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disasters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2초

도시방재디자인의 유형과 리질리언스 특성 (Types and Resilience Characteristics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Design)

  • Pyo, Heejin;Kwack, Dongwha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9-72
    • /
    • 2017
  • 최근 기후변화, 도시화 등으로 도시의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재난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건축가 및 도시계획가에 의해 다양한 도시방재디자인이 실험되고 있고, 새로운 방재기법인 리질리언스 개념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건축가 및 도시계획가에 의해 제시된 도시방재디자인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도시방재디자인의 유형과 리질리언스 특성을 분석하였고, 더 나아가 지속가능한 도시방재디자인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주요 시설물 피해를 고려한 복합재난 피해 예측 시스템 방안 연구 (A study of a system for predicting damages of complex disasters considering the damage of major facilities)

  • 이병진;이병훈;오승희;이용태;김경석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8-25
    • /
    • 2017
  • 최근 재난이 대형화 및 복합화되고 있어 도시화 증가 및 기반시설 밀집화로 인해 경제적 피해가 심화되었다. 이러한 대형복합재난은 1차 단일 재난으로 인해 2차, 3차 재난이 동시다발적 연쇄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기존 재난관리 체계는 자연 사회재난간 이분법적 구분으로 적응력이 떨어진다. 복합재난의 원인은 산업구조의 변화에 기인한 거주환경의 급속한 도시화 진전으로 생활 환경속에서 위협요인이 다양하고, 예측불허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하여 자연재난 발생양상은 대형화 복합화되고 있으며, 과거와 달리 자연재난도 도시기능 마비와 같은 복합재난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 단일 요인에 의한 재난관리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재난을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포괄적인 개념에서 자연재난과 사회 재난을 통합한 복합재난 시스템 모델링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선제적 재난관리체계 기반 구축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 UIS-based System Development to Express the Damage History Information of Natural Disasters

  • Jeon, Tae-Gun;Hwang, Hyun-Suk;Kim, Chang-Soo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739-1747
    • /
    • 2010
  • The damage of natural disasters has occurred on huge scale more frequently than before. The damage caused by the disasters are summarized and are analyzed, and are managed as a very general type of documentation, not showing the position of previous damage records and related information such as weather, facilities of CCTV, hospitals, and gas station on the maps. Therefore, it needs to provide map-based searching systems considering damaged area as well as search key-words. This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search system based on the map to manage previous disaster records and related information each disaster using spatial databases. This system consists of three modules, which are databases to store disaster data, the SQL procedure-based search module to extract needed information from the constructed databases, and the map module to express the search results on the map.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provide framework of a system development for managing the disaster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year and disaster based on the maps an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framework in developing damage prediction and prevention systems for disasters in future.

정보 시스템 기술을 적용한 제설장비 운영 사례 분석 (Operation Case Analyses of Snow Removal Equipments using Information system Technologies)

  • 김희재;김근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54-164
    • /
    • 2018
  • 연구목적 :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여름철 태풍, 호우와 겨울철 대설, 한파 등의 기상재난이 증가하고 있다. 대설재난은 교통, 건물, 시설물 등에 다양한 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대설재난이 도시 안전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대설재난 대처는 미흡하고, 정책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대설재난이 발생할 때 신속한 도로 제설을 위하여 제설차량과 장비에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한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한다. 연구결과 : 도로 제설장비에 정보통신기술이 적용된 장비를 부착하면 긴급 상황시 제설차량과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여 인근지역의 도로 제설을 응원할 수 있다. 결론 : 본 연구의 사례 분석은 향후 지자체 제설장비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GIS를 이용한 도시홍수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 (Regional Safety Assesment Due to Urban Flood Using GIS)

  • 여창건;서근순;송재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8-77
    • /
    • 2011
  • 인구와 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은 대규모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엄청난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재난에 대한 사후처리뿐 아니라 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지역안전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나라별, 도시별 특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도시지역 특성을 반영한 표준화된 평가기법 및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역안전도 평가 모형은 위험 항목별 요인들을 조합한 위험도에 저감성을 고려한 것으로 홍수 위험에 미치는 3가지 요인과 저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요인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12개 인자를 선정한 후 GIS를 이용하여 인자별 평가결과의 가중 합을 통한 중첩으로 지역안전도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서울시에 대하여 모형의 시범적용을 수행하였다.

지역유형별 지역방재력에 관한 실태분석 - 강원도를 중심으로 - (Status of Local Disaster Prevention by Regional Types - Focusing on Gangwon-do -)

  • 김경남;권건주;백민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33-46
    • /
    • 2010
  • 강원도내 14개 시군을 3개 지역(도농통합형 지역, 도시형 지역, 농촌해안형 지역)으로 나누고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자율방재단을 표본집단으로 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도농통합형 지역과 도시형 지역이 농촌해안형 지역보다 재해위험인지능력, 피난유도능력, 자주피난 대비정도, 방재체제 정비정도, 감시경계능력, 정보전달능력 등 모든 분야에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정보전달능력은 3개 지역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자주피난 대비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정보전달능력의 경우 지방정부의 예 경보시스템 증설과 신규 설치로 인하여 재난정보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었지만 자주피난 대비 정도는 주민 스스로가 재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재난대비 교육과 홍보를 실시하고 더불어 사전에 안전한 대피장소 확보방안 등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도시형 생활주택신축공사의 추락재해 발생대비 모의훈련 실시 매뉴얼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a Manual for Simulation Training in Preparation for the Fall Disasters of Urban Residential Housing Construction Works and Apply)

  • 김성수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9-49
    • /
    • 2021
  • 고용노동부가 최근 발표한 '2020년 12월 말 산업재해 현황'에 따르면 산업별로 산업재해 대상이 되고 있다. 건설업별 사고사망자 수, 사고유형별 사고사망자 수, 사업장 규모별 사고사망자 수는 5~49명으로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추락사고가 대부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형 생활주택은 소규모 건설현장으로 낙상사고 발생 확률이 매우 높다. 재해 발생을 위한 가을 모의훈련은 공공부문의 대형 건설 발주기관 위주로 실시되며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주택건설업체가 실시하는 것은 국내 최초다. 본 연구는 도시생활주택의 정의, 시공특성, 안전관리 실태 등을 분석·제시하고 추락사고 발생시 긴급구호절차 매뉴얼을 개발·확산하여 사망을 최소화하였다.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수변 공간 계획에 관한 고찰 - 리질리언트 바이 디자인 공모전과 스펀지 시티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A Study on Waterfront Planning and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Resilience - Focusing on Resilient by Design Challenge and Sponge City)

  • 전진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62-571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물과 관련된 재난의 심각성과 이에 대한 도시 대응 전략마련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어 탄력적인 수변 공간 재구조화의 방향성 모색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도시 리질리언스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해외의 계획 및 설계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수변 공간 계획·설계에 적용 가능한 물리적·사회 시스템적 설계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리질리언트 바이 디자인 공모전의 제안들은 기존 계획안들과 비교하여, 더욱 체계적인 방식으로 탄력적인 사회 시스템 마련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전략들을 담고 있었으며, 스펀지 시티 프로젝트들에서는 탄력적 도시 수변 공간조성을 위한 다양한 물리적 설계전략과 기술들을 발견하였다. 결론: 교육적 기능의 제고와 주민참여의 확대, 가버넌스 시스템의 마련과 체계적인 지속가능한 계획 수립, 생태적 접근방식과 다양한 저영향개발기법 도입 등은 재난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내 수변 공간 계획·설계에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이다.

부산지역의 산사태 위험 연구 (A Study on Potential Risk of Landslide in Pusan)

  • 이수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23
    • /
    • 1999
  • Pusan's reputation as the nation's most crowded city in terms of population density is attributable to its huge mountains which allow only small portion of residential area to its large population. Rapid increase of urban population on limited amount of land had naturally led its developments efforts to mountainous area giving rise to the concern of potential landslide. This study on urban Pusan and "Landslide Hazard Map" thereof is prepared in an attempt to avoid disasters created by landslide and also as a reference for city planners. The Map shows that the area covering 38% to 43% of urban Pusan has the potential for landslide. The study also shows that various civil works involving massive land excavation had been more direct cause of landslides in Pusan than such traditional factors as locations, ground slopes, rock types and topography of the area concerned.

  • PDF

실효성 있는 재해예방형 도시계획을 위한 개선방향 고찰 (Study on Urban Policies toward the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 김슬예;김미은;김창현;이상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4-131
    • /
    • 2017
  •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urban policy for more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as abnormal natural disasters are becoming more frequent. Up to now, the urban plan for disaster prevention in Korea merely includes basic principles and necessities of measures as an early stage. Furthermore, there are difficulties to make specific programs because the legal system, technical instruments, and financial supports are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figures out problems in the current plan related to urban prevention after analyzing the legal system and practices. Resulting from case studies in developed countries, the study draw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follows: enhancing legally binding force; improving the procedures for the programs; establising technical infrastructure. It first suggests a way for the urban policy for disaster prevention by considering our local features comprehensively. It then defines the roles of central, local governemnts and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procedure for urban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building on the individual roles. This study concludes that an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institutional tools necessary to publish technical guideline and establish the system so that urban planners more easily access to disaster risk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