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ne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9초

U-TURN을 포함한 가로망 표현 및 최단경로의 구현 (Network Representation Schemes for U-TURN and Implementation in the Vine-Based Dijkstra Shortest Path Algorithm)

  • 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52
    • /
    • 1995
  • This paper reviews both network representation schemes of transportation network and algorithms for findings the shortest path between two points in the network. Two types of network representation schmes for considering U-Turn have been proposed along with some modifications of the vine-based Dijkstra shoretest path algorithm. The traditional Sioux-Fall network has been chosen and modified with the introduction of left-turn prohibitions and U-Turns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peroformance of two modified algorithms and network representation schemes(NA1 an d NA2 ). This type of modification in both network representation scheme (including network data) and algorithms is not only supposed to be needed for route guidance but supposed to contribute to finding more realistic path and estimating more accurate traffic voulume thorughout the entire network.

  • PDF

Baroque직물에 나타난 Floral 패턴의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Floral Pattern in Baroque Textile)

  • 이선화;권영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7-127
    • /
    • 2002
  • Patterns presented at baroque were mostly floral pattern. Abstract anonymous flower, tulip, Acandus leaf, pomegranate were blended with one another and had a distinct leaning toward continuation and repetition. Components of design could be classified into flower and leaf, flower and fruit, flower and circumferential ornament, bunch of flowers, flower and pot, flower and geometry, and flower and animal. Floral patterns in this era were mostly fullness type being large, simple, and having more formalized motive and were fronted with unit type and vine shape. Unit type shows reflection of baroque style which aims to present absolute unification rather than freedom, which was inherent property of baroque style, by using symmetric pattern. Vine type were unfolded with C type curved line which was main characteristics of that time and showed flowage as a whole and pliable beauty. Floral pattern was filled the whole surface of fabric, thus background of fabric can not be discerned. So, it showed extreme decorative tendency and lavishness.

Phytophtora capsici에 의한 수박 역병 (Fruit and Vine Rot of Watermelon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

  • 김병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8-99
    • /
    • 1995
  • A disease causing fruit rot and leaf and vine blight on watermelon was found in Euseong in July, 1991 and in Bonghwa, Kyungpook province in August, 1993. Abundant zoosporangia characteristics of Phytophthora capsici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fected fruits. The zoosporangia were ovoid to ellipsoid, tapering to the base and with conspicuous papilla. The fungus isolated from the infected fruits was pathogenic on seedlings of watermelon, pumpkin, and peppe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ost range agreed with those of P. capsici. The watermelon disease caused by P. capsici was reported long time ago in Japan and America but rot yet in Korea. Thus, the disease on watermelon caused by P. capsici is reported as a new record in Korea.

  • PDF

등칡의 2기목부요소의 발생학적 변이 (Development Changes of the Secondary Xylem Elements in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arov)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9-325
    • /
    • 1998
  • The developmental changes occuring in the secondary xylem of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arov have been studied in different ages of vine stems. A. manshuriensis possesses typical storeyed cambium comprising both vertically elongated fusiform initials and almost isodiametric ray cell initials. Stems of A. manshuriensis have wide rays that make the secondary xylem appear dissected as other vine types. The length of vessel member and fiber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throughout the secondary growth. However, vessel diameter increases with the increasing age of stem till the cell reaches their maximum limit and later more or less stabilize in diameter while number of vessel per $\textrm{mm}^2$ is vice versa. Width and relative proportion of ray to axial elements graduall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ge of stem and later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 PDF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의 제작기법 고찰 및 원형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totype of the mother-of-pearl chrysanthemum pattern box from the Goryeo Dynasty)

  • 이희승;이민혜;김성훈;이현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126-144
    • /
    • 2024
  • 고려시대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미세한 자개표면에 문양을 세기거나, 금속선을 이용해 넝쿨의 줄기를 표현하고, 금속선을 꼬아 각 문양의 경계를 구성하는 등 고려나전칠기의 대표적인 특징이 아주 세밀하게 표현되어있다. 현재 남아있는 고려시대 나전칠기는 경함 및 합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반면 이번 연구대상인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뚜껑과 몸체가 분리되는 상자의 형태를 하고 있어 제작목적 혹은 보관된 내용물을 추정하기 어려웠다. 이번 연구에서는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의 원형을 확인하기 위해 조형적인 특징을 확인하고, X선 투과촬영과 X선 형광분석을 통해 구조와 제작기법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존에 알려진 고려시대 나전칠기를 유형별로 분류 및 비교분석해 상자의 용도와 제작목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X선 이미지 상 바닥면과 속상자에서 직물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기물을 직물로 감싸는 목심저피칠기기법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목리를 통해 복원부분으로 추정되는 부분의 판재구성과 기존 장석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구부에서 맞대임 방식으로 연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양에 사용된 금속선은 X선 형광분석 결과 황동으로 판단된다. 조사결과를 근거로 현재 남아있는 고려시대 경함류 9점, 상자류 3점, 소상자류 2점 등 총 14점을 유형별로 분류해 유사성을 조사하였다. 이중 일본 개인소장 국화넝쿨무늬경함, 도쿠가와미술관 흑칠지국당초문나전경상, 영국박물관의 나전국당초문경함, 국내소장 나전칠국당초문합(소상자) 등 5점의 문양구성이 본 연구대상과 가장 유사하였다. 그리고 손상양상, 조형적 특성, 구조적 특징 등을 부위별로 대조한 결과 영국박물관의 나전국당초문경함의 형태가 나전넝쿨무늬상자의 원형으로 현재 형태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이번 상자의 용도, 즉 제작목적을 확인하기 위해 당시 고려의 사회분위기와 비슷한 시기 제작된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당시 무신정권 이후 몽골의 침입을 겪으면서 국가의 안정과 개인의 명복을 빌기 위한 사경이 출현, 그리고 13세기 국내 인쇄술과 종이의 발전으로 점차 두루마리에서 절첩식 형태로의 전환기와 맞물려 경함에서 상자의 형태로 보관방식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다.

백하수오의 파종방법과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근수량 (Effects of Sowing Method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Root Yield of Cynanchum wilfordii Hemsly)

  • 김민자;김인재;남상열;이철희;송범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18-421
    • /
    • 2002
  • 백하수오 근수량 증대를 위한 밀식 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직파와 육묘 이식으로 구분하여 파종하고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생육은 파종 방법 간에는 육묘 이식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재식밀도 간에는 밀식할수록 만장과 분지수는 길거나 많았으나, 엽장과 엽폭은 소식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개체당 엽수는 22주/$m^2$에서 가장 많았다. 2. 지하부 생육은 파종 방법 간에는 육묘 이식재배에서 양호하였고, 재식밀도 간에는 주당 지근수, 근장 및 근태는 소식할수록 많거나 길거나 굵었으나, 단위 면적당 지근수는 밀식할수록 증가하였다. 3. 생근수량은 직파 재배보다 육묘 이식재배에서 많았으며, 재식밀도 간에는 밀식할수록 많아 육묘 이식 17주/$m^2$(1,680 kkg/10a)에 비하여 27주/$m^2$(2,567 kg/10a)에서 53%증수되었다.

개발사업에 따른 산림식생 영향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mpact Assessment Model of Forest Vegetation by Land Developments)

  • 이동근;김은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23-130
    • /
    • 2009
  • Fragmentation due to land developments causes disturbances and changes of composition in forest veget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impact assessment model for quantitative distance or degree of disturbance by land development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bout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forest vegetation to determine degree of impact from land developments. The results of field survey, there was a difference in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forest vegetation such as tree canopy, herbaceous cover, and number of vine and alien species the distances from edge to interior area such as 0m, 10m, 20m, 40m, and over 60m. To assess the disturbance of forest vegetation, the factors selected were the rate of vine's cover and appearance of alien species. The impact assessment model about vine species explained by a distance, forest patch size, type of forest fragmentation, and type of vegetation ($R^2$=0.44, p<0.001). The other model about alien species explained by a distance, type of forest fragmentation, type of vegetation, and width of road (85.9%, p<0.005). The models applied to Samsong housing development in Goyang-si, Gyunggi-do. The vines and alien species in the study area have had a substantial impact on forest vegetation from edge to 20 or 40m. The impact assessment models were high reliability for estimating impacts to land developments. The impact of forest vegetation by development activities could be minimized thorough the adoption of the models introduced at the stage of EIA.

'캠벨얼리' 포도의 수체관리와 내한성 (Cold Hardiness in Relation to Vine Management in 'Campbell Early' Grapevines)

  • 송기철;최인명;조명동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3호
    • /
    • pp.387-390
    • /
    • 2000
  • 포도나무의 수체관리와 수량이 과실품질과 내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화성지역과 수원지역에서 '캠벨얼리' 품종을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동해 상습지역인 화성지역은 수원지역에 비해 동계 최저기온 극값이 낮았고, 재식거리가 좁아 과다결실을 하고 있었으며, 수확시기도 7일 가량 늦은 경향이었다. 또한 포도나무의 결과모지내 탄수화물 함량도 1.2~1.7% 정도 낮았으며, $-15^{\circ}C$의 저온처리에 의해 발아율도 현저히 낮았다. 수원지역에서 포도 착과량별 과실품질과 결과모지의 발아정도를 보면, 착과량이 많아질수록 과방 및 과립의 크기는 차이가 없었으나, 당도가 떨어지고, 착색이 나빠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착과량이 많아지면 결과모지의 탄수화물 함량이 적어지는 경향인데, 특히, $-15^{\circ}C$ 이하의 저온 처리에 의해 발아율이 현저히 낮아졌다. 과실품질을 고려한 적정 수량은 2.3~2.6MT/10a이 적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