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oil Salinity and Vegetation Distribution at Four Tidal Reclamation Project Areas

4개 간척 지구에 분포하는 식생과 토양 염류농도

  • Lee, Seung-Heon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
  • Ji, Kwang-Jae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
  • An, Yeoul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Agricultural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
  • Ro, Hee-Myong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승헌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지광재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안열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노희명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esent reference data to be used as newly reclaimed tidal land management. We investigated vegetation succession at 4 reclaimed/reclaiming project areas and discussed relationship with soil and vegetation tr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at 2 areas. 14 families 58 kinds were investigated. Vegetation were variou at Dea-Ho conservation polt and Seok-Mun National Industrial Area which are maintaining naturally. Vegetation were simple at Hong-Bo and Dongjin and MinKyong river areas which effected sea water. Common species that were investigated at 9 sites were Suaeda asparagoides, Aster tripolium, Phragmites australis, Suaeda maritima, Suaeda japonica, Carex scabrifolis. As soil desalinization progressing, soil classified at first saline-soidc soil, the nest saline soil and then normal soil. Chenopodiaceae revealed at about 30 dS/m of soil ECe and existed to 10 dS/m of soil ECe. At about 20 dS/m of soil ECe. Aster tripolium, Calamagrostis epigeios, and Sonchus brachyotus revealed and then non-halophytes and common plants at inland revealed at low soil ECe of about 10 dS/m. However it was not to progress vegetation sucdession and soil desalinization at the same time, owing to input of seeds or plants ect from out-ecosystem. So for promotion of vegetation at newly reclaimed tidal land, we proposed that it was very effective to plant artificially halophytes or suitable species through soil test.

토양 제염이 토양 화학성 변화와 식물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간척농경지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조제 체절전후 자연식생이 존재하는 9개 지점에서 식생분포 특징을 조사하고 2개 지점에 대해서는 토양과 식생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9개 조사지점에서 11목, 14과, 46속, 49종, 8변종, 1품종등 총 58종류의 식생분포가 관찰되었고 자연상태를 잘 유지한 대호식생보전구와 석문 국가공단 예정 부지에서의 출현종수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해수를 유통시키고 있는 홍보지구나 만경강, 동진강 하구의 식생은 10여종정도로 단순하였다. 9개 조사지점에서 가장 빈도가 높게 출현한 종은 벼과, 명아주과, 국화과에 속하는 나문재(Suaeda asparagoides (Miq.) Makino), 갯개미취(Aster tripolium L.), 갈대(Phragmites australis Trin.), 해홍나물(Suaeda maritima Dum.), 칠면초(Suaeda japonica Dum.), 천일사초(Carex scabrifolia Steud.)등이었다. 통양의 제염에 따라 염류-나트륨성(Saline-내??) 토양에서 염류(Saline) 토양으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일반 토양으로 변화하였다. 명아주과의 식생은 염도(ECe)가 30 dS/m 전후인 토양에서 출현하여 10 dS/m까지 지속되고, 20 dS/m 전후에서 갯개미취, 산조풀, 사데풀 등이 출현하였으며 10 dS/m 이하에서는 일반육상에서 볼 수 있는 식생종들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토양제염과 동시에 식생의 천이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서 종자 등의 식물이 유입될 확률이 있어야하므로, 초기간척지의 식생을 조기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토양검정을 통해 적정 염도에서 정착할 수 있는 식생의 인공식재 내지 종자 산파를 통해 촉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25\;{\pm}\;0.32$분, 제 2 군이 $3.05\;{\pm}\;0.34$분으로 두 실험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근관 충전재의 제거 후 근관 벽의 청결도는 두 실험 군 모두에서 치관부 1/3이 중간이나 치근단 1/3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새로운 근관 충전 재료인 Resilon이 기존의 가타퍼챠와 실러를 사용한 충전과 비슷한 정도의 제거 용이성 및 근관 벽의 청결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0 일 ), $1.1{\sim}5.6$ ( 평균: 2.9, 표준 편차: 0.8) 이었다. 단변 수 분석상 FRS, PVC, 체외 순환시간 (CPB) 및 술 후 12 시간째의 중심 정맥압 등이 LIT와 연관되었으나, 다변수 분석상 PVC (p=0.0018) 및 CPB (p=0.0024)만이 독립적으로 LIT를 예측하였다. 두 변수는 LIT 변이에 대하여 21.7%의 설명력이 있었으며, 두 변수를 이용한 회귀 분석식은 다음과 같았다. LIT=2.74-0.0158 PVC+0.00658 CPB. 결론: 새로이 정의된 폐혈관 유순도는 심장 외 도관을 이용한 단심실 교정 후의 흉관 거치 기간을 결정하는 중요한 예측 인자로서, 수술 전 위험 인자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그것의 분별도 하지 못하는 세상 사람들을 완농(玩弄)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진환(塵 )에서 초연(超然)했던 것이다. 천석고황(泉石膏 )으로 태평성대(太平聖代)에 사시가흥(四時佳興)을 한가지로 하는 퇴계와는 그래서 다르다. 퇴계는 순풍(淳風)과 어진 인성(人性)을 긍정하였기에 만족하고. '고인(古人)의 녀던 길'을 끊임없이 행(行)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완세불공(玩世不恭)'과 '온유돈후(溫柔敦厚)'가 판별되어진다. 장육당이 '완세불공(玩世不恭)'했다면, 그것은 자취(自取)한 것이요.

Keywords

References

  1. Im, B. S., http://www.me.go.kr/hongbo/20010026/lecture9.html
  2. Choi, B. G. (1998) A study on the use of halophytes on the reclaimed land in landscape architecture, Korean J. Landscape Architecture 26(3), 278-287
  3. Kang, B. H. and Shin, S. I. (1998) Screening of saline tolerant plants and developmnt of biological monitoring technique saline Stress, Korean J. Environ. Agric. 17(1), 26-33
  4.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2002) Method of Soil and plant analysis, sangrocksa, p.103-134
  5. Min B. M. (1986) Changes of soil and vegetation in coastal reclaimed lands, West Coast of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t. of Botany, Seoul, p.109-111
  6. 신공항 건설 공단 (1998) 인천국제공항 식재기반 조성 학술 용역 보고서, p.184
  7. Lee S. H., An Y., Yoo S. H, and Lee, S. M. (2000) Changes in early stage vegetation succession as affected by desalinization process in Dae-Ho reclaimed land, Korean J. Environ. Agric. 19(4), 364-369
  8. Rural Development Corporation (1996) Tidal land Reclamation Of Korea, Dae-sung Publication, p.315

Cited by

  1. Transitional Patterns of Vegetation in Reclaimed Land Appli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vol.60, pp.3, 2015, https://doi.org/10.7740/kjcs.2015.60.3.381
  2. Mapping of Vegetation Using Multi-Temporal Downscaled Satellite Images of a Reclaimed Area in Saemangeum, Republic of Korea vol.9, pp.3, 2017, https://doi.org/10.3390/rs9030272
  3. Growth and solute pattern of Suaeda maritima and Suaeda asparagoides in an abandoned salt field vol.35, pp.4, 2012, https://doi.org/10.5141/JEFB.2012.042
  4. Assessment of Dredged Soils and Sediments Properties in the Lower Reach of Nakdong River and Coastal Areas of Busan for Beneficial Uses vol.18, pp.1, 2013, https://doi.org/10.7857/JSGE.2013.18.1.057
  5. Effects of Application of Solidified Sewage Sludge on the Growth of Bioenergy Crops in Reclaimed Land vol.56, pp.4, 2011, https://doi.org/10.7740/kjcs.2011.56.4.299
  6. Solute patterns of four halophytic plant species at Suncheon Bay in Korea vol.37, pp.3, 2014, https://doi.org/10.5141/ecoenv.2014.016
  7. Classification of halophyte community growth and its relationship with soil chemical properties in Saemanguem reclaimed land vol.55, pp.5, 2012, https://doi.org/10.1007/s13765-012-2074-9
  8. Change of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in Korea vol.2, pp.3, 2013, https://doi.org/10.5660/WTS.2013.2.3.260
  9. Classification of Soil Desalination Areas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vol.46, pp.6, 2013, https://doi.org/10.7745/KJSSF.2013.46.6.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