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ve phas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초

Analysis of the Dual Promoters and the $H_2O$$_2$-responsive Element of the cats Gene Encoding Catalase A in Streptomyces coelicolor

  • Cho, You-Hee;Hahn, Ji-Sook;Roe, Jung-Hy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8권4호
    • /
    • pp.239-244
    • /
    • 2000
  • The cats gene encodes the major catalase in Sreptomyces coelicolor, whose production increases upon H$_2$O$_2$treatment. Besides the previously identified primary promoter (catApl), a minor promoter (catAp2) was newly assigned by S1 nuclease mapping. The catAp2 transcript was observed transiently upon entry into the stationary phase in liquid culture and upon differentiation on solid plates, whereas the level of catApl transcription did not chance significantly during this growth transition. ThecatApl promoter was transcribed by the major vegetative RNA polymerase holoenzyme containing $\sigma$$\^$HrdB/, whereas the catAp2 was transcribed in vitro by the holoenzyme containing $\sigma$$\^$R/ that is activated under oxidative conditions. The cia-element regulating the H$_2$O$_2$-inducibility of catApl was identified within the 23 bp inverted repeat sequence located between -65 and -43 of the catApl promoter. We roamed this sequence HRE (H$_2$O$_2$-responsive Element). The distal half of the inverted repeat was more crucial for H$_2$O$_2$-dependent induction of the catApl transcript than the proximal half. HRE most likely serves as a binding site for the H$_2$O$_2$-responsive repressor CatR.

  • PDF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에 기생한 Amyloodinium sp.의 성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eatures of Amyloodinium sp. Parasitized in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지보영;김기홍;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2
    • /
    • 1998
  • 본 연구는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에 기생한 Amyloodinium sp.의 성상을 알기 위하여 이 기생충의 형태 계측학적인 특징을 조사하는 한편, 지속적인 감염을 유도하여 충체의 발달과 번식 특성 및 병리 조직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기생충의 형태는 크게 기생기(parasitic phase)와 비기생기(nonparasitic phase)로 구분할 수 있었고, 영양형(trophont), 분열형(tomont), 자충(dinospore)의 3단계의 발달과정을 거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방추형 또는 난형인 기생 충체는 색깔이 없었으며, 직경 30-$80{\mu}m$ 크기였다. 성숙한 충체는 크기가 약 $80{\mu}m$ 내외로 체내에 $15{\mu}m$의 둥근 핵과 다수의 식포 및 전분성 과립을 함유하고 있으며, 가근상 돌기가 있는 부착기로 아가미 기저막에 부착해 있었다. 비기생기인 분열형은 80-$90{\mu}m$의 크기로 어체로부터 이탈된 직후 구형의 Cyst wall을 가지고 있던 것이 분열과 함께 Cyst wall의 모양이 사각형으로 변하였으며, 지속적인 2분열로서 감염형을 생성하였다. 8회의 분열로서 생성된 감염형은 $10-15{\times}10-14{\mu}m$의 크기로 전체 형태가 둥글고 양끝이 편평하였으며 체내에 다수의 과립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자충은 2개의 편모(충체 중앙부에 허리띠 모양의 가로 편모와 뒤로 길게 늘어뜨린 세로 편모)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안점은 기생 초기의 충체와 자충에서 관찰되었다.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에 인위 감염을 유도하여 발달과 번식 특성을 확인한 결과, 이 충은 수온 24-$26^{\circ}C$의 어체에서 3-5(평균, 3.75)일만에 성숙하며, 이탈하여 수중에서 3-4(평균, 3.3)일만에 분열하여 256개의 자충을 생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이들 감염어의 아가미 조직은 감염 초기에 뚜렷한 병변을 나타내지 않지만, 감염이 진행되면서 지속적인, 재감염으로 인하여 아가미 상피세포의 과잉 형성을 일으켜 새판이 비후되어 곤봉화되고 결국 감염어는 폐사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배추의 저온 스트레스 처리 시간대별 발현 유전자 네트워크 분석 (Time-based Expression Networks of Genes Related to Cold Stress in Brassica rapa ssp. pekinensis)

  • 이기호;유재경;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1호
    • /
    • pp.114-123
    • /
    • 2015
  • 식물은 다양한 생화학적 및 생리적 과정에 속한 유전자들의 발현 수준을 조절함으로써 저온 스트레스에 반응 및 적응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환경은 막 기능 손실, 세포벽의 변화, 대사 속도 변화 등과 같이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배추(Brassica rapa ssp. pekinensis)에서의 시간 변화에 따른 저온 스트레스 반응 기작 관련 유전자 상호발현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배추의 저온 스트레스 네트워크는 2,030개 node, 20,235개 edge, 및 34개 connected component로 구성되었으며, 구축된 네트워크는 배추에서 저온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생육도 조절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구축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배추에서 저온 스트레스($4^{\circ}C$)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WRKY 전사인자와 살리실산 신호에 의해 chitinase 부동 단백질이 활성화되고, 전신적 획득저항성을 작동하기 위해 기공 개폐 및 탄수화물 대사과정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저온 처리 후 48시간 후에 저온 스트레스가 영양생장에서 생식 생장 및 분열 조직 단계의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네트워크 모델은 배추에서 저온 저항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패턴을 정확히 유추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백점충, Ichthyophthirius multifiliis의 발달 단계별 특성 (Developmental features of Ichthyophthirius multifiliis, a parasitic ciliate of cultured fish)

  • 지보영;김기홍;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1-31
    • /
    • 1996
  • 양식산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및 한국산메기(Silurus asotus)를 시료로 하여 Ichthyophthirius multifiliis의 발달 단계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하고 또한 수온별로 탈낭에 따른 소요시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1. multifiliis의 발달단계를 형태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크게 기생기(parasitic phase)와 비기생기(non-parasitic phase)로 구분할 수 있었고 phoront, trophont, protomont, tomont, tomite 및 theront 의 6 단계의 발달 과정을 거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침입형인 phoront 는 $60{\times}40-100{\times}70{\mu}m$의 방추형 또는 구형으로 34-38열의 meridional kineties를 가졌고 구부 장치가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영양형인 trophont는 80-$800{\mu}m$의 구형 또는 아메바형이며, 말굽형의 대핵, 미미한 세포구 및 발달된 수축포를 가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피낭 형성형인 protomont는 200-$800{\mu}m$의 구형으로 미미한 대핵과 현저히 발달된 수축포를 가지고 있었으며 구부 장치의 흡수 및 exocyst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피낭체내 분열형인 tomont는 크기와 모양이 protomont와 같았으나 대핵은 보이지 않았고 endocyst를 형성하여 두꺼운 cyst wall 을 가졌으며 구부 장치가 완전히 흡수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딸세포형인 tomite는 35-$50{\mu}m$의 구형으로 세포구가 보이며 구부장치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감염형인 theront는 크기, 모양 및 meridional kineties가 phoront와 같았으며 돌기 및 세포구가 앞끝과 중간 부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 multifiliis 의 탈낭에 따른 소요 시간은 수온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온 $28^{\circ}C$에서 10-14 시간이 소요되었고 수온이 낮아질수록 탈낭에 따른 소요 시간이 길어져서 수온 $9^{\circ}C$에서는 약 129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절형 밀 생장에 대한 온도의 영향과 유전자 발현 양상 (Effect of Temperature on Growth and Related Gene Expression in Alternative Type Wheat Cultivars)

  • 허지혜;성혜주;양운호;정우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4호
    • /
    • pp.384-394
    • /
    • 2019
  • 국내에서 육성된 파성3으로 분류된 밀의 생장에 대한 고온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얼기부터 등숙기까지 일평균 17℃, 20℃, 23℃, 26℃ 온도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밀의 생육 특성과 유전자 발현양의 변이를 분석하였다. 1. 밀의 생산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유효분얼수, 건물중은 수안밀과 조은밀은 일평균 온도 23℃ 이상에서 감소하였고, 진품밀은 20℃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2. 진품밀의 경우 온도 처리 50일 후 온도 조건에 따라 생육상이 뚜렷이 구분되었는데, 17℃에서 영양생장 단계를 보였고, 20℃ 이상에서 출수·개화 단계를 나타냈다. 3. 온도와 관련된 생리대사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유전자 16개를 대상으로 RT-qPCR을 진행하여 온도 처리 50일 후 진품밀의 17℃와 23℃ 처리구에서 유전자 발현 수준의 차이를 확인해본 결과, 23℃ 처리구에서 발현이 증가한 유전자에는 HSP70, HSP101, VRN2, ERF1, TAA1, YUCCA2, GolS, MYB73, Histone H2A이 있고, 감소한 유전자에는 VRN-A1, DREB2A, HsfA3, PIF4, PhyB, HSP17.6CII, rbcL이 있다. 4. 16개 유전자 중 MYB73, YUCCA2, HSP101, ERF1, VRNA1이 저온과 고온 조건 사이에서 유전자 발현양에 큰 차이를 보였다. 5. 온도에 의한 진품밀의 출수 표현형은 평균온도 17℃와 20℃ 사이에서 결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온도에 의한 생육상과 형태적 특성의 차이는 단일 유전자 발현이 아닌 고온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의 복합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Bulblets Size Oriented from Tissue Culture on Growth and Bulb Enlargement of Lilium Oriental Hybrids Grown in Highlands

  • Kim, Min Jeong;Hong, Sae Jin;Kim, Hak Ki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2호
    • /
    • pp.165-172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ulblet size on growth and bulb enlargement of Lilium Oriental hybrids, such as 'Sorbonne', 'Siberia', and 'Casa Blanca', grown in areas of high altitude (780 m), in 2009. The bulblets were oriented from tissue culture and planted to produce virus-free bulblets. All the three cultivars showed high vitality, with more than 93% producing shoots, even from small bulblets with a bulb circumference (BC) of less than 6 cm. Bulblets with BC 9-10 cm showed an increased height and number of leaves rapidly to induce the phase conversation from vegetative growth to reproductive growth. The bulblets of BC 9-10 cm in 'Sorbonne', 'Siberia', and 'Casa Blanca' had 2.0, 2.9, and 2.8 flower bud sets per plant, respectively. However, the flowers from those bulblets were not adequate as standard bulbs to produce cut-flowers for the domestic market. The larger bulblets showed more prosperous characteristics in growth and development of Lilium Oriental hybrids. Small bulblets had a high occurrence of viruses and leaf blight symptoms during cultivation, indicating the aggravated disease symptoms in the previously infected bulbs. 'Sorbonne' cultivars showed a high rate of enlargement of bulbs, and small bulblets under BC 6 cm produced more than 23% of the standard bulbs of BC 14-16 cm, which could produce cut-flowers for export. However, 'Casa Blanca' bulblets with BC 6-9 cm produced low bulbs of BC 14-16 cm at 21% level. 'Casa Blanca' cultivars had more bulb roots, longer root lengths, and higher weights than 'Sorbonne' and 'Siberia' cultivars. 'Casa Blanca' cultivars with BC over 9-10 cm grew rapidly and produced a high quantity of bulbs. In these results, 'Sorbonne' bulblets of BC 9-10, 'Siberia' bulblets of BC 10-12 cm, and 'Casa Blanca' bulblets of BC 10-12 cm produced 89%, 86%, and 93% of the standard bulbs of BC 14-16 cm, respectively. It is recommended that bulblets larger than the above sizes be used to produce cut-flowers for the export market. Experiment results suggest that production of bulbs larger than BC 18 cm requires bulblets that are larger than BC 12-14 cm of the three cultivars for the highest quality cut-flowers.

수도 품종변천에 따른 유용형질의 특성변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grono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Recommended during 1910-1980 in Korea)

  • 홍성호;이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40
    • /
    • 1983
  • 우리나라 수도 품종의 시대적 변천에 따른 그들 품종의 생육형질 및 수량구성형질들의 변이를 조사비교하여 앞으로 품종육성 및 재배기술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연대별 주요품종을 5개씩 25개 품종을 공시하여 5대 품종군, 즉 ${circled1}$1907년대의 재래품종들을 GI군, ${circled2}$ 1920년대의 도입품종들을 GII군 ${circled3}$ 1930년대에 육성 보급된 품종들을 GIII군, ${circled4}$ 1950년대에 육성 보급된 품종들을 GIV군, ${circled5}$ 1971년 통일품종 육성이후에 육성된 품종들을 GV군으로 구분하여 이앙시기를 5월 15일, 5월 30일, 6월 14일 및 6월 29일의 4회로 하여 시험조사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PDF

생태형이 다른 대두품종의 생육 및 건물축적 (Growth and Dry Matter Accumulation in Different Ecotypes of Soybeans (Glycine max. L.))

  • 정길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4-181
    • /
    • 1988
  • 하대두형 및 추대두형 콩품종에 대하여 파종기를 달리 했을 때 생육상의 차를 구명하고, 또한 건물축적양상 비교하기 위하여 1987년 천안시 안서동에 위치한 단국대 농대 실습포장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극조반(4월 15일파종)나 그후 파종(5월 15일 및 6월 15일)에서 하ㆍ추대두형품종간 출현율의 차가 관찰되지 않아 포장에서 저온발아성의 차를 검정한다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되었고, 또한 하ㆍ추대두형간 개화일수단축정도의 차도 없었으나, 하대두형인 DN82029-3이나 ES18085-1의 조ㆍ만파기 생육일수의 차가 추대두형인 장엽콩이나 팔달콩에 비하여 크지 않아, 생육후기 고온에 의한 결실일수가 촉진되어 만파에서 추대두형에 비하여 몇가지 수량구성요소의 감소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대두형은 추대두형에 비하여 만파에서 도장정도가 심함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대두형인 DN82029-3이이나 추대두형인 단엽콩 및 장엽콩은 개화시 이후에도 경엽신장이 큰 폭으로 증가된 바, 개화시 이후 3품종 모두 경장이 17∼32cm가 신장되었으며, 엽면적지수도 개화시 이후 0.83∼1.53의 증가를 보여 엽의 신장이 큰 폭임을 나타내 주었다. 하대두형인 DN82029-3은 단엽콩이나 장엽콩에 비하여 49일이나 빨리 최고건물중을 나타냈으나, 절대량은 추대두형의 최고건물중의 약 50% 수준이어서 5월 15일 파종시 일장둔감형인 하대두형은 충분한 영양생장을 이루지 못한 가운데 생식생장기 간으로 접어들어 건물축적량이 크게 낮아지게 되고, 이것이 낮은 수량의 원인으로 보인다.

  • PDF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 L.) 개체군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 (Phonology and Morphometrics Change of Zostera marina L. Population at Duksan Port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이상룡;이성미;김정하;최청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70-77
    • /
    • 2003
  • 동해 덕산항에 생육하는 거머리말(Zostera matina L.) 개체군의 생물계절학과 형태 변이를 1998년 3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거머리말의 계절에 따른 생육관계, 생육밀도, 생물량과 환경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괴내 영양염 농도는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질산염은 하계에 낮았으나, 암모니아는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거머리말 생육지에서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은 하계보다 동계에 높게 나타났다. 영양지의 길이는 54.2(3월0~100.0cm (10월), 생식지의 길이는 97.8(3월)~213.0 cm(7월) 범위로 다양하였으며, 생식지는 3월 중순부터 9월초까지 출현하였다. 생식지의 개화는 수온이 12$^{\circ}C$부터 시작하여 21$^{\circ}C$까지 지속되었으며, 열매 성숙은 수온이 22~$25^{\circ}C$범위에서 나타났다. 영구 반형구(0.25$m^2$)내의 생육밀도는 38~136(평균 80.3$\pm$6.5), 생물량은 190(10월)~922 g dry wt m$^{-2}$ (6월)로 계절에 따라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다. 식물체의 형태적 형질과 이화학적 요인들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계절에 따른 수온의 변화는 거머리말 생식지의 생육단계와 영양지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n Open Top Chamber for Forage Maize to Study the Effect of Elevated Temperature by Global Warming

  • Min, Chang-Woo;Khan, Inam;Kim, Min-Jun;Yoon, Il-Kyu;Jung, Jeong Sung;Lee, Byung-Hy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3-188
    • /
    • 2021
  • The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climate warming is predicted to affect crop yields in the future. Until now, various types of OTC (open top chamber) that simulate the future climate condition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study the effect of temperature increase due to global warming on maize growth. However, in most OTCs, high equipment and maintenance costs were required to artificially increase the temperature. This study was carried to develop a cost-effective and simple OTC suitable for climate warming experiments for forage maize. Three octagonal OTCs with a height of 3.5 m × a diameter of 4.08 m and a partially covered top were constructed. The lower part of OTC covered film was opened at a height of 26 cm (OTC-26), 12 cm (OTC-12) from the ground surface, or not opened (0 cm, OTC-0). Mean air temperatures during the daytime on a sunny day in OTC-0, OTC-12 and OTC-26 increased to 3.23℃, 1.33℃, and 0.8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ambient control plot. For a pilot test, forage maize, 'Gwangpyeongok' was grown at OTCs and ambient control plots. As a result, in the late maize vegetative growth phase (July 30), the plant height was increased more than 45% higher than the ambient control plot in all OTC plots, and the stem diameter also increased in all OTC plo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possible to set the temperature inside the OTC by adjusting the opening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OTC, and it can be applied to study the response of forage maize to elevated temperature. An OTC, with its advantages of energy free, low maintenance cost, and simple temperature setting, will be helpful in studying maize growth responsiveness to climate warming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