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recorded taxa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2초

Eight Taxa of Newly Recorded Species of Chlorophytes (Chlorophyceae and Trebouxiophyceae, Chlorophyta) in Korea

  • Kim, Mi Ran;Kim, Jee Hwan;Kim, Do Hyun;Lee, Ok Min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277-284
    • /
    • 2018
  • In 2017, the freshwater algae were collected from reservoirs, small ponds, soil, and rocks in Korea. Eight taxa of Chlorophyta (Chlorophyceae and Trebouxiophyceae) have been newly reported in Korea. The unrecorded indigenous species were Chlorolobion braunii, Coelastrum pseudomicroporum, Coelastrum reticulatum var. cubanum, Monoraphidium nanum, Tetrachlorella incerta, Ecdysichlamys obliqua, Gloeotila scopulina, and Stichococcus jenerensis.

한국 미기록 식물 : 빌레나무 (빌레나무과)와 꼬마냉이 (십자화과)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n flora : Maesa japonica (Thunb.) Moritzi & Zoll. [Maesaceae] and Cardamine tanakae Franch. & Sav. [Brassicaceae])

  • 문명옥;도재화;김철환;김찬수;김문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3-161
    • /
    • 2006
  • 제주도에서 한국 미기록과인 빌레나무과 (Maesaceae)의 빌레나무 (Maesa japonica)와 십자화과의 꼬마냉이 (Cardamine tanakae)가 채집되었다. 빌레나무과는 Maesa, 1 속으로 구성된 과로서 소화경에 한 쌍의 소포엽이 있으며, 가웅예가 없고, 준자방하위이며, 다수의 종자를 갖는 폐과인 점 등으로 자금우과와 앵초과 식물과 구별된다. 빌레나무는 엽신, 화관 및 소포엽의 형태, 엽연부의 거치의 유무, 화통과 화관열편의 길이의 비율, 과실 표면의 특성 및 색깔에 의해 각각 중국, 대만 및 일본에 분포하는 M. salicifolia와 M. montana var. formosana와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꼬마냉이는 경생엽의 소엽 수 및 정소엽의 크기, 한 화서에 붙는 꽃의 수, 자방 및 열매의 백색 연모의 유무의 특징에 의해 국내 고유종인 벌깨냉이 (C. glechomifolia)와 명백히 구분되었다.

A Study of Nine Newly Reported Species of the Order Chlorococcales (Chlorophyta) in Hongcheon River, Korea

  • Shin, Hyun-Joo;Song, Mi-Ae;Lee, Ok-Mi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315-325
    • /
    • 2013
  • Taxa in the order Chlorococcales inhabiting Hongcheon River, South Korea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from December 2011 to September 2012. As a result, nine taxa in the Order Chlorococcales including unrecorded genera Oocystidium and Heleococcus were newly added to the Korean flora: Oocystidium ovale, Heleococcus mucicola, Chlorella mirabilis, Monoraphidium convolutum var. pseudosabulosum, M. minutum, Raphidocelis mucosa, Eutetramorus tetrasporus, Scenedesmus flavescens, and S. multicauda.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ine taxa identified in this study mostly corresponded to already reported characteristics; however, M. minutum had a shorter cell length than the recorded description, Raphidocelis mucosa and S. flavescens were larger than previous descriptions, and Scenedesmus multicauda had larger spines than the cell itself. Eight of the nine taxa were found in planktonic samples, whereas Heleococcus mucicola was found in an epilithic sample. Therefore the Korean order Chlorococcales, including these newly reported ones, totals to 255 species.

Floristic study of Jang-do (Isl.) in Korea

  • Son, Hyun-Deok;Gwon, Soon-Gyo;Jang, Jeong-Won;Sun, Eun-Mi;Kim, Byeol-Ah;Im, Hyoung-Ta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227-244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flora of Jang-do (Isl.), an island of the Heuksan archipelago, located in Heuksan-myeon, Shinan-gun, Jeollanam-do and discussed the remarkable plants found there. Thirteen-field trips (total 27 days) were completed from May of 2004 to May of 2013.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distribution of 423 taxa in Jang-do (Isl.), comprising 104 families, 285 genera, 335 species, 78 varieties and 10 forms. There are a total of 95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s are as follows; four taxa of level V such as Impatiens furcillata, four taxa of level IV such as Hosta yingeri, 14 taxa of level III such as Ophioglossum vulgatum, 5 taxa of level II, and 58 taxa of level I. In addition 10 red data plants, 2 vulnerable species (VU) including Calanthe striata for. sieboldii, and 4 least concern species (LC) like Ardisia crenata, 2 not evaluated species (NE) such as Hosta yingeri, were found in the investigated area. An unrecorded species, Fragaria (Rosaceae), was found in a forest of Jang-do (Isl.)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 Unrecorded Genus Lambertella Höhn. (Rutstroemiaceae) and Its Unrecorded Species in Korea

  • Choi, Jae-Wook;Park, Eunsu;Eo, Ju-Kyeo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27-131
    • /
    • 2021
  • Lambertella corni-maris Höhn., an endophytic fungus that is an unrecorded species in Korea, was isolated and cultured from alpine coniferous Korean fir. The Lambertella sp. was found in Korean pine in Yeongwol-gun but no Lambertella spp. were recorded elsewhere in Korea. In this stud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barcode sequence of L. cornimaris were compared to its related species. We tried to explai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icrostructures, such as the conidia of L. corni-maris, compared to closely related taxa and present it.

거미고사리와 유연종과의 2 신교잡종과 1 미기록교잡종 (꼬리고사리과) (Two new and one unrecorded natural hybrids between Asplenium ruprechtii and related taxa (Aspleniaceae))

  • 이창숙;이강협;여성희;정경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62-368
    • /
    • 2015
  • 꼬리고사리속의 두 개의 신교잡종과 한 개의 미기록교잡종이 발견되었다. 이들 종들의 형태적 형질에 있어 부모종들의 중간형태를 보였다. 거미사철고사리($A.{\times}uiryeongse$)는 서울 북한산 우이령길에서 발견되었고 거미고사리와 사철고사리의 교잡에 의해 분화되었다. 다른 교잡종, 산꼬리고사리($A.{\times}montanus$)는 경기도 연천군, 성산에서 발견되었고, 거미고사리와 차꼬리고사리가 교잡에 의해 만들어지고 다시 꼬리고사리와의 중복교잡에 의해 형성되었다. 아울러 미기록 교잡종인 거미돌담고사리($A.{\times}kitazawae$)는 대구 도동에서 발견되었고, 거미고사리와 돌담고사리의 교잡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들 교잡종들은 부모종들과 같은 장소에서 자란다. 각 분류군의 형질을 분석해 교잡종임을 입증해 보였으며, 이들에 대한 기재, 도해 및 자생지의 서식 사진을 수록하였다.

제주도 범섬의 식물상 (The Flora of Beomseom Island, Jeju-do)

  • 김찬수;송관필;문명옥;송국만;김진;이은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85-301
    • /
    • 2005
  • 본 조사는 식물상을 밝힘으로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보존관리대책을 마련하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우리나라 최남단에 속하는 도서에 있어서 식물자원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관속식물은 65과 140속 162종 2변종으로 총 164분류군이었는데 그 중 양치식물은 6과 13속 15종, 나자식물은 1과 1속 1종, 피자식물에 있어서는 쌍자엽식물이 49과 97속 114종 1변종으로 115분류군, 단자엽식물은 10과 29속 32종 1변종으로 33분류군이 출현하여 계 59과 126속 146종 2변종으로 계 148종이었다. 미기록 종은 양치식물 중 점고사리, 쇠고비, 큰족제비고사리, 사다리고사리 등 4종, 단자엽식물 중 강아지풀, 줄, 송이고랭이, 꽃토란, 개구리밥, 부채마 등 6종, 쌍자엽식물 중 큰사방오리, 개모시풀, 애기싱아, 미국자리공, 갯장구채, 새머루, 누리장나무, 보리장나무. 진득찰 등 9종 총 16과 19속 19종이었다. 희귀식물로서는 국내 거문도와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박달목서가 자생하고 있으며, 바위연꽃의 자생지도 확인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총 20과 33속 34종 1변종으로 총 35분류군이었다.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날개카나리새풀(벼과) (An Unrecorded Alien Species in Korea: Phalaris paradoxa L. (Poaceae))

  • 류태복;이승은;김덕기;최동희;김남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2-55
    • /
    • 2018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에서 국내 벼과 미기록 외래식물인 날개카나리새풀(Phalaris paradoxa L.)을 발견하였다. 이 종은 유럽 지중해 원산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다. 한국에 분포하는 동속 식물인 갈풀, 카나리새풀, 애기카나리새풀, 흰줄갈풀에 비해 6개의 불임성 소수가 1개의 임성 소화를 감싸고, 포영상부에 치아상의 날개가 발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국명은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날개카나리새풀로 신칭하였고, 이에 대한 기재, 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한국산 미기록종을 포함한 팔장고말속식물 (녹조식물) 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Genus Staurastrum (Chlorophyta) Including Korean Unrecorded Species)

  • 문병렬;이옥민
    • 생태와환경
    • /
    • 제37권3호통권108호
    • /
    • pp.282-296
    • /
    • 2004
  • 팔장고말속 식물은 전세계적으로 1,000 분류군 이상이 보고되어 있으나 한국에서는 68종 42변종 9품종의 119분류군이 보고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 2월부터11월에 걸쳐 전국의 15개의 호소 및 저수지로부터 23분류군의 한국산 팔장고말속을 채집하였다. 이중 Staurastrum affine을 포함한 12분류군은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추가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한국산 팔장고말속 식물은 77종 45변종 9품종의 총 13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많은 종들은 국외에서 이미 보고된 개체들의 형질과 일치하였으나, S. affine을 포함한 8분류군들은 이미 보고된 개체들에 비하여 세포의 크기가 작았다. 또한 S. ceratesa등 7분류군은 반세포의 형태와 세포벽의 장식 등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냈다.

미기록 외래식물: 세열미국쥐손이(쥐손이풀과), 유럽패랭이(석죽과) (Two unrecorded alien plants of South Korea: Geranium dissectum L. (Geraniaceae) and Dianthus armeria L.)

  • 정수영;홍정기;박수현;양종철;윤석민;강영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72-277
    • /
    • 2015
  • 미기록 외래식물인 세열미국쥐손이(쥐손이풀과)와 유럽패랭이(석죽과) 2종을 각각 제주도 서귀포시와 경남 합천에서 발견했다. 세열미국쥐손이는 열매에 선모가 있으며, 종자에 뚜렷한 망상무늬가 있는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뚜렷하게 구분된다. 유럽패랭이는 꽃이 취산화서로 달리며, 꽃받침에 털이 있는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구별된다. 이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및 근연분류군과의 검색표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