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ncomycin resistance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2초

원유시료 중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분포 및 내성 유전자 특성 분석 (Prevalence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Raw Milk Samples in Gyeonggi-do, Korea)

  • 강소원;송영천;최성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3-227
    • /
    • 2014
  • 원유시료에서 분리한 methicillin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분표율과 내성유전자의 분석을 분자수준에서의 실시하였다. 총 698종의 원유시료에서 286개의 포도알균속 세균을 Staphylococcus Medium 110을 이용하여 분리 후 Vitek 2 system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94개의 황색포도알균을 확인하였다. 94개의 황색포도알균 중 총 7개의 균에서 methicillin 내성 mecA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로 확인된 7 균주에 대해 수종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시험,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SCCmec) typing, 및 병독소유전자인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유전자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7종의 mecA 양성 MRSA 모두 ampicillin과 oxacillin에 내성이었으며 teicoplanin, vancomycin 및 ciprofloxacin에는 모두 감수성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SCCmec typing결과 7균 중 1균주는 SCCmec type II로 확인되었고 6균주는 SCCmec type IV로 확인되었으며 병독소 유전자인 pvl유전자는 검출되지 않았다.

소아의 근골격계 감염에서 지역사회 관련 메치실린 내성 황색 포도알균의 증가: 2000년 9월-2012년 8월간의 단일기관 연구 (Increasing Rates of Community 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Children with Muscular-Skeletal Infections in Korea: A Single Center Experience from 2000 to 2012)

  • 박재홍;이택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2호
    • /
    • pp.63-70
    • /
    • 2013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CA-MRSA로 인한 소아의 세균성 근골격계 감염의 임상양상을 연구하기로 하였다. 방 법 : 2000년 9월부터 2012년 8월까지 12년간 분당 차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의 환아 중 혈액과 관절액, 조직이나 고름의 세균 배양검사에서 S. aureus가 동정된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수는 총 31례였으며 중간값은 7세(최소 17일, 최대 18세)이다. 화농성 관절염으로 진단된 경우는 11례(35.5%), 골수염은 16례(51.6%), 화농성 관절염과 골수염이 병발된 경우는 5례(16.1%)였다. 환아의 혈액이나 관절액, 조직이나 고름 등에서 동정된 S. aureus 31례 중 MSSA는 25례(80.6%), MRSA는 6례(19.4%)였다. 검출된 균주 중 다제내성균은 관찰되지 않았다. MRSA가 배양되었던 6례는 모두 2006년 이후 발생하였다. 모든 증례에서 항생제가 투여되었으며 항생제 투여 기간은 $26.4{\pm}12.7$일이었고, 첫 항생제로 반코마이신을 동반 사용한 경우는 4례(12.9%)였으며 10례(32.3%)에서 최종 항생제로 반코마이신이 투여되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12년간 세균성 근골격계 감염에서 MRSA의 발생은 연구기간 후반에 편중되었다.

  • PDF

Lactobacillus plantarum KI69의 생리적 특성 및 항당뇨 효과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diabetic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KI69)

  • 김슬기;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223-236
    • /
    • 2019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비만 억제능력이 있는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odified MRS 분별배지를 사용하여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를 대상으로 각각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와 단쇄지방산 생산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한 결과, KI69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KI69 균주는 α-amylase억제활성 91.17±2.23%, α-glucosidase 억제활성 98.71±4.23%, 단쇄지방산인 프로피온산, 에세트산, 브티르산이 MRS broth에서 각각 8.78±1.12 ppm, 1.34±0.07%(w/v), 0.876±0.003 g/kg이 나타났으며, 동정결과 L. plantarum으로 판명되었고, L. plantarum KI69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KI69는 답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내었고, 효소활성은 β-galactosidase, β-glucosidase와 N-acetyl-β-glucosaminidase에 대해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vancomycin에 내성이 있는 반면 penicillin-G와rifampicin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cous aureus에 대해 각각 15.44%, 50.79%, 58.62%와 37.85%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 부착성은 대조구인 L. rhamnosus GG보다 우수하였다.

생선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에 의한 히스타민 생산균의 제어 (Control of histamine-forming bacteria b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ish intestine)

  • 임은서;이남걸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52-3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생선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과 아민 산화효소(diamine oxidase, DAO) 및 박테리오신 생산을 통한 히스타민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조기, 가자미, 명태 및 우럭 내장으로부터 분리된 총 97종의 유산균 중에서 CIL08, CIL16, FIL20, FIL31, PIL45, PIL49, PIL52 및 RIL60 균주는 인공 소화액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HT-29 상피세포에 대해서도 높은 부착력을 보였으며, 항생제(amoxicillin, ampicillin, erythromycin, penicillin G, streptomycin, tetracycline 및 vancomycin)에 대한 내성도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이들 균주들은 히스티딘이 함유된 탈카르복시화 액체배지 내에서 히스타민을 생산하지 않았다. 특히 DAO를 생산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CIL08, FIL20, PIL52 및 RIL60 등의 4균주는 히스타민 분해능이 유의하게 높았다. FIL20, FIL31 및 PIL52 유산균이 생산한 박테리오신에 의해선 Enterococcus aerogenes CIH05, Serratia marcescens CIH09, Enterococcus faecalis FIH11, Pediococcus halophilus FIH15, Lactobacillus sakei PIH16, Enterococcus faecium PIH19, Leuconostoc mesenteroides RIH25 혹은 Aeromonas hydrophilia RIH28의 증식과 히스타민 생성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생선 내장에서 분리된 히스타민 생성균과 히스타민 분해능 혹은 박테리오신 생산능을 가진 CIL08, FIL20, PIL52 및 RIL60 유산균과 혼합 배양에 의해 히스타민 축적량이 감소되었다. 히스타민 생성을 억제하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배양학적 특성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Pediococcus pentosaceus CIL08, Lactobacillus plantarum FIL20, Lactobacillus paracasei FIL31, Lactobacillus sakei PIL52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RIL60으로 동정되었다.

주요 임상 내성균에 대한 어성초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Houttuynia cordata Ethanol Extract against Major Clinical Resistant Microorganisms)

  • 홍승복;이천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40-146
    • /
    • 2015
  • 다제내성균의 증가는 사용할 항생제가 적거나 심지어 선택할 항생제가 없기 때문에 감염환자의 치료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천연 추출물이 내성세균에서 항균효과 및 상승효과를 보인다는 보고가 많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전통적 약초이다. 이에 저자들은 임상의 주요 내성균에 대한 어성초의 항균효과를 알아보고, 이들의 적절한 항균효과 측정방법을 평가하고자 한다. 우선 현재 가장 많은 문제를 야기하는 주요 내성균인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ium (VRE), carbe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CRAB) 각각 10 균주를 선택하여, CLSI 기준으로 디스크 확산법 및 미량액체배지희석법으로 감수성 시험을 하였다. CLSI 기준으로 시행한 디스크 확산법에서 $4,096{\mu}g/mL$에서 $30,000{\mu}g/mL$ 까지의 농도에서 모든 균의 억제대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액체배지 희석법에서는 MRSA, VRE, CRAB의 $MIC_{90}$이 각각 $4,096{\mu}g/mL$, $8,192{\mu}g/mL$, $4,096{\mu}g/mL$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어성초는 MRSA, VRE, CRAB 등 주요 임상 내성균에서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이며 천연물의 항균효과를 평가에 디스크 확산법보다 액체배지 희석법이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만약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균효과를 측정하려면 천연물에 대한 균 접종 농도의 변경 등 새로운 기준이 요구된다.

원유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zeae RMK354의 생리적 특성 및 ACE 억제능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CE 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zeae RMK354 Isolated from Raw Milk)

  • 임상동;김기성;도청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7-595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각 지역의 목장에서 수거한 원유에서 분리된 젖산균을 대상으로 10% 환원탈지유에 $37^{\circ}C$에서 pH 4.4에 도달할 때까지 배양한 다음 각각에서 얻어진 유청으로 ACE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88.6%인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정된 균은 Gram 양성, rod형태의 homo균이며, 당 발효실험과 16S rRNA 분석결과 Lactobacillus zeae로 판명되었고, Lactobacillus zeae RMK354로 명명하였다. 발효유에 적합한 starter인지 확인하기 위해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L. zeae RMK354는 배양온도 $40^{\circ}C$에서 빠른 생장을 보였고, pH4.3에 도달하는데 10시간이 소요되었다. 16종의 항생제 중 polymyxin B와 vancomycin에 대해 내성이 높았으며, 효소활성실험에서 esterase와 leucine arylamidase의 활성도가 높았다. 담즙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내성 실험결과 pH 2에서 큰 변화가 없음에 따라 내신성이 있었다. 항균력 시험에서는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억제력이 없었으나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60.0%의 항균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ACE 억제활성능이 우수한 기능성 발효유 제품의 스타터로 L. zeae RMK354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K6의 생리적 특성 및 비만억제효과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besity Effect of Lactobacillus plantarum K6 isolated from Kimchi)

  • 김슬기;임상동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21-231
    • /
    • 2017
  •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비만 억제능력이 있는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고, 이 균주의 생리적 특성을 규명하여 상업적으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Modified MRS 분별배지를 사용하여 노란색 집락을 형성하는 균주를 대상으로 각각 ${\alpha}-amylase$ inhibitory activity,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와 lipase inhibitory activity가 우수한 균주를 선발한 결과 K6 균주가 최종 선발되었다. K6 균주는 ${\alpha}-amylase$ 억제활성 $96.78{\pm}3.29%$,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 $92.55{\pm}9.62%$, lipase 억제활성 $85.17{\pm}0.79%$, 지방분화 억제활성 $27.4{\pm}1.4%$로 나타났으며, 동정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판명되었고, Lactobacillus plantarum K6으로 명명하였다. L. plantarum K6은 답즙산과 산성의 pH에서 모두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내었고, 효소활성은 전반적으로 낮았으나 arylamidase와 ${\beta}-galactosidase$에 대해 비교적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 실험 결과 vancomycin, ampicillin, polymyxin B에 내성이 있는 반면 erythromycin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cous aureus에 대해 각각 51.8%, 42.4%, 61.6%와 54.9%의 억제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민을 생성하지 않으며, 장부착성은 대조구인 L. rhamnosus GG보다 우수하였다.

계육에서 분리한 Listeria species 와 Staphylococcus aureus의 항생제 내성패턴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Listeria species and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oultry carcasses in Korea)

  • 허진;김준만;권남훈;박건택;임지연;정우경;홍순근;박용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17-224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Listeria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 A total of 17 (14.8%) L. monocytogenes, 13 (11.3%) L. innocua, 7 (7%) L. welshimeri, and 83 (72.2%) S. aureus were isolated from commercial poultry carcasse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during the period between 2001 and 2003.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of all Listeria strains isolated was performed by the disk agar diffusion method. Antibiotic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Amikacin (An), Ampicillin (Am), Cephalothin (Cf), Chloramphenicol (C), Ciprofloxacin (Cip), Erythromycin (E), Gentamicin (Gm), Imipenem (Ipm), Kanamycin (K), Minocycline (Mi), Neomycin (N), Norfloxacin (Nor), Ofloxacin (Ofx), Penicillin (P), Streptomycin (S), Tetracycline (Te), Tobramycin (Nn), Trimethoprim (Tmp), Trimethoprim/Sulfamethoxazloe (Sxt), and Vancomycin (Va).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S. aureus isolates was performed by the disk agar diffusion method. For the latter program, antibiotics used to the study were as follows; Cf, C, Cip, Clindamycin (Cc), E, Gm, Ipm, Nafcillin (Nf), Oxacillin (Ox), P, Te, Sxt, and Va. Of the 17 L. monocytogenes isolates, 94.1% were resistant to Te, 88.2% to Mi, 11.8% to Nor, 11.8% to S, 5.9% to Cip, and 5.9% to C. Of 13 L. innocua, 53.8% were resistant to Te, 23.1% to Mi, 23.1% to S, 7.7% to Cip, and 7.7% to Nor. Of 7 L. welshimeri, 57.1% were resistant to Te, and 14.3% to Am. Of 83 S. aureus, 100% were resistant to Te, 86.7% to Gm, 34.9% to P, 15.7% to Cip, 12% to Cc, 9.6% to E. Th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L. monocytogenes isolates were observed in Te Mi Cip (5.9%), Te Mi Nor (5.9%), Te Mi (76.5%), and Te Nor (5.9%). Multiple antibiotic resistance was also found in L. innocua isolates. Resistant to Te Mi S Cip Nor was 7.7%, Te Mi S (7.7%), Te Mi (7.7%), and was 7.7% to Te S.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for S. aureus isolats were demonstrated to Te Gm P Cip Cc E (6.0%), Te Gm Cip Cc E (3.6%), Te Gm P Cc (1.2%), Te Gm P (15.6%), Te Gm Cip (2.4%), Te P Cip (2.4%), Te Gm Cc (1.2%), Te Gm (56.6%), Te P (9.6%), and to Te Cip (1.2%).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high incidence of Lsteria spp. and S. aureus on poultry carcasses. The contaminated poultry carcasses may be a potential vehicle for foodborne infections due to multiple antimicrobial resistant organisms.

부산지역 중·고등학생 휴대전화에서 분리한 식중독균의 특성 연구 -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Students' Mobile Phones in Busan)

  • 박선희;박연경;황인영;박혜영;성경혜;조현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55-265
    • /
    • 2016
  • Objectives: Mobile phone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essential accessories in daily life. However, they may act as reservoir of infectious pathogens if they are used without hygienic practices in their handl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solate food-borne pathogens from mobile phones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patterns. Methods: A total of 146 mobile phones were collected from 83 middle- and 63 high-school students in Busan. The surfaces of the mobile phones were aseptically swabbed. Results: Among the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and Escherichia coli were detected in 26 (17.8%), 20 (13.7%) and four (2.7%) sampl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level, gender or phone type. None of four E. coli strains had pathogenic toxic genes. All of the B. cereus strains carried at least three different toxin genes among the nine enterotoxin and emetic toxin genes. Three out of 20 B. cereus strains (15%) possessed emetic toxin genes, which are rarely detected in food-poisoning cases in Korea. Among the 26 strains of S. aureus, the detection rate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 genes, toxic shock syndrome toxin (tsst) and factors essential for methicillin resistance (femA) were 84.6%, 7.7% and 100%, respectively. In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there was no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or vancomycin-resistant S. aureus (VRSA).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mobile phones in Busan were contaminated by food-borne pathogens which carried various toxic genes. Therefore, regular phone disinfection and hand hygiene is important in order to reduce cross-contamination.

Detec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Clostridioides (Clostridium) difficile in Meat Products

  • Muratoglu, Karlo;Akkaya, Esra;Hampikyan, Hamparsun;Bingol, Enver Baris;Cetin, Omer;Colak, Hila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78-587
    • /
    • 2020
  • Clostridioides (Clostridium) difficile is a Gram (+), anaerobic, spore forming, rod shaped bacterium that can produce tox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esence of C. difficile in meat products, to analyze the ribotype diversity by PCR and to evaluate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isolated strains. The organism was isolated in 22 out of 319 (6.9%) examined meat product samples and 9 out of 22 (40.9%) isolates were identified as RT027 and all isolates had the ability of toxin production. In terms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all isolates were susceptive to amoxicillin-clavulanic acid, tetracycline and vancomycin and 21 (95.4%) isolates to metronidazole. On the other hand, imipenem and cefotaxim resistance was observed in all.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comprehensive study conducted in Turkey deduced the presence of C. difficile in different meat products. Therefore, these products can be evaluated as a potential contamination source of C. difficile from animals to humans especially for elders, youngsters, long terms wide spectrum antibiotic used and immuno-suppressed individu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