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

검색결과 526건 처리시간 0.028초

아스팔트 포장 조건이 교면방수 시스템의 인장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phalt Pavement Conditions on Tensile Adhesive Strength of Waterproofing System on Concrete Bridge Deck)

  • 이병덕;박성기;김광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5-24
    • /
    • 2003
  • 방수시스템(WPS)의 성능은 재료 인자들의 복잡한 상호작용, 설계상세, 그리고 시공의 질에 따라 영향을 받고, 주로 인장접착강도(TAS)로 측정되는 교면과의 접착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교면방수재 8종의 WPS의 성능을 아스팔트 포장층 혼합물의 종류, 시공시 혼합물의 온도, 포장층의 두께, 반복주행시험에 따른 접착특성을 중심으로 인장접착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TAS 시험 후 계면에서의 탈리상태를 조사하였다. WPS에 대한 TAS 시험결과 SMA 혼합물이 밀입도 혼합물 보다 TAS가 크게 나타나 아스팔트 혼합물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났다. 시트식 방수재는 아스팔트 혼합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시공온도가 높은 것이 접착력이 더 크게 나타났으나 도막식에서는 방수재 계열별로 다소 차이가 있고 시트식과 같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층 두께에 따른 영향은 방수재 종류에 상관없이 대동소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주행시험에 따라서 시트식에서의 접착력은 하중 재하지점>하중재하 않은 곳>하중 재하지점 옆 부근의 순서로 나타났고, 도막식에서는 방수재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방수재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방수시스템 계면에서의 탈리상태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께묵뿌리의 화학성분과 건조방법에 따른 변화 (Chemical Components of Hololeion maximowiczii Root and Change by Drying Methods)

  • 최동연;김영희;박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21-425
    • /
    • 1993
  • 께묵뿌리를 사용하여 건조처리별로 일반성분 당, 지방산, 아미노산 및 무기성분의 함량변화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반성분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라서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2. 유리당함량은 sucrose가 $27.7{\sim}29.3mg/g$로 가장 많았고 fructose는 $0.8{\sim}3.04mg$으로 적게 함유되었으며 glucose와 xylose은 흔적정도로 나타났다. 건조처리별로는 sucrose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고 fructose는 증숙건조에서 감소되었다. 3. 지방산조성을 보면 9종이 동정되었으며 그중 linoleic acid가 $54.9{\sim}58.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palmitic, linolenic acid의 순이었으며 이들 3종류의 지방산함량이 총지방산의 $88{\sim}90%$를 차지하였다. 건조처리별로는 냉동건조구보다 열풍 및 증숙건조구에서 저비점지방산들이 약간 감소되었다. 4. 총아미노산의 조성을 보면 arginine이 $33.6{\sim}41.5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그 다음 Lys>Glu>Gly>Asp>Val>His의 순이었고 유리아미노산조성은 Arg>His>Lys>Asp>Ser>Glu>Ile의 순으로 함유되었다. 건조처리별로는 총아미노산중 glycine과 glutamic이 증숙건조에서 약간 감소할 뿐 전체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5. 무기성분에서는 Ca 함량이 $1927{\sim}2379ppm$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K $1159{\sim}1259ppm\;Mg\;760{\sim}777ppm$의 순으로 함유되었고 건조처리별로는 별다른 함량변화가 없었다.

  • PDF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Green and Ripened Pumpkin(Cucurbita moschata Duch.))

  • 조규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7-662
    • /
    • 1997
  •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지방산, 무기성분 조성등의 화학성분을 비교 조사한 결과, 호박은 성숙함에 따라서 성분이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숙호박 및 완숙호박의 과육중에는 당질 $70.95{\sim}70.65%$과 단백질이 $14.0{\sim}15.20%$ 많았고, 호박씨중에는 단백질 35.74%이 가장 많고, 다음은 지질 29.45%과 당질 28.39%이 많았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과육에서 sucrose, glucose, fructose, maltose, lactose 등의 유리당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유리당들은 sucrose와 fructose는 성장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glucose, maltose, lactos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maltose는 완숙호박에서만, 호박씨중에는 sucrose만이 확인되었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단백질중에는 15종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으며, 호박은 성장함에 따라 Thr, Ser, Gly, Ala, Val, Met, Ile, Leu, Phe, Lys등은 감소하였으나, Asp, Tyr, His, Arg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호박씨 중에는 Glu, Asp, Leu가 많았다. 지방산은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에 palmitic, linolenic, linoleic acid가 많았다. 호박은 성장함에 따라 palmitic acid의 함량은 유사하였으나, stearic, oleic acid는 감소하고, myristic, linoleic, linolenic acid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호박씨중의 지방산은 linoleic, palmitic, oleic acid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arachidic acid도 확인 되었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 호박씨중의 무기성분은 K가 가장 많았고, Ca, Mg, Na, Fe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호박은 성장함에 따라 Ca, Mg는 감소하는 한편 K, Na, Fe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어성초의 화학성분 및 항미생물 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 김근영;정동옥;정희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00-406
    • /
    • 1997
  • 어성초의 화학조성과 항미생물 활성을 검색하였다. 어성초의 화학조성을 분석한 결과 유리아미노산은 Asp, Glu, Gly, Arg, Ala, Pro, Val, Cys, Phe 등이 함유되었고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은 주로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로 구성되었으며 무기성분중에서는 K 함량이 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성초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각 fraction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검색한 결과 basic fraction을 제외한 acidic, neutral, phenolic fraction에서 항미생물 활성이 인정되었으며 neutral fraction>acidic fraction>phenolic fraction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사용 미생물중 Pseudomonas aeruginosa, Micrococcus luteus, Bacillus subtilis에 특히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Aspergillus parasiticus, Aspergillus flavus에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활성이 인정된 각 fraction에 대한 MIC값은 neutral fraction의 경우 Pseud. aeruginosa가 0.0075 g/mL 상당량으로 가장 낮았으며 그 밖의 균주에 대하여는 $0.025{\sim}0.75g/mL$상당량의 다양한 MIC 값을 나타냈다. Acidic fraction과 phenolic fraction은 $0.25{\sim}0.75g/mL$ 상당량으로 neutral fraction에 비해 높은 MIC 값을 나타냈다. MLC값은 neutral fraction의 경우 Pseud. aeruginosa가 0.1g/mL 상당량으로 가장 낮았고 그밖의 균주에 대하여는 $0.25{\sim}2.0g/mL$ 상당량의 MLC 값을 보였으며 acidic fraction과 phenolic fraction의 경우 사용 미생물에 대하여 3.0g/mL상당량까지 치사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포플러 연구현황과 전망 (The Status and Prospect of Poplar Research in Korea)

  • 구영본;여진기
    • 임산에너지
    • /
    • 제22권2호
    • /
    • pp.1-17
    • /
    • 2003
  • 포플러는 생장이 빠르고 세대가 짧아 임목육종의 모델 수종으로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수종보다 임목 육종성과가 많은 수종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신품종 포플러는 도입종으로 이태리포플러(p. eurmericana“I-214”,“I-476”), 이태리포플러 1, 2호(p. euramericana“Eco 28”, p. deltoides “Lux”), 교잡종으로 현사시 1, 2, 3, 4호(P. alba x p. glandulosa No. 1. 2. 3, 4), 양황철나무(P. nigra x P. maximowiczii), 수원포플러(P. koreana x P nigra var. italica) 등이 있으며, 신발육종으로 사시나무가 있다. 신품종으로 개발된 포플러류의 조림 실적은 지금까지 935,162 ha로 그 중 이태리포플러가 745,773ha, 현사시가 184,636 기타 신품종이 4,753ha가 조림되어 국토 녹화뿐만 아니라 농촌 경제에도 기여한 바 크다. 포플러와 관련되어 개발된 기술은 신품종 포플러의 적지판정, 교배가 불가능한 원연종간 교배, 무성증식법 등 수많은 기술을 개발 한 바 있다. 앞으로도 포플러는 용재수 및 가로수, 공원수 등 녹음수로서 뿐만 아니라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 축산폐수 등 각종 환경 오염물질 정화수로도 전망이 대단히 밝은 수종이다.

  • PDF

트리아졸로피리미딘계 유도체에 의한 보리 Acetolactate Synthase의 저해 (Inhibition of Barley Acetolactate Synthase by Triazolopyrimidine Derivative)

  • 김성호;남궁성건;신정휴;장수익;최정도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61-468
    • /
    • 1999
  • Acetolactate synthase (ALS)는 가지를 가진 필수아미노산 Val, Leu, Ile의 생합성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이다. ALS는 서로 구조적 유사성이 없는triazolopyrimidine, imidazolinone,sulfonylurea, 그리고 pyrimidyl-oxy-benzoate 제초제들의 공통적인 작용 표적이다. 보리로부터 부분 정제한 ALS를 이용하여 새로이 합성한 triazolopyrimidine sulfonamide 유도체들의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활성을 가진 유도체들의 $IC_{50}$ 값은 0.5nM∼8${\mu}M$ 범위였으며, 그 중에서 탁월한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은 TP1과TP2 유도체로 $IC_{50}$ 값은 각각 0.5 nM과 1.6 nM이였다. 이 저해제들은 기존의 상품화된 제초제인 Metosulam ($IC_{50}$;3.6 nM), Flumetsulam ($IC_{50}$;126 nM), 그리고 Cadre ($IC_{50};4 {\mu}M$)에 비해 보리 ALS에 대한 저해 활성이 보다 우수하였다. 보리 ALS에 대한 TP2의 저해 활성은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혼합형 저해 유형을 보였다. TP2와 imidazolinone 계열의 제초제인 Cadre, 그리고 되먹임(feedback) 저해제인 Leu에 대한 이중저해 (dual inhibition) 실험 결과 TP2와 Cadre의 경우는 평행한 반응속도론적 형태가 그러나 TP2와 Leu의 경우는 한 점에서 만나는 반응속도론적 헝태가 얻어졌다. 이는 TP2와 Cadre의 결합 부위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중복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Cys 잔기에 대한 화학적 변형은 TP2와 Cadre의 결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Leu의 결합에는 영향을 미쳤다.

  • PDF

효모 Acetolactate Synthase의 부분 정제와 일반 특성 연구 (Partial Purification and General Properties of Yeast Acetolactate Synthase)

  • 고은희;송수미;김선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59-465
    • /
    • 1995
  • 효모 acetolactate synthase를 분리 정제하여 기본적인 생화학적 성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효모를 0.5% glucose, 51 mM $K_2HPO_4$, 22 mM $KH_2PO_4$, 8mM$(NH_4)2SO_4,\;0.4\;m M\;MgSO_4$를 포함하는 최소 배지에서 37$^{\circ}C$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들을 원심분리법으로 수학해 0.1 mM TPP, 0.5 mM DTT, 1${\mu}M$ FAD와 1mM MgCl_2$를 포함하는 20 mM phosphate 완충용액(pH 7.0)에 현탁시켜 하룻밤 동안 방치하였다. 효모를 파쇄한 후 이것의 $10,000{\times}g$ 상충액을 모아 ammonium sulfate 분별 침전법과 DEAE-Se-phacel 그리고 leucine-agarose chromatography법을 이용하여 부분 정제하였다. 단백질의 농도, 시간, 온도, pH, 기질농도 등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측정한 결과 최적온도는 50$^{\circ}C$이고, pH 8.0∼8.5 사이에서 최고 값을 나타냈다. $K_m$$V_{max}$값은 각각 8.4 mM과 17.9 nmol/mg/min으로 얻어졌다. 효소의 안정성은 ethylene glycol과 glycerol의 존재하에서 크게 향상됨이 관찰되었다. Feedback inhibition 연구 결과 Val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고 Leu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Octapeptide (Alanine Angiotensin) 의 合成 (Synthesis of an Octapeptide (Alanine Angiotensin))

  • 박원길
    • 대한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37
    • /
    • 1961
  • We have shown that carboxy-peptidase destroys the biological activity of angiotensin octa-and deca-peptides. Since Proline occurs as the seventh amino acid from the amino end of the chain and since carboxypeptidase does not cleave proline from a peptid chain, it is evident that the heptapeptid H.asp-arg-val-tyr-ileu-his-pro.OH is formed by this hydrolysis. This peptide must then be biologically inactiv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phenyl group of the C-terminal amino acid was the necessary requirement for biological activity of the octapeptide, $ala^8$ angiotensin octapeptide(amino acids of peptides numbered from amino end) was synthesized. For this synthesis the four dipeptides were prepared: carbobenzoxy-L-prolyl-L-alanine-P-nitrobenzyl-ester, m.p. $134-135^{\circ}C,$ carbobenzoxy-L-isoleucyl-imidazole benzyl-L-histidine methyl ester, m.p. $114-116^{\circ}C,$ carbobenzoxy-L-valyl-L-tyrosine hydrazide and carbobenzoxy B-benzyl-L-aspartyl-nitro-L-arginine. The first three dipeptides were obtained as crystalline compounds. Imidazole-benzyl-L-histidine was used in the hope that it would block the histidine imidazole against side reactions in steps subsequent to the formation of the C-terminal tetrapeptide. Also, it was through that the imidazole benzylated peptides would be easier to crystallize. This, however, was not the case. The tetrapeptide, carbobenzoxy-L-isoleucyl-L-im, benzyl-histidyl, L-prolyl-L-alanine-nitrobenzyl ester was not obtained in a crystalline form. Neither could the mono-or dihydrobromide of the tetrapeptide free base be induced to crystallize. Carbobenzoxy-L-valyl-L-tyrosine azide was condensed with the tetrapeptide free base to yield the protected hexapeptide; carbobenzoxy-L-valyl-L-tyrosyl-L-isoleucyl-L-im, benzyl, histidyl-L-Prolyl-L-alanine-nitrobenzyl ester. Upon removal of the carbobenzoxy group with hydrogen bromide in acetic acid an amorphous free base hexapeptide ester was obtained. This compound gave the correct C, H, N analysis and contained the six amino acids in the correct ratio. The octapeptide was obtained by condensing this hexapeptide with carbobenzoxy-B-benzyl-L-aspartyl-nitro, L-arginine using the mixed anhydride method of condensation. This amorphous product was proven to be homogenous by chromatography in two solvent systems and upon hydrolysis yielded the eight amino acids in correct ratio. The five protecting groups were removed from the octapeptide by hydrogenolysis over palladium black catalyst. Biological assay of the free peptide indicated that it possessed less than 0.1 per cent of both pressor and oxytocic activity of the phenylalanine8 angiotensin. This suggests that the phenyl group is a point of attachment between angiotensin and its biological receptor site.

  • PDF

컨베이어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건조특성 - 하향 송풍방식 - (Drying Characteristics of Oak Mushroom Using Conveyer Far Infrared Dryer - Down Draft Air Flow Type -)

  • 연광석;김민호;한충수;조성찬;강태환;이해철;김창복;김진국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1호
    • /
    • pp.37-4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ew drying method far reducing the drying cost and time and to investigate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oak mushroom. A far infrared dryer of down draft air flow type used for this experiment can control the drying parameters, such as far infrared heater temperature and aeration velocity. The far infrared drying tests were performed at aeration velocities of 0.3 and 0.6m/s under the temperature of 90 and 100$^{\circ}C$ in for infrared heater,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of an heated air drying method used as a control in terms of properties representing the drying characteristics. such as shrinkage rate, color, energy consumption amino acid components, drying rate and moisture rati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rying rate of far infrared drying was faster than that of heated air drying. With high temperature of far infrared heater and slow aeration velocity, the far infrared drying of down draft air flow type was superior to the heated air drying. 2. Most of far infrared drying conditions required less energy consumption than heated air drying. 3. The shrinkage rates of heated air drying and far infrared drying were decreased by 17.0% and 18.2∼19.8%, respectively. 4. The difference of color on oak mushroom surface before and after drying can be represented as $\Delta$E. $\Delta$E values of far infrared drying and heated air drying were 2.39∼4.55 and 6.77, respectively. 5. The amounts of free amino acids were higher in the far infrared than in the heated air drying. In addition the amounts of Gln and Glu generally were increased and those of Ala, Leu, and Val were decreased in order.

수박과 멜론의 부위별 유리당 함량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Free Sugars in the Various Portions of Watermelon (Citrullus vuigaris L.) and Muskmelon (Cucumis meio var. reticulatus Naud.))

  • 손주용;반성철;홍성회;신정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200-205
    • /
    • 1996
  • 본 실험에서는 수박 (Citrullus vulgaris L.)과 멜론 (Cucumis melo val. reticulatus Naud.)에 있어서 서로 다른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리당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을 분리, 정량하기 위해서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였다. 수박과 멜론에 있어서 주로 존재하는 유리당들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등이며, 이 유리당들의 함량은 부위별로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부위별 유리당의 총함량은 stem end 부위에서의 함량보다 stylar end와 side 부위에서의 함량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박과 멜론에서 같은 양상이었다. 수박의 경우 전체 유리당 함량은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갈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멜론의 경우 종자를 포함하는 중심 부위를 제외한 가식 부위에서는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환원당과 비환원당의 비율[(fructose+glucose)/sucrose]은 수박의 경우 과피 부위에서 중간 부위로 갈수록 약간식 감소하였으나 중심 부위에서는 오히려 높았다. 멜론의 경우 가식 부위중 과피 부위에서 중간 부위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중심 부위와 중간 부위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수박에서는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갈수록 환원당과 비환원당 모두가 증가하였지만, 반면에 멜론에서는 환원당의 감소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