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able weight

검색결과 824건 처리시간 0.028초

작잠(Antheraea pernyi) arylphorin의 항체를 이용한 수종의 나비목 야생 견사곤충들 간의 면역학적 비교 (Comparison of Arylphorin of Antheraea pernyi with Those of Several Lepidopteran Wild Silkmoths by Western Blot Analysis.)

  • 박남숙;김미애;박현철;김근기;진병래;이상몽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09-413
    • /
    • 2008
  • 작잠 arylphorin 항 혈청을 사용하여 천잠, 가중나무 산누에 나방 및 옥색긴꼬리 산누에나방의 5령 유충의 혈림프, 피부, 지방체, 중장 및 실샘에 대한 종(species) 공통항원의 존재 여부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4개종은 혈림프, 피부, 지방체, 중장 실샘 등 종별 조직에 따라 다소간 검출유무의 차이는 있으나 작잠 arylphorin 항 혈청에 대한 공통항원의 존재는 4종의 야생곤충 모두에서 확인되었으며, 특히 혈림프에서 가장 강력한 항원-항체 반응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 pernyi arylphorin은 천잠 등 4개의 공시곤충들의 공통 조상유전자로부터 유래한 단백질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태권도 찍어차기의 무릎편 유형과 구부린 유형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Kinematic analysis of skill between flexed and extended type of knee during Jigeo-Cha-Gi in Taekwon-Do)

  • 김동규;류재청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42
    • /
    • 2005
  •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kinematic difference between flexed and extended type of knee during Jigeo-Cha-Gi in Taekwon-Do. For this subjects participated were consisted of weights of fin (1), bantam (1) and welter class(1) of male 3 national representative level skilled in two type(flexed and extended type) of Jigeo-Cha-Gi. 3D cinematography analysis was performed for motion analysis and Kwon 3D ver. 3.1) was used for 3D coordinates & analysis variables calculation. In Temporal variab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ll phases & total elapsed time between flexed and extended type, but flexed type was delayed more 0.016 sec than extended type. In displacement of CO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p<.05 showing longer mean 6.13 cm in case of flexed type than extended type in displacement of COG during all phase and to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p<.01 showing longer mean 4.4 cm in case of flexed type than extended type in displacement of COG in follow through phase. In velocity of CO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p<.001 showing higher mean 15.53cm/s in case of flexed type than extended type in velocity of COG(Y direction) during targeting phase and peak velocity(Y) was more fast 8.74 cm/s in extended type than flexed type. In velocity of leading leg in forward direction(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p<.05 showing higher thigh mean value in case of flexed type than extended type but showing higher foot mean value in extended type at level of p<.001 than flexed type in velocity of COG(Y direction). In velocity of leading leg in vertical direction(Z)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cond & third phase in case of vertical velocity level, but momentum transferred efficiently form proximal to distal endpoint. In front-back & right-left orientation angle of trunk there was possibility of more stable Jigeo-Cha-Gi in extended than flexed type by decreasing in right-left orientation angle of trunk. In relative angle of lower leg(hip, knee, ank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p<.001 showing longer mean 32.74 deg. in case of flexed type than extended type in hip joint during the second phase but maintained insufficient extended knee of mean 168 deg. in targeting phase.

롤러 신발과 조깅 신발 착용 후 보행 시 하지 분절의 운동학적 특성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Wearing Roller Shoes and Jogging Shoes on Kinematic Characteristics in the Lower Extremity during Walking)

  • 장재익;채원식;강년주;윤창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99-40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롤러 신발과 조깅 신발 착용 후 보행 시 운동학적 변인에 대하여 비교 분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하지 근골격계에 이상이 없는 중학생 8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여 3차원 동작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활보장, 인체무게 중심변위 및 선속도, 관절각 및 각속도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롤러 집단의 경우 지지 시 발목 관절각이 증가하고 무릎각의 각속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롤러 신발의 경우 장착된 휠에 의해 지지 시 적절한 배측굴곡이 이루지지 못하고,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무릎의 과도한 굴곡이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이러한 운동학적 변인의 차이는 롤러 신발 보행 시 정상 패턴과는 다른 불안정한 보행 동작을 유발시키고 이러한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하지 근골격계에 변화를 유발시켜 부상 유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보다 안정성 높은 롤러 신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변화에 대한 뇌성마비아동(경직성 양마비)의 손 기능 차이 비교와 제변수와의 상관관계의 연구 (The Effect of Positioning on the Hand Function and Correlation of Variabl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Spastic Diplegia))

  • 정민예;구애련;권혁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44-58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valuate various hand functions in the most common position (chair sitting, standing, floor sitting) used by cerebral palsied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The results, analysed statistically, could be useful in suggesting treatment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of hand function in such patient. For this study, 27 children mild or moderate spastic diplegia were chosen. They were patients of the Rehabilitation Hospital,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Both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s were tested by the Box and Block Test. Bilateral hand function was tested by bead striding and card sorting activities.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un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and MANOVA.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hair sitting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ominant hand scores in the Bloc and Box Test and chronological age, gestation period, and time of treatment initiation. In bilateral hand function, card sorting score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ime of treatment initiation. 2) In standing,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ominant hand scores in the Block and Box Test and time of treatment initiation. 3) In floor sitting,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ominance hand scores in the Block and Box Test and the tine of treatment initiation. Bead stringing, a bilateral hand activity, correlated positively with gestation period and birth weight but negatively with the postnatal incubation period. 4) That score of children who walke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of the three postures. 5) Highest test scores in children who could nat walk were in the Box and Block Test for nondominant hand in bead stringing for bilateral hand function. There scores occurred with the children in thee chair sitting posture. The results showed that, in order to improve hand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well supported upright trunk posture with variations allowed for relevance to the chosen position of thee improvements hand activity being performed.

  • PDF

변형 Scarf 및 Akin 절골술 후 무지외반변형 재발의 방사선학적 위험인자 연구 (Radiographic Risk Factors of Recurrent Hallux Valgus Deformity after Modified Scarf and Akin Osteotomy)

  • 서재완;김성현;박현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59-16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urrence rate after performing hallux valgus correction using scarf and Akin osteotomy, and also identified the correlation and cut-off values of both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adiographic parameters as risk factors for the recurrence of hallux valgu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87 hallux valgus patients (122 feet) who received scarf and Akin osteotomy from January 2007 to August 2015.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s. The radiological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hallux valgus angle (HVA), intermetatarsal angle (IMA), and distal metatarsal articular angle (DMAA) as determined on the serial weight bearing radiographs. Recurrence was defined as more than 20 degrees of HVA noted on the final follow-up radiograph. Those radi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ce were evaluated and analyzed. Results: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20.6 months (12.0~46.5 months) and the mean age was 44 years (13~80 years). The VAS and AOFAS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up (7.0 to 2.0, p<0.001; 78.0 to 92.0, p<0.001; respectively). Significant corrections in the HVA, IMA, and DMAA were obtained (p<0.001). Eleven (9.0%: 11/122) cases experienced recurrent hallux valgus deformity. The postoperative IMA, DMAA and HVA showed significant moderate to strong correlation with HVA at the final follow-up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0.44, 0.70, and 0.88, respectively; p<0.001). Postoperative HVA>16.7 degrees, postoperative DMAA>13.9 degrees, and postoperative IMA>8.2 degre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adiological recurrence at the last follow-up, and the odds ratio of each variable was high in order. Conclusion: Our radiographic results indicated that postoperative HVA>16.7 degrees, postoperative DMAA>13.9 degrees, and postoperative IMA>8.2 degrees can be risk factors for hallux valgus recurrence. These risk factors may be helpful for modifying surgical procedures and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hallux valgus.

기둥-보 휨강도비와 단위하중법을 이용한 철골모멘트골조의 강성설계기법 (Drift Design Method of Steel Moment Frames by using Column-Beam Strength Ratios and Unit-Load Method)

  • 오병관;박효선;최세운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563-56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철골모멘트골조의 초기 강성과 연성을 동시에 조절하기 위해 기둥-보 휨강도비를 고려한 재분배 기법이 제시된다. 제시되는 기법은 총 구조물량과 기둥-보 휨강도비에 대한 제약조건을 만족시키면서 구조물의 최상층의 변위를 최소화한다. 고려된 설계변수는 구조부재의 단면적을 사용하며, 정식화된 문제로부터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 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SQP) 기법을 사용한다. 최상층의 횡변위에 대한 각 부재의 변위기여도를 단위하중법을 통해 구하고, 이를 최상층의 횡변위가 감소하도록 각 부재의 단면을 재설계한다. 각 부재의 변위기여도를 이용하여 부재의 단면을 재설계하는 과정은 구조물의 초기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동시에, 제시된 기법은 기둥-보 휨강도비를 제약함으로써 구조물의 연성을 조절하도록 한다. 제시된 최적변위설계기법은 철골골조 예제에 적용하여 적용성을 검증한다. 적용한 결과 제시된 기법을 통해 구조물의 초기강성과 연성능력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청소년의 정신건강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on Obesity among Korean Adolescents)

  • 김관옥;전윤희;김윤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67-476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의 정신건강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2013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12세에서 18세까지의 70,354명 청소년(남학생 35,575명, 여학생 34,779명)을 대상으로 한 2013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변수는 연령, 가정의 경제상태, 학업성적, 건강상태, 행복감, 스트레스, 수면충족, 우울감, 자살생각을 사용하였고, 자료는 t-test, chi square test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한국 청소년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변수는 연령(p<0.001), 가정의 경제상태(p<0.001), 학업성적(p<0.001), 건강상태(p<0.001)였으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건강변수는 여학생의 자살생각(p<0.05)이었다. 청소년 비만 프로그램 운영 시 여학생의 자살생각 경험은 비만 가능성을 예측하는 정보로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며, 연령에 맞는 비만 교육과 성별 및 경제 상태를 고려한 비만 지도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전남 장성지방 삼나무 및 편백 인공림의 물질 생산량에 관하여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Plantation in Changsong District, Chonnam)

  • 김춘식;이정석;조경진
    • 임산에너지
    • /
    • 제7권1호
    • /
    • pp.1-10
    • /
    • 1987
  •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대표적 조림수종인 삼나무 20년생과 편백 25년생을 대상으로 $400m^2(20m{\times}20m)$의 조사구를 설정하고, 생산구조와 물질생산량을 조사하였다. 각 조사구로부터는 직경급별로 안배한 각 수종별 9주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1m의 계층으로 절단하고 줄기(Ws), 가지(Wb), 잎(Wl)부위로 나누어 생산량을 측정한 후 건조량을 계산하였다. 엽에 대해서는 소지로부터 엽을 분리하기가 어려우므로 소지의 양을 포함하여 엽량으로 하였다. 생산구조에 있어서 엽은 두 수종 모두 6.2m 부위에서부터 시작되었고 최대엽량부위는 수관의 2/3 지점으로서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현존량은 삼나무림 108.75ton/ha, 편백림 112.56ton/ha로 추정되었다. 현존량구성비는 삼나무림에서 줄기, 잎, 가지, 편백림에서는 줄기, 가지, 잎 순으로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순생산량은 삼나무림 13.32ton/ha/yr로 추정되었으며, 구성비는 줄기, 잎, 가지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생산능률면에서 순동화율을 삼나무림 1.10kg/kg/yr, 편백림 1.21kg/kg/yr, 건재생산능률은 0.71kg/kg/yr, 0.75kg/kg/yr, 현존량축적률은 삼나무림 8.61kg/kg/yr, 편백림 9.63kg/kg/yr로 각각 나타났다.

  • PDF

기온 및 강수량의 시공간 변화예측 및 변이성 (Spatio-tempers Change Prediction and Variability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 이민아;이우균;송철철;이준학;최현아;김태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267-278
    • /
    • 2007
  • 국제사회는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현상의 징후가 발생함에 따라 이의 영향 예측을 위해 많은 모델들을 개발 및 적용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분야의 기후 영향모델 활용이 증가하면서 모델의 입력자료 중 특히 기후자료의 구축 방법 및 한반도 기후의 특성 파악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간을 위하여 공간통계학방법 중 IDSW(Inverse Distance Squared Weighting:거리자승역산가중)를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미관측지점의 값을 추정하기 위하여 주변 관측지점들을 고려하며, 그 영향은 거리에 반비례함을 반영한다. 여기서 주변 관측지점 선정시 반경 100km내의 가장 인접한 순으로 최대 3개의 관측지점을 선택하게 제약을 두었다. 그 결과 한국의 기온과 강수량 모두 과거 30년 동안에 연평균 약 $0.4^{\circ}C$, 412mm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에도 2007년에 비해 2100년의 기온이 $3.96^{\circ}C$, 강수량이 319mm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이성의 특성은 과거 30년 동안 기온의 경우 강원도 일부지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강수량의 경우 남부지역이 높게 나타났다. 변화 경향은 기온의 경우 강원도 지역이 변이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수량의 경우 남동부부지역이 변이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래 30년간의 변이성 분석결과 기온은 중서부 지역에서, 강수량은 동부지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변화경향은 기온의 경우 남서부로 갈수록 변이의 정도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강수량의 경우 중서부와 남부 일부가 변이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곤충유래 항균 펩티드의 의약학적 적용 (Pharmaco-medical Applic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Derived from Insect)

  • 이준하;김인우;김미애;윤은영;황재삼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37-748
    • /
    • 2016
  • 현재까지 곤충 항균 펩티드는 1980년에 세크로피아나방(Hyalophora cecropia) 번데기의 혈림프로부터 세크로핀(cecropin)이 처음으로 정제된 이후로 150개 이상의 펩티드가 분리되어 특성들이 보고되어 왔다. 그러므로 곤충은 항균 펩티드 선발을 위한 좋은 재료로서 고려되어 왔다. 곤충 항균 펩티드는 분자량이 작으며 양전하를 띠고 다양한 길이와 서열 및 구조를 갖는 양친매성의 특징을 갖는다. 곤충 항균 펩티드는 박테리아, 진균, 기생충, 그리고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들의 침입에 대항하여 곤충의 선천성 면역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대부분의 곤충 항균 펩티드들은 상처가 나거나 면역화 시 지방체와 다른 특정 조직들에서 유도 합성된다. 이어서 그 항균 펩티드들은 미생물들에 대항하여 작용하기 위해 혈림프로 분비되어 나온다. 이들 펩티드들은 항암활성을 포함하여 다양한 미생물들에 대해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곤충 항균 펩티드는 구조 및 서열상의 특징들에 기초하여 크게 4개의 패밀리로 나누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α-나선형 펩티드, 시스테인-풍부 펩티드, 프롤린-풍부 펩티드, 그리고 글리신-풍부 펩티드/단백질이 그것이다. 예를 들면, 세크로핀, 곤충 디펜신(defensin), 프롤린-풍부 펩티드, 그리고 아타신(attacin)이 일반적인 곤충 항균 펩티드들인데, 글로베린(gloverin)과 모리신(moricin)은 나비목 종들에서만 확인되어 왔다. 본 총설에서는 곤충의 항균 펩티드들에 초점을 맞추어 곤충 항균 펩티드들의 적용 가능성 및 방향과 함께 현재의 지식들과 최근의 진전된 사항들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