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lora of Beomseom Island, Jeju-do

제주도 범섬의 식물상

  • Kim Chan-Soo (Warm-Temperate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ong Gwan-Pil (Dept. of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Moon Myong-Ok (Dept. of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Song Kuk-Man (Dept. of Life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in (Warm-Temperate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ee Eun-Ju (Warm-Temperate Forest Research Center,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찬수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
  • 송관필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 문명옥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 송국만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 김진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
  • 이은주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systematic and efficient measures for natur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Beomseom Island, and to clarify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plant resources in southernmost islands of Korean peninsul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164 taxa included 6 families, 13 genera, and 15 species in pteridophyta, 1 family, 1 genus, and 1 species in coniferophyta, and 59 families, 126 genera, 146 species, and 2 varieties in endospermae composed of 49 families, 97 genera, 114 species, and 1 variety in dicotyledonae and 10 families, 29 genera, 32 species, and 1 variety monocotyledonae. Unrecorded taxa of the flora of Beomseom Island were 19 taxa included 4 taxa of pteridophyta, i.e. Hypolepis punctata, Cyrtomium fortunei, Dryopteris pacifica, and Thelypteris granduligera, 6 taxa of monocotyledonae, i.e. Setaria viridis, Zizania latifolia, Scirpus triangulatus, Zantedeschia aethiopica, Spirodela polyrhiza, and Dioscorea nipponica, and 9 taxa of dicotyledonae, i.e. Alnus firma, Boehmeria Platanifolia, Aconogonum ajanense, Phytolacca americana, Melandryum oldhamianum var. roseum, Vitis flexuosa, Clerodendron trichotomum, Elaeagnus glabra, and Siegesbeckia glabrescens. The two rare species, Osmanthus insularis that distributed only Jeju-do and Geomoondo Island and Orostachys iwarenge that distributed only southern parts of Jeju-do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numbers of naturalized plants were 20 families, 33 genera, 34 species, and 1 variety.

본 조사는 식물상을 밝힘으로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보존관리대책을 마련하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우리나라 최남단에 속하는 도서에 있어서 식물자원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관속식물은 65과 140속 162종 2변종으로 총 164분류군이었는데 그 중 양치식물은 6과 13속 15종, 나자식물은 1과 1속 1종, 피자식물에 있어서는 쌍자엽식물이 49과 97속 114종 1변종으로 115분류군, 단자엽식물은 10과 29속 32종 1변종으로 33분류군이 출현하여 계 59과 126속 146종 2변종으로 계 148종이었다. 미기록 종은 양치식물 중 점고사리, 쇠고비, 큰족제비고사리, 사다리고사리 등 4종, 단자엽식물 중 강아지풀, 줄, 송이고랭이, 꽃토란, 개구리밥, 부채마 등 6종, 쌍자엽식물 중 큰사방오리, 개모시풀, 애기싱아, 미국자리공, 갯장구채, 새머루, 누리장나무, 보리장나무. 진득찰 등 9종 총 16과 19속 19종이었다. 희귀식물로서는 국내 거문도와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박달목서가 자생하고 있으며, 바위연꽃의 자생지도 확인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총 20과 33속 34종 1변종으로 총 35분류군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배. 1990. 제주도 주변 무인도의 지형지질. 제주무인도학술조사보고서. pp. 25-38. 제주문화방송주식회사
  2. 고강성,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1996. 귀화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조사(I). 국립환경연구원보 18:25-35
  3. 국립환경연구원. 2002. 전국무인도서자연환경조사(제주도). 국립환경연구원
  4. 김문홍. 1985. 제주도의 관속식물상. 한라산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 pp. 243-198. 제주도
  5. 김문홍. 1990. 제주도주변 무인도의 식물상. 제주도 무인도 학술조사. pp. 39-78. 제주문화방송주식회사
  6. 김문홍. 1994. 관속식물상 및 식생(서귀포 범섬, 문섬, 숲섬 일대). '93 자연생태계 지역정밀조사 보고서. pp.29-47. 환경처
  7. 김문홍, 김경식. 1980. 제주도 주요 부속도서의 식물상. 제대논문집 11:79-98
  8. 김철환. 2000. 자연환경평가(I),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학회지 18(1):163-198
  9. 박만규. 1975. 한국동식물도감(16), 식물편(양치식물). 문교부. 서울
  10.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 국립수목원. 서울
  11.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12. 서정수, 김창호. 1998. 한국산관속식물의 희귀성평가에 관한 연구. 한생연지 3:251-279
  13. 오남삼. 1990. 제주도 주변 무인도의 개발과 보호방안. 제주무인도학술조사보고서. pp. 201-227. 제주문화방송주식회사
  14. 이우철, 김윤식, 전의식, 백원기. 2003. 대암산, 대우산 천연보호구역의 식물상. 대암산, 대우산 천연보호구역학술조사보고서. pp. 99- 149. 문화재청
  15.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16. 이은복, 전의식. 1996. 귀화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조사(I), 귀화식물분야. 국립환경연구원. pp. 5-74
  17.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8. Iwatsuki, K. 1992. Ferns and Fern Allies of Japan. Heibonsha Ltd., Tokyo
  19. Iwatsuki, K., T. Yamazaki, D.E. Boufford and H. Ohba. 1995. Flora of Japan, vol. I. Pteridopthyta and Gymnospermae. Kodansha Ltd., Tokyo
  20. Makino, T. 1989. Revised Makino's New Illustrated Flora of Japan. The Hokryukan Co., LTD. Tokyo
  21. Melk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 Pflanzenfamilien. Gebruder Borntraege (II Band). Berlin
  22. Melkior, H. and E. Werderman. 1954. A Engler's Syllabus de Pflanzenfamilien. Gebruder Bomtraeger (I Band). Berlin
  23. Shimizu, T. 2003. Naturalized Plants of Japan. Heibonsha LTD., Publishers. Toky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