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er weight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3초

Anti-obesity Effects of Mulberry Leaf and Yacon Extract in Obese Rats

  • Lim, Yong;Oh, Ji Hye;Park, Un Kyu;Huh, Man Kyu;Hwang, Seock-Ye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5-84
    • /
    • 2020
  • We evaluated the effect of anti-obesitic activity of MYE (mulberry leaf + Yacon tuber) extracted from Morus alba as muberry leaf and Smallanthus sonchifolia as yacon. 1%, 3%, or 5% of MYE were treated to Sprague-Dawley rats exposed to a high-fat diet. MYE treated rats were suppressed weight during four weeks, and they lost weight significantly after six weeks. Common blood chemistry panels related to liver function reveal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MYE-treated groups. The expression of leptin as indicators for obesity was decreased in perirenal fat. Such results indicate that MYE could be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improvement of obesity. In addition, MYE effected on deceased glucose metabolism, reducing the activities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and glucokinase related to glycogen synthesis. The fatty liver was observed in high-fat diet-treated rats, resulting from increased number of adipose cells and Ito cells. However, this pathologic change was significantly improved by administration of MYE. MY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ntioxdative function and glycometabolism against high fat diet. Thereby, it seems that MYE prevent fatty liver by high-fat diet. Thus it is suggested that MYE would be worth being developed as an biofunctional food to prevent undesirable effects caused by obesity.

한국재래산양의 후지골격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 (Anatomical Studies on the Skeleton of Pelvic Limb of Korean Native Goat)

  • 김진상;이흥식;이인세;윤여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6
    • /
    • 1988
  • The anatomical structure of pelvic limb, of thirty-one adult Korean native goats (Body weight: 14~17kg) was observed after skeletal preparation, and the osteometry was performed in each b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lvic limb of the Korean native goat was composed of the hip bone, femur, patella, tibia, fibula, tarsal bones, metatarsal bone, phalanges and sesamoid bones. 2. The hip bone consisted of the ilium, ischium and pubis which fused each other, The gluteal surface of the ilium was directed dorsolaterally. The tuber sacrale and tuber coxae were formed at the dorsal apex and ventrolateral part of the iliac wing, respectively. The lesser ischiatic notch was deeper than the greater one. The ischiatic tubercles were triangular form and consisted of the dorsal, lateral and caudal ischiatic tubercles. The left and right hip bone indexes were 67.08, 66.20, the acetabular indexes were 93.78 and 92.10 and the obturator foramen. indexes were 53.84 and 54.77, respectively. 3. In femur, both of the greater and lesser trochanter were well developed but the third trochanter was not observed. The left and right femur indexes were 26.55 and 26.14, head indexes were 81.66 and 81.49 and the trochlear-epicondyle indexes were 42.47 and 41.63, respectively. 4. The patella was observed as an isosceles triangle with base lying proximal and the cranial surface was more convex. 5. The tibial shaft was sigmoid form and the popliteal notch was deep. There was a large nutrient foramen at the cranial aspect of the cranial intercondylar area. The tibial indexes were 22.09 in left and 21.10 in right. 6. The proximal extremity of the fibula was fused with the lateral condyle of the tibia but the distal one was observed independently as the malleolar bone. 7. The tarsal bones were five in number; the talus, calcaneus, centroquartal tarsal bone, first tarsal bone, and second-third tarsal bone. 8. The metatarsal bone was composed of a large metatarsal bone. resulted from the fusion of the third and fourth metatarsal bones, The structure of metatarsal bone was similar to the metacarpal bone but longer about 7mm. 9. The phalanges and sesamoid bones were similar to these of the thoratic limb. 10. The ratios of the lengths among the hip bone, femur, tibia and metafarsal bone were 1.71 : 1.54 : 1.73 : 1.00 in left and 1.68 : 1.53 : 1.72 : 1.00 in right, respectively.

  • PDF

中部地方에서 Yacon의 定植時期와 裁植密度가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Data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Tuber Yield of Yacon in the Middle Region)

  • 송인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23
    • /
    • 1997
  • 중부지방의 새로운 작물(作物)인 야콘의 재배법(栽培法) 확립(確立)을 위하여 정식시기(定植時期)와 재식밀도(栽植密度)에 대한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품종(品種)은 도입종(導入種)을 공시(供試)하여 4월(月) $5\sim7$일(日)에 냉상(冷床)으로 육묘(育苗)한 것을 5월(月) 25일(日) 부터 10일(日) 간격으로 6월(月) 5일(日) 그리고 6월(月) 15일(日) 그리고 6월(月) 15일(日)의 3 시기(時期)와 재식밀도(栽植密度)를 휴폭(畦幅) $\times$ 주간(株間)을 $80\times35cm$, $80\times45cm$, $80\times55cm$의 3수준(水準)으로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草長)은 정식시기간(定植時期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고, 재식밀도(栽植密度)에 있어서는 $80cm\times35cm$에 비하여 소식(疏植)한 구(區)에서 길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지상부(地上部) 생체중(生體重)은 정식시기(定植時期)가 빠를 수록, 소식구(疏植區)일 수록 무거워 지는 경향(傾向)이었고, 그 밖의 지상부(地上部) 생육형(生育形) 질간(質間)에는 일정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2. 총수량(總數量)은 정식시기간(定植時期間)에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지 않았고, 재식밀도(栽植密度)에 있어서는 $80cm\times45cm$에서 가장 높았으며, 상품수량(商品收量)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3. 생육형질간(生育形質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상품수량(商品收量)과 초장(草長) 사이에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 (r=0.927**)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올미(Sagittaria pygmaea Miq.) 괴경(塊莖)의 재식밀도(裁植密度)가 수도(水稻)와의 근계경합(根系競合)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ing Density of Sagittaria pygmaea tubers on the Root Competition with Rice Varieties)

  • 제제천;신재정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80-288
    • /
    • 1987
  • 논잡초 올미와 수도(水稻)와의 경합(競合)을 지하부(地下部)를 중심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통일형품종(統一型品種)인 중원벼와 일본형품종(日本型品種)인 상풍벼를 공시하여 포장실험을 수행 하였다. 표준재배한 수도(水稻)에 올미괴경을 완전방제구, 4개/$m^2$ 재식구, 8 개/$m^2$ 재식구 및 16 개/$m^2$ 재식구의 4개 밀도로 심고 이앙후(移秧後) 30일, 45일, 60일 및 75일에 경합양상을 조사하였다. 1. 올미괴경의 재식밀도(載植密度)가 증가함에 따라 중원벼와 상풍벼의 초장(草長), 분벽(分蘗) 및 수량(收量)은 감소하였으나 유의(有意)한 차이는 아니었다. 2. 올미괴경의 재식밀도(載植密度)가 증가함에 따라 통일형인 중원벼에서는 근수(根數)와 근중(根重)의 감소가 현저하였으나 일본형(日本型)인 상풍벼에서는 감소정도가 완만하여 중원벼의 경합력(競合力)이 상풍벼보다 작았다. 3. 올미의 뿌리는 이앙후(移秧後) 60일(日)까지에 토양 15cm 깊이에 분포하였으며 0~5cm 깊이에 전체의 64~80%, 5~10cm 깊이에 20~36%. 10~15cm 깊이에 6.7% 이하의 뿌려가 분포하였다. 그러나 출수기 이후에는 토양 0~10cm 깊이에만 분포하였다. 4. 중원벼와 경합한 올미는 이앙 후 45 일에 최대의 생육을 보인 후 근수와 근중이 크게 감소하였 으나 상풍벼와 경합한 올미의 근생육(根生育)은 이앙 후 60일에 최대에 달한 후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5. 올미의 근활력(根活力)은 중원벼보다 55%, 상풍벼보다 40%나 높았다. 6. 올미의 근생육(根生育)은 상풍벼보다 중원벼와 경합시 출수기 이후 크게 억제되었다.

  • PDF

감자 플러그묘 심지재배에서 심지수에 따른 상위급종서의 생산성 (Growth and Yield According to Wick Number Under Wick Culture System of Potato Plug Seedlings)

  • 강봉균;송창길;김찬우;박정식;문현기;오태수;오문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91-195
    • /
    • 2003
  • 심지재배방법을 이용하여 감자 상위급종서의 대량생산기술을 개발하고자 경삽플러그묘를 SP2, PP2 2종류의 배지와 5종류의 심지수(폭 1.5cm, 길이 40cm)를 처리한 스치로폼 베드(길이 51${\times}$폭 31.5${\times}$높이 20cm, $0.032\textrm{m}^3$)에 정식, 재배하여 배지의 물리성과 생육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확직후 총공극량은 SP2배지와 PP2배지간에 차이가 없이 83-85% 수준이었다. 가비중은 배지별로는 Jeju scoria가 혼용된 SP2배지가 0.27g$.$$\textrm{mL}^{-1}$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심지수간에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2. 수확직후 배지내의 수분함유량은 SP2배지보다 PP2배지가 높았으며 심지수간에는 심지수가 많아질수록 55%에서 70%까지 함량이 많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3. 감자 지상부의 생육형질은 심지수가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1\textrm{m}^2$당 총서중과 괴경평균수량은 SP2배지와 PP2배지 모두 심지수 6개에서 가장 높았다.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 처리(處理)가 올미의 괴경형성(塊莖形成)과 방제(防除)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Herbicide Mixtures on Tuber Formation and Control of Sagittaria pygmaea Miq.)

  • 오용비;심이성;박석홍;배성호;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6-151
    • /
    • 1982
  • 호남지역(胡南地域)에서 논 다년생(多年生) 우점잡초(優占雜草)인 올미의 효과적(効果的)인 약제방제(藥鄭防除)를 위하여 혼합제(混合劑)인 Butachlor + Naproanilide, CG 113 + Naproanilide, Benthiocarb +Naproanilide를 공시(供試)하여 1982년(年)에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올미의 괴경(塊莖)은 토양중(土壤中)에서 10cm 이내(以內)에 92%가 분포(分布)되어 있었으며 이앙후(移秧後) 40 일(日)까지는 계속 발생개체수(發生個體數)가 증가(增加)하나 그 이후(以後)에는 減少(減少)하였다. 2. 올미의 방제효과(防除効果)는 perfluidone에 비(比)하여 Naproanilide 혼합제(混合劑) 처리(處理)에 의하여 발생개체수(發生個體數) 및 건물중(乾物中)이 적었으며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95% 이상(以上)의 높은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고 일년생(一年生) 방제율(防除率)도 높았다. 3. 올미의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는 각(各) 약제처리(藥劑處理) 모두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적었으며 초기(初期)나 중기(中期) 처리(處理) 공(共)히 Naproanilide 혼합제(混合劑)에서 Perfluidone이나 2, 4-D보다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가 적어 괴경형성억제(塊莖形成抑制) 효과(効果)가 컸다. 4. CG 113 + Naproanilide는 일(日)/인(印) 교잡계통(交雜系統)인 이리(裡里) 358 호(號)에서 최초(最初) 벽자(蘗子)의 엽선단(葉先端)이 엽초(葉効)에 붙어 만곡(彎曲)하는 약해(藥害) 징상(徵象)이 나타났으나 약(約) 10일(日) 이내(以內)에 회복(回復)되었다.

  • PDF

향부자(Cyperus rotundus L.)의 생육특성 및 방제법에 관한 연구 (Growth Characteristics of Purple Nutsedge(Cyperus rotundus L.) and Establishment of Its Effective Control Method)

  • 김경임;김길웅;신동현;이인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6-145
    • /
    • 1998
  • 잔디밭에서 문제잡초로 알려져 있는 향부자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향부자의 생육특성, 생장조절제 처리가 맹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제초제의 선발실험, 향부자의 일반성분을 조사하였다. 향부자의 개화는 이식 시기에 관계없이 이식 30일부터 시작되었고 괴경은 기온이 $10^{\circ}C$이하로 내려가면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생장조절제 BA, ABA, TS-303, PDJ 등의 4종을 향부자 괴경에 처리한 결과 맹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식 60일째부터 경엽에 4회 처리시 4종 공히 신초 수와 지하부 건물중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신초 건물중과 괴경 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Imazaquin 30g ai/10a 처리는 괴경으로부터 다량(multi-shooting)의 신초를 발생시켰으나 pyrazosulfuron-ethyl과 bensulfuron-methyl 처리는 multi-shooting 현상을 보이지 않았다. Pyrazosulfuron-ethyl 10g ai/10a 처리는 향부자의 생육을 90% 가까이 억제하여 bensulfuron-methyl 10g ai/10a 보다 높은 방제율을 보였다. 향부자 성숙한 괴경의 구성성분은 수분 61.83%, 탄수화물 31.60%, 조단백질 4.03%, 조지방 1.57%, 조회분 0.97% 이었다.

  • PDF

면역시스템을 통한 세포수명연장 천연물질 스크린 (Screening of Natural Product Libraries for the Extension of Cell Life-span through Immune System)

  • 유보경;권기상;고영화;김홍근;이석현;박관호;최지영;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59-363
    • /
    • 2016
  • 한약진흥재단(NIKOM)의 640-천연물 라이브러리를 PC12세포에 10 μg/ml/day로 처리하였다. 면역강화에 관여하는 ERAP1 (Endoplasmic Reticulum AminoPeptidase 1)과 수명연장에 관여하는 FOXO1 (FOXO-family transcription factor) 유전자발현을 RT-PCR로 확인하였다. ERAP1 유전자를 1.5-2배까지 상승시킨 것은 22개, 2배 이상 발현시킨 것은 14개였다. FOXO1 유전자를 1.5-2배까지 상승시킨 것은 총 24개, 2배 이상 발현시킨 것은 4개였다. 동시에 ERAP1과 FOXO1 유전자를 2배 이상 상승시키는 것은 족도리풀(Asiasari radix)에서 분리된 (±)-Car-3-ene-2,5-dione, 두꺼비(Bufonis venenum)에서 분리된 Cinobufagin, 대국(Euphorbiae pekinensis)에서 분리된 Corilagin, 현호색(Corydalis tuber)에서 분리된 Corydaline 4종이다. 이들 4종의 천연물은 초파리를 이용한 개체의 수명연장실험에 사용될 것이다.

전분박을 이용한 돈분발효퇴비의 시용이 감자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g Manure Composting Using Starch Pulp Treating on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Potato Cropping)

  • 강봉균;현해남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5-86
    • /
    • 2002
  • 농산폐기물인 전분박을 톱밥대용 부자재로 사용하여 제조된 전분박을 이용한 퇴비를 감자재배에 적용시켜 지상부생육 및 괴경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분박 발효퇴비는 돈분과 톱밥 및 탈수 전분박(수분 65%내외)을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퇴적송풍식으로 조제된 것으로 전분박 발효퇴비의 처리내용은 대조구(퇴비 무비구), 1 : 1 : 0 처리구(돈분 : 톱밥 : 전분박의 혼합비), 1 : 0,75 : 0.25 처리구 및 1 : 0.5 : 0.5 처리구 4수준으로 수행하였다. 초장은 생육초기에는 톱밥혼합 돈분발효퇴비와 전분박혼합 돈분발효퇴비가 화학비료 단용처리구에 비해 컸으나, 생육중반이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경직경 및 지상부건물중은 퇴비시용구가 무비구에 비해 양호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총괄괴경수는 1 : 0.5 : 0.5 처리구가 가장 많았으며, 1 : 1 : 0 처리구, 1 : 0.75 : 0.25 처리구는 비슷하였다. 80g 미만의 괴경수량은 각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81-120g 및 120g이상의 괴경수량은 무비구에 비해 퇴비처리구가 현저히 높았다. 상서율도 전분박 1 : 0.75 : 0.25 및 1 : 0.5 : 0.5 처리구에서 86%내외로 높게 나타났다. 더뎅이병 이병율 및 발병도는 전분박이 많이 혼합된 1 : 0.5 : 0.5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앞으로 전분박을 흔합하여 돈분발효퇴비를 제조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으로 더뎅이병 이병을 및 발병도를 가장 고려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엽중 N, P, K, Ca 등의 함량은 무처리에 비해 퇴비처리구가 많았으며 처리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전분박을 혼합하여 제조한 퇴비가 감자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톱밥혼합퇴비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버섯(Lentinus Tuber-Regium)분말 첨가가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hroom (Lentinus Tuber-Regium) Powder on the Bread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 이민정;경규항;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2-37
    • /
    • 2004
  • 단백질 및 기능성 식품인 Lentinus tuber-regium의 분말을 이용하여 버섯분말의 입도, 이화학적 특성과 제빵시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제빵 적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버섯분말 입자크기는 $38\;{\mu}m$에서 $450\;{\mu}m$까지 비교적 큰 입자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으며, 특히 밀가루 입자 크기의 범위에 해당되는 $150\;{\mu}m$이하는 약 64% 정도를 나타냈다. 버섯분말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11.32%, 조단백질 11.22%, 회분 2.10%, 조지방 1.60%의 함량을 보였다. 버섯분말 2-10% 첨가에 따른 복합분 반죽의 mixogram 특성 측정 결과 수분 흡수율은 버섯분말 첨가에 따라 67.0-79%로 증가하였으며, peak time, peak height, band width, seven minute height는 대조구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Sedimentation value와 PK value는 버섯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호화특성 중 호화개시온도는 10% 첨가구외는 대조구와 버섯분말 첨가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최고점도는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버섯분말 첨가에 의한 제빵특성 중 부피변화는 버섯분말 2, 4% 첨가구가 703.50cc로 가장 큰 값을 나타냈으며, 6% 이상의 첨가구에서는 대조구보다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게 변화는 버섯분말 첨가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체적은 버섯분말 2, 4% 첨가구가 각각 3.98, 3.95cc/g으로 대조구 3.94cc/g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버섯분말 6% 이상의 첨가구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비체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버섯분말을 0-10%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표피와 내부의 색도 변화는 crust 색의 경우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 b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rumb 색중 L값의 변화는 crust에서와는 대조적인 결과로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버섯가루를 첨가시켜 제조한 빵의 조직감 측정 결과 springiness와 adhesiveness는 대조구와 버섯분말 첨가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chewiness와 gumminess는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그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ardness의 경우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hardness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버섯분말 2%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버섯분말 첨가 빵의 $4^{\circ}C$$25^{\circ}C$ 저장 결과 버섯분말 첨가량은 노화의 진행속도를 빠르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버섯분말 첨가 빵의 관능검사 결과 버섯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측정치의 값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버섯분말을 제빵에 이용시 4%까지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