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otal glucosinolate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3초

Evaluation of Glucosinolate Content and Composition Contained in Korean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var. integrifolia) Germplasm Using Liquid Chromatography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LC-ESI-MS/MS)

  • Kim, Jung-Bong;Kim, Heon-Woong;Ko, Ho-Cheol;Kim, So-Young;Kim, Se-Na;Jin, Yong-Xie;Kim, Jae-Hy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8-18
    • /
    • 2010
  • Glucosinolates(GSLs) are major secondary products($\beta$-thioglucoside N-hydroxysulfates) containing sulfates that are found mainly in Cruciferae family such as cabbage, broccoli, radish, turnip, kale, mustard and rapeseed as the important crops in agronomic and economic aspects. Especially, isothiocyanates(ITCs) have been shown to inhibit carcinogenesis with regulation cancer cell development followed by regulating target enzymes, inducing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against various human cancer cell lines. Total desulfo(DS)-GSLs of nine type in 210 Korean leaf mustard accessions were isolated and confirmed using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ic(ESI-MS/MS) method and DS-GSLs powerful library maked from several reference data. The isolated individual DS-GSLs were identified by removed $\beta$-D-glucopyranose residue ($C_6H_{11}O_5$, MW 163) from MS/MS data. Among them sinigrin(41.7%), glucoiberverin(21.7%) and gluconasturtiin(12.6%) were major components, Especially, despite gluconapin was minor component, accession K046197-1 and K046197-2 showed higher content of 4.11 and 3.31 mg/g(DW), respectively. The total GSLs contents in 210 accessions were ranged from 5.3 to 23.2 mg/g(DW) with a mean value of 13.0 mg/g(DW). As a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the individual GSLs loading plots were composed of three groups and components belonged to each group showed correlationship in quantitative pattern.

  • PDF

Organoleptic Properties of Cow Milk, Yoghurt, Kefir, and Soy Milk When Combined with Broccoli Oil: A Preliminary Study

  • Kim, Tae-Jin;Seo, Kun-Ho;Chon, Jung-Whan;Youn, Hye-Young;Kim, Hyeon-Jin;Kim, Young-Seon;Kim, Binn;Jeong, Soo-Yeon;Jeong, Dongkwan;Song, Kwang-Young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40권2호
    • /
    • pp.76-85
    • /
    • 2022
  • Broccoli sprouts are an excellent source of health-promoting phytochemicals, such as glucosinolates, phenols, and vitamins. In this investigation, oil extracted from broccoli was adjusted to various concentrations (control, 1%, 2%, 3%, 4%, and 5%, respectively) and added directly to dairy products (cow milk, yoghurt, and kefir) and non-dairy products (soy milk), and their organoleptic properties assessed.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amount of broccoli oil was increased, the organoleptic properties (texture, color, and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ended to decrease. Cow milk, yoghurt, kefir, and soymilk supple-mented with 1% broccoli oil showed the best organoleptic propertie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fermented products such as yoghurt and kefir with added broccoli oil showed good organoleptic properties.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for the use of broccoli oil in dairy and non-dairy products.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to assess the various physiological active functions of broccoli oil.

적색/원적색광 조사 비율에 따른 3종 배추과 채소 새싹의 Glucosinolate 함량 및 항산화 기능성 평가 (Evaluation of Individual Glucosinolates, Phytochemica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under Various Red to Far-Red Light Ratios in Three Brassica Sprouts)

  • 조정수;이준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5-42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3가지의 배추과 작물의 새싹에서 적색(R)과 원적외선(FR)광에 초점을 맞추어서 glucosinolate(GSL),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함량,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제한된 환경조건에서 5일된 새싹에 3가지의 R/FR비율을 2일동안 24시간 노출시켜 식물화학물질과 항산화활성을 대조군[형광등, R:B(8:2), 암조건]과 비교하였다. 총 GSL 함량은 각 처리 기간 동안 3가지의 작물 중 브로콜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브로콜리 새싹에서 R/FR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총 GSL 함량이 감소하는 반면 배추와 무의 새싹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배추 및 브로콜리의 주요 GSL인 progointrin은 대조군에 비해 R/FR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최대 38%, 69%까지 감소하였다. 3가지 배추과 새싹에서 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비타민 C의 함량 모두 암조건에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및 항산화 활성은 3가지 배추과 새싹에서 R/FR 비율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와 비타민 C 함량은 작물 간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FR의 보광에 따라 배추과 새싹의 기능적 품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콜라비 새싹 추출물과 무순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Kohlrabi and Radish Sprout Extracts)

  • 이영준;김재환;오지원;신기해;이종석;조주현;박진주;임정호;이옥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31-537
    • /
    • 2014
  • 십자화과 채소인 콜라비 및 무에는 glucosinolate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새싹 채소의 경우 성숙한 채소보다 glucosinolate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새싹채소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아직 새싹채소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십자화과 채소인 콜라비 새싹 추출물(KSE) 및 무순 추출물(RSE)의 total carotenoid 및 glucosinolate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 및 anti-adipogenic 활성을 평가하였다. KSE의 total carotenoid 및 glucosinolate 함량은 각각 $39.50{\pm}0.67$$2.65{\pm}0.02mg/g$이며, RSE의 total carotenoid 및 glucosinolate 함량은 각각 $76.73{\pm}2.75$$8.13{\pm}0.54mg/g$으로 KSE보다 높았다. 다양한 항산화 평가 모델(DPPH, ABTS, FRAP, reducing power)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KSE 및 RSE는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서 KSE 및 RSE의 처리는 지방세포의 지방축적 및 ROS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KSE 및 RSE의 주요 성분으로 알려진 ${\beta}$-carotene, glucoraphanin 및 glucoraphenin의 처리는 지방 축적 억제 및 ROS 생성 저감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beta}$-carotene, glucoraphanin 및 glucoraphenin이 풍부한 RSE 및 KSE는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능을 갖으며, 천연물 유래 항비만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different sulfur ion 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and light source on glucosinolate contents in kale sprouts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 Park, Ye-Jin;Chun, Jin-Hyuk;Woo, Hyunnyung;Maruyama-Nakashita, Akiko;Kim, Sun-Ju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2호
    • /
    • pp.261-271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glucosinolates (GSLs) in kale sprouts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TBC') according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lfur ions in sprout's nutrient solutions (0.0, 0.5, 1.0, and 2.0 mM) and to different light sources [Fluorescent lamp, Red, Blue, and Mix (R+B) LED]. Kale sprouts were cultivated in a growth chamber for 13 days in sulfur solutions. Kale sprouts were treated with fluorescent lamp and LED light sources for 5 days, from eight days after sowing to harvest. Amount of seven types of GSLs (progoitrin, sinigrin, 4-hydroxyglucobrassicin, glucobrassicin, 4-methoxyglucobrassicin, gluconasturtiin, and neoglucobrassicin) were measured in kale sprouts after harvest. The total GSL content was influenced by different sulfur solution concentration, and it was the highest at S 0.5 mM ($172.54{\mu}mol{\cdot}g^{-1}DW$) and the lowest at S 2.0 mM ($163.09{\mu}mol{\cdot}g^{-1}DW$). The GSL content was influenced by different light source, and it was the highest with Red LED ($159.23{\mu}mol{\cdot}g^{-1}DW$) and the lowest with Blue LED ($147.57{\mu}mol{\cdot}g^{-1}DW$). As the sulfur solution concentration increased under all light source, progoitrin and sinigrin contents tended to decrease while glucobrassicin content showed an upward tendency for all of the light sources. The content of glucobrassicin was higher than that of progitrin when treated with sulfur solutions for all LED light sources. Sinigrin, which has excellent anti-cancer effects, showed the highest rate (92.2%) among all the GSLs, under all of the light sources.

수확 전 LED, 형광등, UV-C 조사가 로켓 샐러드 내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 Harvest Light Treatments (LEDs, Fluorescent Lamp, UV-C) on Glucosinolate Contents in Rocket Salad (Eruca sativa))

  • 이혜진;천진혁;김선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178-187
    • /
    • 2017
  • 인공 광원에 따른 rocketsalad(Eruca sativa L.) 내 GSL 함량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광원의 종류는 자연광(Control-1 또는 2), Red LED, Blue LED, Mix(R+B) LED(Red LED+Blue LED), White LED, Fluorescent Lamp(FL), Fluorescent Lamp+UV-C(FL+UV-C). 실험은 식물 생장기 대수 제한 때문에 [실험 I;Control-1, Red LED, Blue LED, Mix(R+B) LED]과 [실험 II;Control-2, White LED, FL, FL+UV-C]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Red LED와 FL에서 rocket salad의 잎의 길이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Red LED와 FL이 rocketsalad의 성장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Rocketsalad로부터 총 7종류의 GSLs(glucoraphanin, diglucothiobeinin, glucoerucin, glucobrassicin, dimeric 4-mercaptobutyl GSL, 4-methoxy glucobrassicin, gluconasturtiin)를 분리 및 동정하였다. [실험 I]에서 총 GSL 함량은 Red LED(4.30)에서 가장 높고 Blue LED($0.17{\mu}mol{\cdot}g^{-1}\;DW$)에서 가장 낮았다. [실험 II]에서 총 GSL 함량은 FL(13.45)에서 가장 높고 FL+UV-C($0.39{\mu}mol{\cdot}g^{-1}\;DW$)에서 가장 낮았다. 특히 Rocket salad의 강한 향과 매운 맛을 돋아주는 dimeric 4-mercaptobutyl 함량은 [실험 II]에서 Control-2에 비해 FL과 White LED가 각각 14.9, 3.2배 증가했다. 따라서 Red LED, White LED, FL은 rocket salad의 GSL 축적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supplementation on anti-nutritional factor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fermented total mixed ration containing cottonseed meal or rapeseed meal

  • Yusuf, Hassan Ali;Piao, Minyu;Ma, Tao;Huo, Ruiying;Tu, Ya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4호
    • /
    • pp.556-566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supplementation level of lactic acid bacteria (LAB;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acillus clausii), yeast (Saccharomyces cariocanus and Wickerhamomyces anomalus) for degrading free gossypol and glucosinolate in the fermented total mixed ration (TMR) containing cottonseed meal (CSM) or rapeseed meal (RSM), to improv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se protein sources. Methods: For LAB, L. plantarum or B. clausii was inoculated at 1.0×108, 1.0×109, 1.0×1010, and 1.0×1011 colony-forming unit (CFU)/kg dry matter (DM), respectively. For yeast, S. cariocanus or W. anomalus was inoculated at 5×106, 5×107, 5×108, and 5×109 CFU/kg DM, respectively. The TMR had 50% moisture and was incubated at 30℃ for 48 h. After fermentation,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the contents of free gossypol and glucosinolate were determine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free gossypol content was reduced (p<0.05), while that of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p<0.05) in the TMR containing CSM inoculated by B. clausii (1×109 CFU/kg DM) or S. cariocanus (5×109 CFU/kg DM). Similarly, the content of glucosinolate was lowered (p<0.05) and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p<0.05) in TMR containing RSM inoculated with B. clausii (1×1010 CFU/kg DM) or S. cariocanus (5×109 CFU/g DM).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inclusion of B. clausii with 1.0×109 or 1.0×1010 CFU/kg DM, or S. cariocanus (5×109 CFU/kg DM) to TMR containing CSM/RSM improved the nutritional value and decreased the contents of anti-nutritional factors.

생장단계에 따른 케일 내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Effect of Developmental Stages on Glucosinolate Contents in Kale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 이헌학;양시창;이민기;류동기;박수형;정선옥;박상언;임용표;김선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177-185
    • /
    • 2015
  • 케일 내 유용성분인 GSL 함량은 작물의 재배방법과 기후조건, 영양상태, 유전적 특성 등 재배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생장단계에 따른 케일(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내 GSL 함량을 조사하였다. 케일 품종은 'Manchoo Collard', 'TBC' 두 품종으로 재배기간은 2012년 2월 20일부터 동년 7월 3일까지 133일이었으며 수확시기는 파종 후 35, 63, 91, 105, 119, 133일(days after sowing, DAS)이었다. 'TBC'에서는 총 10종의 GSL(progoitrin, sinigrin, glucoalyssin, gluconapin, glucoiberverin, 4-hydroxyglucobrassicin, glucobrassicin, 4-methoxyglucobrassicin, gluconasturtiin, neoglucobrassicin)가 분리 및 동정되었으나 'Manchoo Collard'에서는 glucoiberverin를 제외한 9종의 GSL가 분리 및 동정되었다. 'Manchoo Collard'의 GSL 함량은 133DAS에서(평균 $6.12{\mu}mol{\cdot}g^{-1}$ DW)가장 높았고, 35DAS($1.16{\mu}mol{\cdot}g^{-1}$ DW)에서 가장 낮았다. 'TBC'의 GSL 함량은 91DAS(평균 $13.41{\mu}mol{\cdot}g^{-1}$ DW)에서 가장 높았고, 35DAS($0.31{\mu}mol{\cdot}g^{-1}$ DW)에서 가장 낮았다. 총 GSL 함량 중 sinigrin이 'Manchoo Collard'(133DAS)에서 57%, 'TBC'(91DAS)에서 44%로 가장 높았다. 항암효과가 뛰어난 crambene, allyl isothiocynate, indole-3-cabinol, phenethyl isothiocyanate의 전구체인 progoitrin, sinigrin, glucobrassicin, gluconasturtiin은 'Manchoo Collard'와 'TBC'의 총 GSL 함량 중 각각 94, 78%로 나타나 두 품종 모두 항암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유묘기 양배추류에서 메틸자스모네이트에 의한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변화 및 전사체 발현 분석 (Effect of methyl jasmonate on the glucosinolate contents and whole genome expression in Brassica oleracea)

  • 이정여;민성란;정재은;김혜란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189-20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묘기 TO1000DH3와 Early big에서 MeJA 처리에 의해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변화 및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mu}M$ 농도의 MeJA를 처리하여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을 분석한 결과, 글루코시놀레이트 총 함량이 처리 전보다 TO1000DH3에서 1.3~1.5배, Early big에서 1.3 ~ 3.8배 증가하였다. 알리패틱 글루코시놀레이트인 progoitrin과 gluconapin은 TO1000DH3에서만 검출되었으며, neoglucobrassicin 성분의 함량 변화가 MeJA 처리 48시간 후 TO1000DH3와 Early big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었다. 전사체 분석을 통해 TO1000DH3에서는 stress나 defense 반응에 관여하거나, 생장과 관련된 전사체가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Early big에서는 nucleoside 또는 ATP 생합성 관련 전사체가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eJA를 처리함에 따라 발현이 2배 이상 변한 전사체를 TO1000DH3에서 12,020개, Early big에서 13,510개를 선발하여 GO 분석한 결과 stimulus, chemical에 반응하는 전사체의 발현이 공통적으로 증가하였고, single-organism 및 ribosome 합성 관련 전사체의 발현이 공통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glucobrassicin, neoglucobrassicin 함량과 연관되어 발현이 증가한 인돌릭 글루코시놀레이트 생합성 관련 전사체의 발현이 모두 증가하였다 (MYB34 (Bo7g098110), IGMT2 (Bo8g070650), CYP81D1 (Bo6g056440), CYP81D4 (Bo7g118500), CYP81F4 (Bo1g004730, Bo01007s020), CYP81G1 (Bo4g154660), CYP83B1 (Bo8g024390) 및 CYP91A2 (Bo1g003710)). 글루코시놀레이트 생합성 경로 관련 유전자를 대표하는 전사체 104개를 선발하여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transcription factor에 속하는 MYB28, MYB51의 발현은 MeJA 처리 전에 비해 처리 후 발현양이 감소하였지만, 대부분의 전사체의 발현은 MeJA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MeJA 처리에 의해 AOP3 (Bo9g006220, Bo9g006240), TGG1 (Bo14804s010)는 TO1000DH3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였고, Dof1.1 (Bo5g008360), UGT74C1 (Bo4g177540), GSL-OH (Bo4g173560, Bo4g173550, Bo4g173530)는 Early big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였다. MeJA 처리 전 두 계통에서 발현이 가장 높은 글루코시놀레이트 생합성 관련 유전자는 GSTU20이었고, MeJA 처리에 의해 12시간 후TO1000DH3에서 CYP79B2 (Bo7g118840), Early big에서는 CYP79B3 (Bo4g149550)의 발현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