin이 축적되었다. 미국자리공에서는 sucrose농도가 높아질수록 세포증식 및 색소축적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포도의 배양세포와 대조적 인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써 포도의 anthocyanin과 미국자리공의 betacyanin이 같은 적색색소이지만, 배양세포내에서의 생성기작 및 그 축적과정이 서로 상이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한라산 흑오미자의 자생환경 및 삽목증식 연구 (A Study on the Native Environment and Cutting Propagation for the Black-berry Magnolia Vine [Schisandra repanda (Siebold & Zucc.) Radlk] in Halla Mountain)

  • 부재윤;김주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354-359
    • /
    • 2020
  • Background: The recent, decline in Black-berry Magnolia Vine (Schisandra repanda; BMV) native to Jeju Island, Korea, has raised concerns about the causes of this decline. We investigated the native environment of S. repanda and evaluated its propagation through cutting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its restoration in Jeju Island. Methods and Results: The native environment of the BMV in the Hallasan National Park was surveyed and the climatic variables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sex of the donor plant (male/female) type of cutting (softwood/hardwood), and treatment with a plant growth regulator (indole-3-butylic acid/rootone) on the rooting of BMV were investigated. Additinallly, the rooting rate, root count, and root length, as well as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measured in the vinyl moist chambers. BMV was observed in 63 plants distributed from 567 m to 1,364 m above sea level of the Hallasan National Park. In the cutting experiment, the rooting rate was 71.9%, and it was higer in female plants (75.0%) than in male plants (68.8%). Conclusions: The mass propagation of BMV through cuttings valuable for its restoration as without such safeguard measures, the population could face extinction within a few decades.

백하수오의 파종방법과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근수량 (Effects of Sowing Method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Root Yield of Cynanchum wilfordii Hemsly)

  • 김민자;김인재;남상열;이철희;송범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18-421
    • /
    • 2002
  • 백하수오 근수량 증대를 위한 밀식 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직파와 육묘 이식으로 구분하여 파종하고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생육은 파종 방법 간에는 육묘 이식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재식밀도 간에는 밀식할수록 만장과 분지수는 길거나 많았으나, 엽장과 엽폭은 소식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개체당 엽수는 22주/$m^2$에서 가장 많았다. 2. 지하부 생육은 파종 방법 간에는 육묘 이식재배에서 양호하였고, 재식밀도 간에는 주당 지근수, 근장 및 근태는 소식할수록 많거나 길거나 굵었으나, 단위 면적당 지근수는 밀식할수록 증가하였다. 3. 생근수량은 직파 재배보다 육묘 이식재배에서 많았으며, 재식밀도 간에는 밀식할수록 많아 육묘 이식 17주/$m^2$(1,680 kkg/10a)에 비하여 27주/$m^2$(2,567 kg/10a)에서 53%증수되었다.

등칡의 2기목부요소의 발생학적 변이 (Development Changes of the Secondary Xylem Elements in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arov)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9-325
    • /
    • 1998
  • The developmental changes occuring in the secondary xylem of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arov have been studied in different ages of vine stems. A. manshuriensis possesses typical storeyed cambium comprising both vertically elongated fusiform initials and almost isodiametric ray cell initials. Stems of A. manshuriensis have wide rays that make the secondary xylem appear dissected as other vine types. The length of vessel member and fiber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throughout the secondary growth. However, vessel diameter increases with the increasing age of stem till the cell reaches their maximum limit and later more or less stabilize in diameter while number of vessel per $\textrm{mm}^2$ is vice versa. Width and relative proportion of ray to axial elements graduall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ge of stem and later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 PDF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방음벽 녹화모델 개발 - 고속도로 방음벽 녹화용 덩굴식물을 중심으로 - (Simulation Model Development of Vines by Computer for Green Covering of the Traffic Noise Barrier - Centered on Vines for Green Covering of Highway Traffic Noise Barrier -)

  • 정태건;박재철;소재현;최경옥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37-44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on suggesting the simulation model of 10 selected plants for the traffic noise barrier through field experiment by computer. The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the traffic noise barrier of Honam highwa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was identified that Paederia scandens, Celastrus Orbiculatus, Lonicera japonica, Wisteria floribunda, Parthenocissus tricuspidata and Parthenocissus quinquefolia grows well vertically and takes 3 years in covering completely. 2. It was identified that Trachelospermum asiaticum and Hedera rhombea, evergreen Climber(vine), grows slowly in comparative with other deciduous Climbers(vine), but give drivers good landscapes in winter. So those have considerable value in the south region of Taejeon. 3. It was identified that Wisteria jl.oribunda, Lonicera japonica, Paederia scandens, Clematis mandschurica and Campsis grandijlora showed good view in flowering period. 4. It was identified that auxiliary materials for inducing growth were needed in other plants except Parthenocissus tricuspidata, Parthenocissus quinquefolia. 5. It was identified that subsequent research about the auxiliary materials for inducing growth and adequate planting distance of each plants is needed for actual application.

  • PDF

Heptachlor에 의한 호프식물 및 한삼덩굴의 생육시기별 약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eptachlor-caused Phytotoxicity at the Growing Stage of Hop and Hansam Vine)

  • 한대성;박창규;손철옥;허장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7
    • /
    • 1993
  • 본 연구는 토양에 처리한 Heptachlor (0.1ppm)와 Heptachlor epoxide (0.1ppm)가 Hop와 한삼덩굴에 미치는 약해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토양과 식물체 내의 약제의 잔류량, 생육시기에 따른 약해의 경향, 광합성능, 그리고 chlorophyll 함량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Heptachlor와 Heptachlor epoxide 0.1ppm 처리구에서 Hop의 생육조사 결과 Heptachlor 0.1ppm 처리구에서는 2차시기부터 지하부에서 심한 약해를 유발하였으며, 3차시기에서는 지상부, 지하부 공히 심한 생육 저해를 받았다. Heptachlor epoxide 0.1ppm 처리구에서는 2차시기부터 지상부, 지하부 모두 약해가 유발되었으며, 3차시기부터는 생육저해가 지속되었다. 공시약제간에는 Heptachlor epoxide 처리구가 Heptachlor 처리구에 비하여 지하부와 지상부 공히 심한 약해를 나타내었다. 2. Hop 및 한삼덩굴에서 Heptachlor 및 Heptachlor epoxide의 잔류량은 뿌리 > 줄기 > 잎의 순서이었으며, 공시식물의 각 생육시기별 잔류량도 뿌리 > 줄기 > 잎의 순서이었다. 공시식물의 각 생육시기별 잔류량은 2차시기에 가장 많았다. 공시약제 간에는 Heptachlor에 비하여 Heptachlor epoxide의 잔류량이 많았으며 공시식물간에는 2차시기 이후에 Hop보다 한삼당굴에서 더 많은 잔류를 보였지만 약해의 양상은 Hop에서 심하게 나타났다. 3. 광합성능에서 Hop는 heptachlor 처리구에서 2차시기부터 저해가 나타났으며, Heptachlor epoxide처리구의 경우 1차 및 2차시기에서도 광합성능이 저조했으며, 3차시기에서는 심한 저해를 나타냈다. 그러나 한삼덩굴의 경우 공시약제간, 생육시기별 광합성능의 저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 Cholorophyll의 함량에 있어서는 Hop의 경우, 공시약제 처리구에서 생육실험이나 광합성능에서 처럼 현저한 차이는 없었고, 생육시기별 Chlorophyll의 함량에서도 대조구에 비하여 큰 차이는 없었다. 한삼덩굴의 경우, 공시약제간 Chlorophyll함량의 감소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생육시기별로도 같은 경향이었다.

  • PDF

양조용 적색 포도 품종의 수형에 따른 수체생장, 과실 품질 및 양조적성 (Vine growth, fruit, and wine quality of red wine grapes cultivated in different trellises)

  • 정성민;허윤영;이동훈;임동준;박서준;정석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84-289
    • /
    • 2020
  • 양조용 포도인 'Doonuri', 'Narsha', 'Cabernet Sauvignon', 'Merlot' 품종에 개량일자형(MT), 주지갱신형(MTC), 이중커튼형(GDC) 수형을 적용하여 재배할 때 수체생장, 과실 품질, 와인특성의 변화를 2년(2018, 2019년)간 비교하였다. 이중커튼형(GDC) 수형으로 재배된 양조용 품종들은 수체생장(주간부 굵기, 신초 굵기, 절간장)의 대부분 조사항목이 개량일자형(MT), 주지갱신형(MTC)에 비해 유의하게 적게 이루어졌다. 이중커튼형(GDC) 수형은 수확량이 다른 수형에 비해 1.5 내지 2배로 증가하였지만, 과실 품질(당함량, 산함량, 과립크기)에는 차이가 없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와인의 anthocyanin 함량과 적색도는 모든 적색 양조용 포도 품종에서 이중커튼(GDC) 수형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전북지역 적응 다수성 가공용 고구마 적품종 선발 (Evaluation of Sweet Potato Cultivars for High Yield and Optimum Processing in Jeonbuk Region)

  • 최규환;이나라;이승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67-372
    • /
    • 2017
  • 전북지역에서 고품질 가공용 고구마 생산을 위한 적품종 선발을 위하여, 국내 육성된 14품종을 재료로 30 cm 크기의 종순을 $75{\times}25cm$로 5월 30일 정식하여 배색비닐로 멀칭재배한 다음, 120일 및 150일 수확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정식 30일째의 줄기신장은 '다호미'와 '신황미'에서 90 cm 이상으로 왕성하였고, 정식 120일째에는 '신황미', '신율미', '대유미', '진홍미', '연황미' 등에서 250 cm 이상으로 줄기신장이 왕성하였다. 주당 분지수는 정식 30일째에는 '신자미'에서, 120일째에는 '신황미'에서 가장 많았다. 주당상저중, 평균상저중, 주당상저수 및 상저수량은 정식 120일 후 수확보다 150일 후 수확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정식 120일 후 수확에서 상저수량은 '전미', '다호미', '대유미'에서 2.5톤/10a 이상으로 높았으며, 150일 후 수확에서 세 품종의 상저수량은 3.2-3.5톤/10a로 크게 증가하였다. 정식 30일째의 줄기길이 및 마디수는 주당상저중 및 상저수량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품종 고유특성인 전분가는 정식 120일 후 수확보다 150일 후 수확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전북지역 가공용 품종으로는 전분가가 높고 다수성으로 생육이 양호한 '전미', '대유미'와 점질품종으로 담주황색 육질을 가진 '다호미' 등이 유망하였다.

방음벽 녹화를 위한 덩굴식물 활용성 연구 (The Experiment of Vine for Covering the Traffic Noise Barrier)

  • 정태건;소재현;이은정;전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2-82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vering of vine the traffic noise barrier and analyse of their growth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s, chosen were 28 plants. In January 1996 to December 1998, the nursery seedbeds on the Chonju Arboretum in Korea Highway Corporation were seeding and cutting with those species, and a few species were carried out Honam Highway field experim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germination ratio of seedbed experiments were Wisteria floribunda(88%), Lonicera japonica(86%), Parthenocissus tricuspidata, Paederia scandens(85%), Celastrus orbiculatus(76%), Clematis terniflora var. denticulata(52%), Clematis mandshurica(44%) respectively. The rooting ratio of cutting experiments were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88%), Parthenocissus quinquefolia(87%),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asiatica(85%), Kadsura japonica(82%), Hedera rhombea(81%),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83%), Trachelospermum jasminoides var. pubescens(80%), Lonicera japonica cv. Aureo-reticulata(80%),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majus(78%), Euonymus radicans cv. Aureo-marginata(66%), in descending order. As a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traffic noise barrier was effected by Paederia scandens, Lonicera japonica, Parthenocissus quinquefolia, Wisteria floribunda, Parthenocissus tricuspidata in the field experiments and the others were necessary to maintainable management.

  • PDF

First Report of Phytophthora Leaf Blight and Vine Rot of Kudzu (Pueraria lobata) in Korea

  • Kim, Byung-Soo;Wai, Khin Pa Pa;Siddique, Muhammad Irfan;Mo, Hwang-Sung;Yoo, Hee Ju;Kim, Hee Suk;Hong, Seung-Beom
    • 식물병연구
    • /
    • 제26권2호
    • /
    • pp.109-115
    • /
    • 2020
  • A disease causing leaf blight and vine rot was recognized on kudzu plants (Pueraria lobata) in Korea since 1991. A species of Phytophthora has been repeatedly isolated from the infected leaves. Identification in species level of the Phytophthora sp. remained unsolved. An isolate, KACC 47616 originally collected from Manchon Park in Daegu, has been kept in our laboratory. In 2013, three new isolates, KACC 47617 and KACC 47618 from Yeongyang and KACC 47619 from Gunwi in Gyeongbuk province, were collected and examined to classify up to species level by characterizing morphology, response to temperature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the nature of hyphal swelling, sporangia and sex organs, absence of chlamydospore production,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and cytochrome oxidase subunit 1 sequence analysis of the pathogen, the causal fungus of kudzu plant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asiat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