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methylamine-nitroge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19초

감마선 이용 저염 새우젓 제조시 화학성분의 변화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Changes of Chemical Compounds in the Processing of Fermented Shrimp with Law Salt)

  • 안현주;이경행;이철호;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29-634
    • /
    • 2000
  • 저 염 세우젓을 제조하기 위하여 식염농도를 각각 10%, 15% 및 20%로 조절한 새우젓에 감마 선을 조사한 후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할성변화를 조사하였다. 감마선 조사직후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 태 질소, trimethylamine 함량 및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기간 동안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및 trimethylamine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효소활성은 발효 4~5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15% 식염첨가와 10kGy의 감마선 조사 및 20% 식염첨가와 5~7.5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를 병용처리한 새우젓의 경우, 30% 식염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함량 및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이 비슷한 수준으로 발혀기간 동안 적정 수준 의 함량 및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새우젓 숙성중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이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ite and Ascorbic acid on N-Nitrosamine Form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of Salt-fermented Small Shrimp)

  • 김정균;이수정;성낙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3-70
    • /
    • 1998
  • 새우에 일정량의 식염, 아질산염, 질산염 및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NA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직후 8.1에서 숙성 110일 후 6.5로 산성화되었다. TMAO 질소는 숙성중 감소한 반면, TMA 및 DMA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 첨가구는 숙성중 NDMA함량이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 산첨가구는 NDMA생성이 억제되었다. 모델계실험 결과, 새우젓의 니트로소화 최적 pH는 3.5이었고, 아스코르브산은 NDMA생성을 크게 억제시킨 반면 thiocyanate는 촉진시켰다. 본 실험 결과, 새우젓 자체에는 NDMA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질산염이나 아질산염의 함량이 많은 물질과 함께 섭취된다면 위내에서 NDMA가 생성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멸치젓 숙성중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이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ite and Ascorbic Acid on N-Nitrosamine Formation during Fermentation of Salted Anchovy)

  • 김정균;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06-613
    • /
    • 1997
  • 멸치에 일정량의 식염, 아질산염, 질산염 및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NA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직 후 7.1에서 숙성 110일 후 5.5로 산성화되었다. TMAO 질소는 숙성 중 감소한 반면, TMA 및 DMA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 첨가구는 숙성 중 NDMA 함랑이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산 첨가구는 NDMA 생성이 억제되었다. 모델계 실험 결과, 멸치젓의 니트로소화 최적 pH는 3.8이었고, 아스코르브산은 NDMA생성을 크게 억제시킨 반면 thiocyanate는 촉진시켰다. 본 실험 결 과, 멸치젓 자체에는 NDMA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질산염이나 아질산염의 함량이 많은 물질과 함께 섭취된다면 위내에서 NDMA가 생성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자외선 처리가 반염건 고등어 필레의 냉장저장중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nges of salted and semi-dried mackerel fillets by UV treatmen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송효남;이대규;한성욱;윤혜경;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62-668
    • /
    • 2005
  • To investigate the quality retention method of salted and semi-dried mackerel fillets,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rimethylamine (TMA) and total bacterial counts in the fillets that were UV treated for 1, 3, and 4 hr were periodically measured during 48 days of refrigerated storage.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contents were 45.46 %, 18.87 %, 33.75 %, and 2.99 %, respectively. The freshness as determined by pH measurement could be maintained up to 25 days for the control and 31 days for the UV-treated fillets. VBN contents were continually increased over the storage time. The control reached the initial putrid level after 21 days while the UV-treated fillets after $25{\sim}31$ days. A similar tendency was shown for the changes of trimethylamine TMA contents, although the period differed slightly and the increase of the UV treatment time could decrease the TMA contents. The changes on the total bacterial counts of the fillets were maintained under 105 CFU/g during 48days. Especially, due to the effective decrease of the microorganism count by UV treatment at the beginning of the storage, UV -treated fillets showed lower bacterial counts than control over the whole period. E. coli. and Listeria were not detected in any fillets. Combining the above data and the sensory changes, the storage period of the fillets could be prolonged from 15 days at present to 30 days by UV treatments.

Compositions of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and Their Monthly Variation for Fresh Capsosiphon fulvescens

  • Jung, Kyoo-Jin;Park, Jung-Ni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20-129
    • /
    • 2010
  • To elucidate the composition of extractive nitrogenous components in the fresh Capsosiphons fulvescens cultured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to determine the monthly variation of these nitrogenous components, extract samples collected monthly from December to March at Jangheung-gun, Jeonnam Province were analyzed for total nitrogen, free and combined amino acids, ATP and related compounds, betaines, trimethylamine oxide (TMAO) and trimethylamine (TMA). The content of extractive nitrogen was 1,090~1,233 mg/100 g on dry basis. The number of 21~25 ninhydrin-positive substances was detected in the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their total amount was 3,710~4,788 mg/100 g on dry basis. Among them, free proline, asparagine, glutamic acid, alanine, taurine and glutamine were found to be abundant. The combined amino acids amounted to 1,573~2,121 mg/100 g in total and the total amount of ATP and related compound was 33.8~84.0 mg/100 g ($1.06{\sim}2.46\;{\mu}mol/g$) on dry basis. Betaine, glycinebetaine, $\beta$-alaninebetaine, $\gamma$-butyrobetaine, homarine and trigonelline were detected in most of samples. Levels of free and combined amino acids, ATP and related compounds fluctuated from sample to sample, with their contents higher in December and January and lower in March.

발효식품에서 분리된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Trimethylamine 저감화 (Reduction of Trimethylamin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Isolated from Fermented Food)

  • 박슬기;이재화;조두민;강민균;장유미;조연진;홍동리;김영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1-126
    • /
    • 2019
  • Trimethylamine (TMA) is a nitrogen-based aliphatic organic compound. It is a major odorous component of fish and fishery products and is often used as an indicator of fish quality. The efficacy of TMA removal by various yeast strains was investigated. The five yeast strains found to be most effective in removing TMA were isolated from fermented foods and were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based on biochemical and 18S rRNA sequence analyses. These strains were designated as S. cerevisiae SK1511, SK1512, SK1513, SK1514 and SK1515. Yeast cultures were treated with a TMA solution (0.3%, v/v), and the level of TMA reduction was analyzed by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The five S. cerevisiae strains removed 32.02-50.34% of the TMA from the solution. This study is the first to demonstrate TMA reduction by microbial treatment.

시판 멸치액젓의 품질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Anchoby Sauce)

  • 김재현;류기형;안현주;이경행;이현자;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37-842
    • /
    • 2000
  • Commercially distributed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sauces in Korea were purchased from six different companies. Microbiological, chemical, rheological and sensory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and safety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the products. The salinity of every product was lower than of regulatory standard. All samples tested had acceptable in moisture content and pH. However, wide range of amino nitrogen (AN), volatile basic nitrogen(AN),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trimethylamine (TMA) contents were observed. One product among tested had lower level of AN than regulatory standard. Pathogenic microorganisms were also detected from the samples, therefore sanitation procedure will be needed to ensure safety. From the results, AN, VBN, and viscosity were highly correlated to sensory scores, suggesting that these values can utilized as a standard method to evaluate quality of the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sauce.

  • PDF

저염 새우젓 제조를 위한 최적 숙성직전의 감마선 조사시 화학적 품질변화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in Processing of Low Salted and Fermented Shrimp Using Gamma Irradiation immediately before Optimum Fermentation)

  • 이경행;안현주;이철호;김영지;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51-1057
    • /
    • 2000
  • 관능적 품질이 우수하고 저장성을 향상시킨 저염 새우젓 개발을 위해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였다. 식염농도를 15% 및 20%로 조절한 새우젓을 제조하여 $15^{\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최적 숙성기에 도달하기 직전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이 400mg% 수준에서 5 kGy 및 10 kGy 선량의 감마선을 조사하였으며, 대조구로는 30% 식염농도의 새우젓을 제조하여 저장기간 동안 화학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최적 숙성직전 감마선을 조사한 결과, 감마선 조사직후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및 효소활성은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성분의 변화는 식염함량 및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낮았으며, 효소활성은 발효 4∼5주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으로 대조구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15% 식염과 10 kGy의 감마선 조사 및 20% 식염과 5 kGy 이상의 감마선을 최적 숙성직전 조사한 새우젓의 경우 젓갈의 화학적 품질지표인 아미노태 질소, 휘발성 염기태 질소, trimethylamine 함량 및 단백질분해 효소활성이 30% 고염농도인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발효기간 동안 적정수준의 함량 및 활성을 나타내어 양호한 품질특성을 보였다.

  • PDF

피등어꼴뚜기의 자숙취에 관한 연구 (VOLATILE CONSTITUENTS OF COOKED SQUID)

  • 이응호;소천천추;야중순삼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83-188
    • /
    • 1978
  • 피등어꼴뚜기를 가열가공할 때 발생하는 취기를 제거할 목적으로 취기성분을 gas chromatography로 공석한 것을 단보로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피등어꼴뚜기 취기성분 추출에는 methanol이 가장 적합하였다. 2. 빙수trap에서 25개 peak, dry ice-acetone trap에서 32개 peak가 검출되었고, 그 중 acetic acid, butyric acid, iso-valeric acid, valeric acid, caproic acid 등 5성분을 동정하였다. 3. 액체질소 trap의 head space vapor에서 11개 peak가 검출되었고, 그 중 mothylamine, trimethylamine, dimethylamine, ethylamine, isopropylamine등 5성분을 동정하였다.

  • PDF

냉장 및 냉동어육의 화학적 선도지표 측정 (Determination of Chemical Freshness Indices for Chilled and Frozen Fish)

  • 김동경;박인선;김남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93-999
    • /
    • 1998
  • 어육의 화학적 선도지표로는 사후의 경과 시간에 따라 $K_i$값과 biogenic amines, trimethylamine (TMA), 휘발성 염기질소(VBN) 등의 함량이 이용되고 있다. 이 중 $K_i$값은 초기 선도지표로 활용가능하며 신뢰성이 우수하여 어육 등의 선도측정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2종의 냉장 및 냉동어육에 대하여 $K_i$값과 biogenic amines, TMA 및 VBN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개의 시료에서 $K_i$값은 $7.8{\sim}43.6%$범위에 있었으며, 오징어, 굴, 대구, 수조기, 우럭은 $K_i$값이 높은 어종으로 나타났다. 한편 putrescine 등의 biogenic amines은 시료 중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TMA 함량과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r=0.894)가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