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violet-A(UVA)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9초

Antioxidant Activities and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s of Terminalia chebula in B16/F10 Melanoma Cells

  • Lee, Hyun-Sun;Cho, Hye-Jin;Lee, Kwang-Won;Park, Sung-Sun;Seo, Ho-Chan;Suh, Hyung-J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3호
    • /
    • pp.213-220
    • /
    • 2010
  • To examine the potential of Terminalia chebula as a whitening agent, we measured antioxidant activity using DPPH$\cdot$, ABTS${\cdot}^+$ assays and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s, and depigmenting activity using B16F10 melanoma cells. The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 was monitored by $H_2DCFDA$ fluorescence labeling, and melanin contents in B16F10 melanoma cells by 960 $J/m^2$ dose of UVA-induced oxidative stress. Th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T. chebula extract (TCE) were measured in terms of $EC_{50}$ values using DPPH$\cdot$, ABTS${\cdot}^+$ assays and FRAP value were 280.0 ${\mu}g/mL$, 42.2 ${\mu}g/mL$ and 113.1 ${\mu}mol$ $FeSO_4{\cdot}7H_2O/g$, respectively. We found that ROS and melanin concentrations were reduced by TCE treatments of 25 ${\mu}g/mL$ under UVA-induced oxidative stress.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contents in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MSH)-induced melanoma cells both decreased dose-dependently in the treatment groups. TCE similarly re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stimulated by $\alpha$-MSH as compared to arbutin as a positive control. T. chebula may prove to be a useful therapeutic agent for hyperpigmentation and an effective component in skin whitening and.or lightening cosmetics.

빗물여과를 위한 침지식 정밀여과막의 여과특성 해석 (Analysis of 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Submerged Microfiltration Membranes for Rainwater Filtration)

  • 조형락;정정우;손진식;이상호;채수권
    • 멤브레인
    • /
    • 제24권1호
    • /
    • pp.31-38
    • /
    • 2014
  • 지붕이나 여러 가지 방법과 장소에서 수집된 빗물을 처리하면 직접적 간접적으로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빗물은 점점 더 높은 품질을 위해 고려되고 있고, 분리막은 이러한 빗물 처리를 위한 중요한 기술이다. 특히, 분리막은 고품질 물 생산, 높은 집적도 및 낮은 에너지 소비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오염은 수처리 및 폐수 재활용 부분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문제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 처리에 정밀여과(MF)막을 적용하였고, 저압 자외선(LPUV) 처리를 정밀여과막의 전처리로 사용하였다. 유기물에 대한 UV의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총 유기탄소(TOC) 및 UV 흡광도(UVA)를 모두 측정하였다. 또한 UV 전처리 효과에 따른 막의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LPUV 전처리를 하고 실험을 한 결과 조류에 의해 오염된 빗물에서 막의 오염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UV 처리 후 유기물의 양이 감소하고 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UV/MF 처리는 마이크로 워터 그리드 시스템과 같은 수처리를 위한 유망한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병이소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MMP 발현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Ophioglossum vulgatum on Free Radical and MMP Expression in UV-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s)

  • 김진화;오정영;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7-292
    • /
    • 2009
  • 자외선에 의한 활성산소 종의 생성과 피부 광노화 촉진은 피부표면 조직의 파괴와 피부염증유발, 홍반 등을 수반하며, 일상생활에서 항상 생활 자외선에 노출되어 있는 피부는 이러한 위험 요인과 직면하고 있다. 병이소초추출물의 유해 라디칼 소거 효과 실험 결과 $IC_50$ values가 $18.2\;{\mu}g/mL$로 superoxide 소거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세포 내에서 ROS에 의해 형광을 띠는 물질로 전환되는 CM-DCFDA를 이용하여 ROS의 양을 측정한 결과 자외선에 의해 증가된 세포 내 ROS의 양이 병이소초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100\;{\mu}g/mL$ 농도에서 30 % 이상의 우수한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섬유아세포에 자외선(UVA) $6.3\;J/cm^2$으로 조사하고 병이소초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자외선에 의해 높아졌던 MMP-1 단백질 발현량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50\;{\mu}g/mL$의 농도에서 37.7 % 정도의 MMP-1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RT-PCR 실험에서는 병이소초 추출물을 $10\;{\sim}\;50\;{\mu}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자외선에 의해 높아졌던 MMP-1 mRNA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확연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병이소초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피부손상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우수한 항산화 및 피부세포 보호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백렴 에틸 아세테이트 층의 항산화 활성과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저해효과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Melothria Heterophylla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in Ultraviolet A-irradiated Human Dermal Fibroblasts)

  • 조영호;김진희;심관섭;이동환;이범천;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3-109
    • /
    • 2005
  • 자외선은 콜라겐 분해와 같은 피부 결합조직에서 특이적인 변화를 유발한다. 세포외 기질(extracelluar matrix)내에서의 많은 변형들은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에 의해 매개된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의 새로운 노화방지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백렴 추출물의 용매별 분획들의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고, 그 중에서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에틸아세테이트 층에 대해 MMP-1 활성 및 human dermal fibroblasts에서 자외선에 의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백렴 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 층은 MMP-1의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IC_{50}=9{\mu}g/mL$). 또한, 자외선에 의해 증가되는 MMP-1의 발현이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100{\mu}g/mL$ 처리한 경우 약 $90\%$ 정도 저해되었다. 반면에 MMP-1 mRNA의 발현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백렴 에틸 아세테이트 층은 MMP-1의 발현을 단백질 수준에서만 저해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백렴 에틸 아세테이트 층은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노화방지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

에르고티오네인의 당화 억제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Glycation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rgothioneine)

  • 배준태;이청희;이근수;김진화;홍진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51-159
    • /
    • 2019
  • 에르고티오네인은 생체 내에서 우수한 항산화제로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보호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르고티오네인의 라디칼 소거 활성은 자외선에 조사된 사람 섬유아세포 생존율을 향상 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포노화 지표물질인 senescence-associated ${\beta}$-galactosidase (SA-${\beta}$-gal) 활성을 사람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에르고티오네인 $400{\mu}M$ 처리 농도에서 염색된 세포의 수가 약 45%의 SA-${\beta}$-gal의 레벨이 감소하여 세포 노화(senescence)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에르고티오네인은 글리세르알데하이드에 의해 유도된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을 저해하였으며, 카르복시메칠라이신(CML)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글리옥살에 의해 최종당화산물의 수용체(RAGE)가 발현된 사람 섬유아세포에 에르고티오네인을 처리하였을 때 RAGE의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에르고티오네인의 항노화 효과와 최종당화산물의 세포 내 축적을 저해할 수 있는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작약꽃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항염 및 광노화 억제 효능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photoaging Activities of Hydrolyzed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Flower)

  • 이경주;김유아;박병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9-26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작약꽃을 가수분해하여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인 peonidin 배당체를 비배당체로 전환하여 생리 활성을 증대시키고 신규 화장품 소재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품종별 작약꽃을 추출하여 유효성분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을 선정하였으며, 해당 품종을 이용하여 가수분해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고농도의 hydrochloric acid (HCl) 처리가 가수분해에 가장 적합함을 확인하였으며,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가수분해는 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작약꽃 가수분해물에는 붉은색을 나타내는 안토시아닌계 화합물인 peonidin 배당체가 peonidin으로 전환되어 63.3 ppm 함유되어 있음을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작약꽃 가수분해물의 생리 활성을 확인해본 결과, 가수분해물이 일반 작약꽃추출물 대비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을 소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며, nitric oxide (NO) 생성을 저해하는 항염 효과가 증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ultraviolet A (UVA)에 의한 피부 섬유아세포 손상을 감소시켜 광노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작약꽃 가수분해물이 화장품 산업에서 신규 항노화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연 괴화 염색 면직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 (UV Protection Effect of Natural Dyed Cotton Using Flos Sophorae)

  • ;안춘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906-922
    • /
    • 2020
  • Efficacy of Flos Sophorae as UV protective dye was examined in comparison to standard dyes of quercetin and rutin. Cotton was dyed using Flos Sophorae extract, quercetin, and rutin with 2 different concentrations for each dye. Each type of dyeing applied a temperature of 70℃ or 90℃ and a time of 30 min or 60 min. Color values of dyed samples were examined using a spectrocolorimeter. HPLC-DAD analysis indicated the amount of quercetin and rutin contained in Flos Sophorae used in the study. UPF values of dyed samples were measured using an ultraviolet transmittance analyzer.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dyeing cotton with Flos Sophorae extract, quercetin, or rutin increased the UPF value and decreased the UVA and UVB transmittance (%) regardless of dyeing conditions. A higher rank of UPF values were shown in cotton dyed using the Flos Sophorae extract that implied the possible concerted effect of quercetin, rutin, and flavonoid compounds contained in Flos Sophorae. The results indicated that Flos Sophorae is an effective natural dye that can improve the UV protective function of summer cotton fabric.

Alleviation of Ultraviolet-B Radiation-Induced Photoaging by a TNFR Antagonistic Peptide, TNFR2-SKE

  • Lee, Kyoung-Jin;Park, Kyeong Han;Hahn, Jang-Hee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2호
    • /
    • pp.151-160
    • /
    • 2019
  • Ultraviolet (UV) radiation of the sunlight, especially UVA and UVB, is the primary environmental cause of skin damage, including topical inflammation, premature skin aging, and skin cancer. Previous reports show that activation of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in human skin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after UV exposure induces the expression and rel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1 (IL-1)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subsequently leads to the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ases (MMPs) and growth factor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Here, we demonstrated that TNFR2-SKEE and TNFR2-SKE, oligopeptides from TNF receptor-associated factor 2 (TRAF2)-binding site of TNF receptor 2 (TNFR2), strongly inhibited the interaction of TNFR1 as well as TNFR2 with TRAF2. In particular, TNFR2-SKE suppressed UVB- or $TNF-{\alpha}$-induced nuclear translocalization of activated $NF-{\kappa}B$ in mouse fibroblasts. It decreased the expression of bFGF, MMPs, and COX2, which were upregulated by $TNF-{\alpha}$, and increased procollagen production, which was reduced by $TNF-{\alpha}$. Furthermore, TNFR2-SKE inhibited the UVB-induced proliferation of keratinocytes and melanocytes in the mouse skin and the infiltration of immune cells into inflamed tissu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NFR2-SKE may possess the clinical potency to alleviate UV-induced photoaging in human skin.

Change of Molecular Weight of Organic Matters through Unit Water Treatment Process and Associated Chlorination Byproducts Formation

  • Sohn, Jin-Sik;Kang, Hyo-Soon;Han, Ji-Hee;Yoon, Yeo-Mi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2권5호
    • /
    • pp.224-230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hange of molecular weight (MW) profiles in natural organic matter (NOM) through various treatment processes (coagulation,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and ozonation) using high performanc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based on ultraviolet absorbance and dissolved organic detection (HPSEC-UVA-DOC). In addition, relationships between MW profiles and disinfection by-production (DBP) formation were evaluated. Each treatment process results in significant different effects on NOM profiles. Coagulation is effective to remove high molecular weight NOM, while GAC is effective to remove low molecular weight NOM. Ozonation removes only a small portion of NOM, while it induces a significant reduction of UV absorbance due to breakdown of the aromatic groups. All treated waters are chlorinated, and chlorination DBPs such as trihalomethanes (THMs) and haloacetic acids (HAAs) are measured under formation potential conditions. Both THM and HAA formation potentia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rough the coagulation process. GAC was more effective to reduce THM formation compared to HAA formation reduction, while ozonation showed significant HAA reduction compared to THM re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