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Early Stage Vegetation Succession as Affected by Desalinization Process in Dae-Ho Reclaimed Land

대호 간척지의 제염진해에 따른 초기 식생 변화

  • Lee, Seung-Heon (Korea Agricultural &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
  • An, Yeoul (Korea Agricultural &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
  • Yoo, Sun-Ho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Mo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승헌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안열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류순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이상모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In order to obtain the reference data to be used as an vegetation index for degree of desalinization, vegetation successions were surveyed and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t the naturally maintained plot in Dae-Ho reclaimed land. Seven Groups $(A\;{\sim}\;G\;group)$ were classified as major vegetation; A group (Suaeda asparagoides MAKINO etc.), B group ( Aster tripolium L. etc.), C group (Stearia viridis L. BEAUV), D group ( Phragmites longivalvis STEUD), E group (Limonium tettagonum THUMB A. A. BULLOCK), F group (Trifolium repens L.), G group (Zoysia sinca HANCE etc.). As desalinization process proceeded, the wild vegetation changed in order of $A\;{\to}\;B\;group$, $D\;{\to}\;C\;group$, $E\;{\to}\;F$, G group. Soil texture of the naturally maintained plot was silt loam and soil fertility was very low compared with agricultural cultivated soil. Soil pH ranged from 7.0 to 8.0. Electrical conductivity (ECe) was below 10 and $20\;dS{\cdot}m^{-1}$ at top and subsoil, respectively, except the plot where A group were growing. Resulting from SAR and ECe, The plot where A group was growing was saline-sodic soil and the others were saline soil. The relation between vegetation sucession and soil desalinization showed that vegation appeared under $10\;dS{\cdot}m^{-1}$ of ECe and 15 of SAR except A group.

간척지의 식생 천이조사와 토양의 이화학성 분석을 통해 간척지 현장에서 식생과 토양의 제염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충청남도 대호 간척지내의 식생보전 포장에서 식생별로 A 에서 G 까지 7개그룹으로 구분하여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토양의 이화학성을 분석하였다. A 그룹는 명 나문재, 퉁퉁마디, B 그룹은 갯개미취, 개망초, C 그룹은 강아지풀, D 그룹은 갈대, E 그룹은 갯질경, F 그룹은 토끼풀, G 그룹은 갯잔디, 톨페스큐가 각각 우점종 이었다. 식생 보존구내의 식생 천이과정은 초기에는 A 그룹이 우점하다가 이후 B 그룹이 등장하였고 기타 그룹의 식생은 거의 동시기에 출현하여 경쟁하는 양상을 보였다. 보존구내의 토양은 전체적으로 토성은 미사질양토였고 토양 비옥도는 일반 농경지와 비교하여 매우 낮았다. 토양의 pH는 $7.0\;{\sim}\;8.0$ 범위였고, 전기전도도는 A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은 모두 표토는 평균 $10\;dS\;m^{-1}$ 이하, 심토는 평균 $20\;dS\;m^{-1}$ 이하였다. SAR 값은 A 그룹이 자라는 토양은 염류-나트륨성 토양의 특징을 나타내었고 기타의 그룹은 염류토양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제염의 진행에 따른 수용성 양이온과 음이온 조성변화는 1가이온이 감소함에 따라 2가이온의 비중이 점점 높게 되는 경향을 보였다. 간척지에서 식생 천이과정과 토양의 제염정도의 관계는 명아 주과외의 식생의 출현은 전기전도도는 평균 $10\;dS\;m^{-1}$ 이하, SAR은 15 이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