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 sucess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대호 간척지의 제염진해에 따른 초기 식생 변화 (Changes in Early Stage Vegetation Succession as Affected by Desalinization Process in Dae-Ho Reclaimed Land)

  • 이승헌;안열;류순호;이상모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64-369
    • /
    • 2000
  • 간척지의 식생 천이조사와 토양의 이화학성 분석을 통해 간척지 현장에서 식생과 토양의 제염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충청남도 대호 간척지내의 식생보전 포장에서 식생별로 A 에서 G 까지 7개그룹으로 구분하여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토양의 이화학성을 분석하였다. A 그룹는 명 나문재, 퉁퉁마디, B 그룹은 갯개미취, 개망초, C 그룹은 강아지풀, D 그룹은 갈대, E 그룹은 갯질경, F 그룹은 토끼풀, G 그룹은 갯잔디, 톨페스큐가 각각 우점종 이었다. 식생 보존구내의 식생 천이과정은 초기에는 A 그룹이 우점하다가 이후 B 그룹이 등장하였고 기타 그룹의 식생은 거의 동시기에 출현하여 경쟁하는 양상을 보였다. 보존구내의 토양은 전체적으로 토성은 미사질양토였고 토양 비옥도는 일반 농경지와 비교하여 매우 낮았다. 토양의 pH는 $7.0\;{\sim}\;8.0$ 범위였고, 전기전도도는 A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은 모두 표토는 평균 $10\;dS\;m^{-1}$ 이하, 심토는 평균 $20\;dS\;m^{-1}$ 이하였다. SAR 값은 A 그룹이 자라는 토양은 염류-나트륨성 토양의 특징을 나타내었고 기타의 그룹은 염류토양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제염의 진행에 따른 수용성 양이온과 음이온 조성변화는 1가이온이 감소함에 따라 2가이온의 비중이 점점 높게 되는 경향을 보였다. 간척지에서 식생 천이과정과 토양의 제염정도의 관계는 명아 주과외의 식생의 출현은 전기전도도는 평균 $10\;dS\;m^{-1}$ 이하, SAR은 15 이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팔공산 내학동일대의 산화적지의 이차식생과 천이 (The Secondary Vegeation and Sucession of the Forest Fire Area of Nae-Hak Dong, Mt. Palgong)

  • Cho, Young 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1호
    • /
    • pp.22-32
    • /
    • 1983
  • The paper is investigation of the secondary vegeation and succession at the forest fire area in Mt. Palgong. The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pril, 1981 to Stempter, 1982. The floristic compositions were as follows: 50 families, 116 genera, 127 species, 15 varieties and 3 formae(145 kinds). Among them,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 pine floor vegetation of the unburned area was 43 families, 80 genera, 88 species, 10 varieties and 1 forma(99 kinds), and that of the secondary vegetatiion after forest fire was 46 families, 106 genera, 120 species, 14 varieties and 3 formae(137 kinds). Index of similarity betwee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 was 0.77. The biological type succeeded in $H-D_1-R_5$type, and the erect form(s) was prevailed. Carex humilis var. nana,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 lespedeza cyrtobotrya were dominant species in the $ B_1; and; B_2$ area of the seventh year after forest fire. In the degree of succession,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index, DS, H, and e of the $B_1$ area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B_2$ area. In the soil properties, it assumed that pH,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hosphores of the burned area were nearly recovered to those of the unburned area.

  • PDF

오대산국립공원 소금강 계곡부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Soguemgang Valley in Odaesan National Park)

  • 강성칠;한봉호;박석철;최진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44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and ecological succession sere of forest ecosystem in Soguemgang Valley, Odaesan National Park. Fifteenth plots(size is $20m{\times}20m$) were set up and the results analyzed by DCA which is one of the ordination technique showed that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which area community I(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community), II(Pinus densiflora community), III(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 community), IV(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V(Quercus serrata community), VI(Pinus densiflora-Deciduous broad-leaved plant community), VII(Cornus controversa-Carpinus laxiflora community). Shannon diversity index per $400m^2$ was to 0.7777 to 1.1440 and the age of Pinus densiflora 86 years old, Quercus variabilis was ranged from 66 to 87 years old, Quercus serrata was ranged from 51 to 62 years old, Carpinus laxiflora was 94 years old. In 2013, the succession trend was predicted Pinus densiflora${\rightarrow}$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rightarrow}$Cornus controversa, Carpinus laxiflora. The ecological sucession progress has declined power of the Pinus densiflora and the increased power of the deciduous broad-leaved and Quercus spp. in Soguemgang Valley, Odaesan National Park. Quercus serrata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ies that judged Pinus densiflora were progressing by direction of landform. The southern slopes vegetation were progressing for Quercus variabilis, the northern slopes vegetation were progressing for Quercus serrata. In flat Valley, mainly native species of Cornus controversa, Carpinus laxiflora are predicted ecological succession for deciduous broad-leaved tree community.

4개 간척 지구에 분포하는 식생과 토양 염류농도 (Soil Salinity and Vegetation Distribution at Four Tidal Reclamation Project Areas)

  • 이승헌;지광재;안열;노희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9-86
    • /
    • 2003
  • 토양 제염이 토양 화학성 변화와 식물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간척농경지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조제 체절전후 자연식생이 존재하는 9개 지점에서 식생분포 특징을 조사하고 2개 지점에 대해서는 토양과 식생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9개 조사지점에서 11목, 14과, 46속, 49종, 8변종, 1품종등 총 58종류의 식생분포가 관찰되었고 자연상태를 잘 유지한 대호식생보전구와 석문 국가공단 예정 부지에서의 출현종수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해수를 유통시키고 있는 홍보지구나 만경강, 동진강 하구의 식생은 10여종정도로 단순하였다. 9개 조사지점에서 가장 빈도가 높게 출현한 종은 벼과, 명아주과, 국화과에 속하는 나문재(Suaeda asparagoides (Miq.) Makino), 갯개미취(Aster tripolium L.), 갈대(Phragmites australis Trin.), 해홍나물(Suaeda maritima Dum.), 칠면초(Suaeda japonica Dum.), 천일사초(Carex scabrifolia Steud.)등이었다. 통양의 제염에 따라 염류-나트륨성(Saline-내??) 토양에서 염류(Saline) 토양으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일반 토양으로 변화하였다. 명아주과의 식생은 염도(ECe)가 30 dS/m 전후인 토양에서 출현하여 10 dS/m까지 지속되고, 20 dS/m 전후에서 갯개미취, 산조풀, 사데풀 등이 출현하였으며 10 dS/m 이하에서는 일반육상에서 볼 수 있는 식생종들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토양제염과 동시에 식생의 천이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서 종자 등의 식물이 유입될 확률이 있어야하므로, 초기간척지의 식생을 조기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토양검정을 통해 적정 염도에서 정착할 수 있는 식생의 인공식재 내지 종자 산파를 통해 촉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25\;{\pm}\;0.32$분, 제 2 군이 $3.05\;{\pm}\;0.34$분으로 두 실험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근관 충전재의 제거 후 근관 벽의 청결도는 두 실험 군 모두에서 치관부 1/3이 중간이나 치근단 1/3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새로운 근관 충전 재료인 Resilon이 기존의 가타퍼챠와 실러를 사용한 충전과 비슷한 정도의 제거 용이성 및 근관 벽의 청결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0 일 ), $1.1{\sim}5.6$ ( 평균: 2.9, 표준 편차: 0.8) 이었다. 단변 수 분석상 FRS, PVC, 체외 순환시간 (CPB) 및 술 후 12 시간째의 중심 정맥압 등이 LIT와 연관되었으나, 다변수 분석상 PVC (p=0.0018) 및 CPB (p=0.0024)만이 독립적으로 LIT를 예측하였다. 두 변수는 LIT 변이에 대하여 21.7%의 설명력이 있었으며, 두 변수를 이용한 회귀 분석식은 다음과 같았다. LIT=2.74-0.0158 PVC+0.00658 CPB. 결론: 새로이 정의된 폐혈관 유순도는 심장 외 도관을 이용한 단심실 교정 후의 흉관 거치 기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예측 인자로서, 수술 전 위험 인자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그것의 분별도 하지 못하는 세상 사람들을 완농(玩弄)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진환(塵 )에서 초연(超然)했던 것이다. 천석고황(泉石膏 )으로 태평성대(太平聖代)에 사시가흥(四時佳興)을 한가지로 하는 퇴계와는 그래서 다르다. 퇴계는 순풍(淳風)과 어진 인성(人性)을 긍정하였기에 만족하고. '고인(古人)의 녀던 길'을 끊임없이 행(行)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완세불공(玩世不恭)'과 '온유돈후(溫柔敦厚)'가 판별되어진다. 장육당이 '완세불공(玩世不恭)'했다면, 그것은 자취(自取)한 것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