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ase gen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7초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Makino) 껍질에서 분리한 신규화합물 (Jeju-Erythrane)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New Compound (Jeju-Erythrane) Isolated from Bark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 강민철;고려경;김수경;최호민;진영준;한종헌;김봉석;이남호;김기옥
    • KSBB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30-336
    • /
    • 2010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껍질에서 분리 동정한 신규화합물 (Jeju-Erythrane)의 항산화 활성 및 B16F10 mouse melanoma 세포에서의 tyrosinase와 멜라닌 생합성의 억제효과를 확인하여, 유용자원으로서 미백 및 기능성 화장료로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신규화합물인 Jeju-Erythrane의 항산화 활성은 확인되지 않았고, B16F10 세포에서 tyrosinase와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tyrosinase와 TRP-1 유전자의 단백질 및 mRNA 발현양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하지만, TRP-2 단백질과 mRNA는 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껍질에서 분리 동정한 신규화합물 (Jeju-Erythrane)이 미백 관련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마우스 흑색종 B16F10세포에서 loganin의 티로시나아제 발현 억제를 통한 멜라닌 생성 억제에 대한 기전연구 (Loganin Inhibits α-MSH and IBMX-induced Melanogenesis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in B16F10 Melanoma Cells)

  • 정희진;방은진;김병무;정성호;이길한;정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00-1207
    • /
    • 2019
  • Loganin은 Corni fructus의 주요 iridoid glycoside이며 항염증, 항당뇨 그리고 뇌신경보호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lpha}-MSH$와 IBMX처리된 B16F10세포에서 loganin의 melanogenesis억제효과의 신호전달 경로를 조사하였다. Loganin의 미백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B16F10세포에서 $1{\mu}m$에서 $20{\mu}m$사이의 농도를 처리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최대 $20{\mu}m$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loganin은 ${\alpha}-MSH$와 IBMX처리된 B16F10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loganin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Western blot결과에 따르면 loganin은 ${\alpha}-MSH$와 IBMX 처리된 B16F10세포에서 증가된 CREB인산화(Ser133)와 MITF 발현 및 tyrosinase의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켰고 ERK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melanin 생성을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loganin은 ${\alpha}-MSH$와 IBMX에 의해 유도된 과도한 멜라닌 합성을 CREB인산화와 MITF 및 tyrosinase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고 ERK의 활성화를 통해 멜라닌 합성을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loganin은 과색소 침착과 관련된 피부질환의 보호제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도 근해에 자생하는 참가죽그물바탕말 [Dictyota coriacea] 추출물의 멜라닌 억제 효과 및 항염증 효과 (Melanin Inhibitory Effec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etyota coriacea Extracts Derived from Adjacent Sea of the Jeju Island)

  • 강민철;이주엽;고려경;김행범;홍승호;김기옥
    • KSBB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311-316
    • /
    • 2008
  • 본 연구는 제주도 근해에 자생하는 참가죽그물바탕말 (Dictyota coriacea)의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용매분획물을 얻어 B16F10 mouse melanoma 세포및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여 멜라닌 생합성 및 tyrosinas 억제활성, NO 억제활성을 통하여 유용자원으로서 미백 및 기능성 화장료로 산업적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험한 결과 B16F10 세포에서 참가죽그물바탕말 에탄올 추출물과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tyrosinase와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뛰어나게 억제하였으며, 단백질 및 mRNA 발현양이 tyrosinase와 TRP-1 유전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하지만 TRP-2 단백질과 mRNA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TRP-2 단백질과 mRNA 발현이 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또한 LPS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참가죽그물바탕말의 에탄을 추출물과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NO 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참가죽그물바탕말 추출물이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미백 관련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봄맞이 추출물의 미백 효능 연구 (Whitening Effect of Androsace umbellata Extract)

  • 김보윤;박성하;박병준;김진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1-2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봄맞이 추출물의 미백 효능을 밝히는 것에 있다. 그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tyrosinase 활성 및 B16F1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양 억제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봄맞이 추출물은 우수한 tyrosinase 억제 효능을 가지며 특히, 멜라닌 생합성 저해 효과는 $25{\mu}g/mL$ 농도에서 그 생성 억제율이 32%로 나타났고, B16F1 멜라노마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 양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 내에서의 미백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western blot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25{\mu}g/mL$ 농도의 봄맞이 추출물이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TRP-1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를 통해, 봄맞이 추출물의 우수한 미백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미백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발견을 바탕으로, 봄맞이 추출물의 미백효능에 대한 유전자 수준 또는 추가적인 메커니즘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 뿐 아니라, 의약제품, 건강기능식품으로의 활용을 기대한다.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Via the PKA and ERK Signaling Pathways by Chlamydomonas reinhardtii Extract in B16F10 Melanoma Cells and Artificial Human Skin Equivalents

  • Lee, Ayeong;Kim, Ji Yea;Heo, Jina;Cho, Dae-Hyun;Kim, Hee-Sik;An, In-Sook;An, Sungkwan;Bae, Seung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2호
    • /
    • pp.2121-2132
    • /
    • 2018
  • Abnormal melanin synthesis results in several hyperpigmentary disorders such as freckles, melanoderma, age spots, and other related condi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an extract from the microalgae Chlamydomonas reinhardtii (CE) and potential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inhibitory effect in B16F10, normal human epidermal melanocyte cells, and human skin-equivalent models. The CE extract showed significant dose-dependent inhibitory effects on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induced melanin synthesis in cells. Additionally, the CE extract exhibited suppressive effects on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2. The CE extract also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protein kinase A and extracellular signal-related kinase, which function as upstream regulators of melanogenesis. Using a three-dimensional, reconstructed pigmented epidermis model, the CE-mediated, anti-pigmentation effects were confirmed by Fontana-Masson staining and melanin content assays. Taken together, CE extract can be used as an anti-pigmentation agent.

Aspergillus fumigatus 발효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Aspergillus fumigatus Fermented Extract)

  • 송태양;김창원;강미옥;갈상완;황을문
    • 생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84-91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Aspergillus fumigatus fermented extract. In this study, we revealed the effects of A. fumigatus fermented extract on melanin contents,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nd expression levels of mRNA and proteins of melanogenesis-related gene in B16F10 melanoma cells. A. fumigatus fermented extract inhibited both melanin contents and tyrosinase activity.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 of mRNA or proteins of melanogenesis was down-regulated in the A. fumigatus fermented extract treated B16F10 cells with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when the clinical test was conduc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the fermented extract of A. fumigatus for 8 weeks improved skin brightness 1.586 times brighter and skin melanin 1.331 times better compared to the control product.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A. fumigatus fermented extract has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 and whitening activity, thus it showed the possibility for using as a functional whitening cosmetic resource.

무화과(Ficus carica L.)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및 MITF 발현 억제를 통한 미백 활성 (Whitening activity of Ficus carica L. fruits extract through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MITF expression)

  • 김민지;박시은;이근수;김진화;권순우;황형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04-212
    • /
    • 2023
  • 미백은 멜라닌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을 의미한다. 기존 미백소재의 피부 부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미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화과(Ficus Carica L.)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열매로 줄기와 잎 성분의 미백 활성은 보고되었으나 무화과 열매의 미백 활성은 알려지지 않아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무화과 열매 추출물(Figs fruits extract, FFE)의 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ABTS 분석에서 최대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34.52±1.98%/60.71±1.26%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CCK-8 assay를 통한 FFE의 세포독성은 약 10% 농도부터 관찰 되어 독성이 없는 최대 농도를 5%로 설정하여 모든 실험에 적용하였다. FFE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interleukin-6 및 tumor necrosis factor-α 유전자 발현 억제와 함께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항염증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백 기능 규명을 위해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FFE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유의하게 하향 조절했을 뿐만 아니라 시험관 내에서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FFE는 RT-PCR에서 α-MSH 처리군에 비해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RNA 발현을 약 94.34% 감소시켰다. 마지막으로, FFE는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MITF,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및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는 FFE가 tyrosinase 효소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α-MSH 신호 기전 내 MITF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Salicylamide Enhances Melanin Synthesis in B16F1 Melanoma Cells

  • Ito, Yusuke;Sato, Kazuomi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9권4호
    • /
    • pp.445-451
    • /
    • 2021
  • Salicylamide, a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 is used as an analgesic and antipyretic agent. We have previously shown that several NSAIDs have anti-melanogenic properties in B16F1 melanoma cells. In contrast, we have found that salicylamide enhances melanin contents in B16F1 melanoma cells;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is not known.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 through which salicylamide stimulates melanogenesis. Interestingly, salicylamide enhanced diphenolase activity in a cell-free assay. Western blotting and real-time RT-PCR revealed that salicylamide increased tyrosinase expression via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the Mitf gene.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salicylamide could be used as an anti-hypopigmentation agent for skin and/or hair.

A retroviral insertion in the tyrosinase (TYR) gene is associated with the recessive white plumage color in the Yeonsan Ogye chicken

  • Cho, Eunjin;Kim, Minjun;Manjula, Prabuddha;Cho, Sung Hyun;Seo, Dongwon;Lee, Seung-Sook;Lee, Jun He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4호
    • /
    • pp.751-758
    • /
    • 2021
  • The recessive white (locus c) phenotype observed in chickens is associated with three alleles (recessive white c, albino ca, and red-eyed white cre) and causative mutations in the tyrosinase (TYR) gene. The recessive white mutation (c) inhibits the transcription of TYR exon 5 due to a retroviral sequence insertion in intron 4. In this study, we genotyped and sequenced the insertion in TYR intron 4 to identify the mutation causing the unusual white plumage of Yeonsan Ogye chickens, which normally have black plumage. The white chickens had a homozygous recessive white genotype that matched the sequence of the recessive white type, and the inserted sequence exhibited 98% identity with the avian leukosis virus ev-1 sequence. In comparison, brindle and normal chickens had the homozygous color genotype, and their sequences were the same as the wild-type sequence, indicating that this phenotype is derived from other mutation(s). In conclusion, white chickens have a recessive white mutation allele. Since the size of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was limited, further research through securing additional samples to perform validation studies is necessary. Therefore, after validation studies, a selection system for conserving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the population could be established if additional studies to elucidate specific phenotype-related genes in Yeonsan Ogye are performed.

Influence of Gungguitang-gamibang on the Regulation of Melanogenesis through JNK Signaling Pathway in B16 Melanoma Cells

  • Jeong, Jae-Seong;Ju, Sung-Min;Kim, Kun-Jung;Kim, Eun-Cheol;Park, Hyun;Jeon, Byung-Hu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6-203
    • /
    • 2005
  • Gunggui-tang has been used for the therapy of blood disorders in Hangbang medicine for long time. Also, Glycyrrhiza uralensis has been used for deficientblood patterns with an irregular pulse or palpitations, coughing and wheezing, and heat or cold in the lungs. Melanogenesis is a physiological process resulting in the synthesis of melanin pigment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water extract of Gunggui-tang plus G. uralensis inhibited melanogenesis in B16 melanoma cells. Because the molecular events connecting the regulation in tyrosinase activity remain to be elucidated, we also aimed to determine whether Gunggui-tang gamibang(GTG) affects tyrosinase at the gene activation level in the cells. First, we showed that GTG inhibited the tyrosinase promoter activity and further, down-regulated the tyrosinase protein activity in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alpha}-MSH)-treated$ B16 melanoma cells. GTG also resulted in a decrease of melanin content in MSH-induced melanogenesis, indicating that GTG may be a useful drug in studying the regulation of melanogenesis. The pretreatment of GTG significantly prevented phosphotransferase activity of c-Jun N-terminal kinase (JNK1) and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activating protein-1 (AP-1) in MSH-treated B16 melanoma cell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GTG inhibits melanogenesis of B16 melanoma cells via suppression of phosphotransferase activity of JNK1 and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AP-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