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ographic map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29초

빈도비 모델과 GIS을 이용한 침수 취약 지역 예측 기법 개발 및 검증 (Predictive Flooded Area Susceptibility and Verification Using GIS and Frequency Ratio)

  • 이명진;강정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6-10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빈도비 모델(frequency ratio model)을 이용하여 부산 남구 및 연제구 지역의 침수 지역 예측 기법을 적용하여 취약성도를 작성 및 검증하고자 한다. 침수 피해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지질도, 지형도(경사도, 표고, 곡률 및 하천), 토양도(토양 배수, 유효토심 및 토성), 임상도(경급, 영급, 소밀도 및 수종) 및 토지이용(불투수층 및 그린인프라) 등의 자료를 선정하여 GIS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2009년 160개소의 침수지역 중 50%(80개소)는 침수 관련 항목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활용되었고, 50%(80개소)는 작성된 검증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침수 관련 항목들간의 상관관계는 불투수층 지역에서는 교통지역이 가장 높았으며, 경사도 $11{\sim}15^{\circ}$및 표고 15m 등에서 높았다. 분석된 상관관계를 GIS 중첩분석을 수행하여 침수 취약성도를 작성하였다. 계산된 침수 취약성은 기존 침수 관련 항목들 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설명하고 표현하여 취약성 지수가 높을수록 향후 침수피해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침수 취약성도는 관련된 재해를 줄이고, 토지이용 및 건설과 같은 도시계획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지형요소를 이용한 홍수범람해석 모형의 비교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Topographic Feature)

  • 문창건;이정식;조성근;신사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69-7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소하천 유역에 대한 홍수범람해석 모형을 비교하는 것이다. 검청천을 대상으로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와 범람해석을 위한 HEC-GeoRAS, RAS Mapper, RiverCAD 모형을 적용하여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였다. 실측 강우량과 빈도별 홍수량을 적용하여 3가지 모형에 따른 홍수범람해석을 모의하였으며, 해석결과와 당시 조사된 침수흔적도를 비교하고 각 모형들의 빈도별, 침수심별에 따라 홍수범람면적을 비교하였다. 실측 강우량을 적용하여 해석된 홍수범람면적은 HEC-GeoRAS 모형의 결과가 침수흔적도와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빈도별 설계홍수량을 적용하여 해석된 범람면적은 RAS Mapper 모형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3가지 모형의 전체 범람면적 차이가 10% 이내로 비교적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침수심별 범람면적을 비교한 결과 침수심 2.0 m 이하 구간에서는 3가지 모형의 결과가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침수심 2.0 m 이상의 구간에서 RiverCAD 모형의 범람면적이 비교적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선시대 파주목 관아의 위치 추정과 공간구성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Estim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Paju Mok Government Office of Joseon Dynasty)

  • 백종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98-104
    • /
    • 2019
  • 파주목은 경기 서부의 행정 및 교통의 중심지로서 조선시대 지방행정처로, 왕의 능행 시 행궁의 역할을 하던 장소이다. 조선시대 한양과 의주를 잇는 의주로에 인접한 파주목 관아는 경기 북부 지역의 중요 장소로서 왕이 황해북도 지역에 위치한 제릉과 후릉, 파주 영릉과 장릉을 능행할 때 머물던 장소이다. 파주목 관아는 1900년대 이전까지 유지되어 오다 일제강점기 이후 관아 건물이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행궁으로서의 기능이 훼손된 것으로 보이며, 한국 전쟁에 의해 대부분의 건축물이 사라지며 현재는 파주목 관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소실된 파주목 관아의 복원을 위해서는 파주목 관아가 위치한 위치와 주요 건축물 등 관아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파주목 관아와 관련된 고문헌과 고서화의 조사 및 분석, 일제강점기 시절 지형도와 지적도, 토지조사부 등을 분석하여 파주목 관아의 위치를 추정하고 공간구성, 규모 등을 밝혀낸다면 파주목 관아 복원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치지도 지형지물 분류체계 개선 및 자료사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ature Classification and Data Dictionary of Digital Map)

  • 조우석;이동구;윤영보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3호
    • /
    • pp.455-468
    • /
    • 2002
  •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국립지리원은 1980년대 중반부터 지도 자동제작을 추진하였으며, 1995년부터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다양한 수치지도 제작사업을 본격적으로 착수하였다 현재 국립지리원은 1:1,000 1:5,000 1:25,000 축척의 수치지형도를 제작 수정하고 있으며, 짧은 기간에 수치지도 제작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관련기술 및 경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수정 및 보완해야 할 사항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수치지도를 제작하면서 발생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제작자와 사용자에게 수치지도가 지니고 있는 정보의 특성을 명확하게 제공하고 수치지도가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다양한 종류의 수치지도들을 연계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치지도 자료사전(Data Dictionary)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수행되었던 연구를 분석하고, 기존 수치지도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축척 수치지도에 대한 새로운 지형지물 분류체계를 제안하고 축척에 따라 지형지물에 대한 자료사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축척별 수치지도 자료사전을 이용하여 제작된 수치지도는 다양한 종류의 수치지도와 연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MOTE SENSING AND GIS INTEGRATION FOR HOUSE MANAGEMENT

  • Wu, Mu-Lin;Wang, Yu-Ming;Wong, Deng-Ching;Chiou, Fu-She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551-554
    • /
    • 2006
  • House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in water resource protection in order to provide sustainable drinking water for about four millions population in northern Taiwan. House management can be a simple job that can be done without any ingredient of remote sensing 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Remote sensing and GIS integration for house management can provide more efficient management prescription when land use enforcement, soil and water conservation, sewage management, garbage collection, and reforestation have to be managed simultaneousl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integrate remote sensing and GIS to manage houses in a water resource protection district. More than four thousand houses have been surveyed and created as a house data base. Site map of every single house and very detail information consisting of address, ownership, date of creation, building materials, acreages floor by floor, parcel information, and types of house condition. Some houses have their photos in different directions. One house has its own card consists these information and these attributes were created into a house data base. Site maps of all houses were created with the same coordinates system as parcel maps, topographic maps, sewage maps, and city planning maps. Visual Basic.NET, Visual C#.NET have been implemented to develop computer programs for house information inquiry and maps overlay among house maps and other GIS map layers. Remote sensing techniques have been implemented to generate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a single house in the past 15 years. Digital orthophoto maps at a scale of 1:5000 overlay with house site maps are very useful in determination of a house was there or not for a given year. Satellite images if their resolutions good enough are also very useful in this type of daily government operations. The developed house management systems can work with commercial GIS software such as ArcView and ArcPad. Remote sensing provided image information of a single house whether it was there or not in a given year. GIS provided overlay and inquiry functions to automatically extract attributes of a given house by ownership, address, and so on when certain house management prescriptions have to be made by government agency. File format is the key component that makes remote sensing and GIS integration smoothly. The developed house management systems are user friendly and can be modified to meet needs encountered in a single task of a government technician.

  • PDF

ADS40영상 사진기준점측량 정확도에 관한 연구 (Accuracy of Photo Control Points Surveying in ADS40 Image)

  • 이준혁;김경종;신진규;이병길;이영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91-200
    • /
    • 2009
  • 항공디지털사진카메라의 기술개발 및 발전에 따라 국외에서는 2000년 이후 도입되었으며, 국내에서도 2006년 이후 선형센서와 면형센서 항공촬영용 디지털카메라를 도입하여 2008년부터 국가기본도제작 및 수정/갱신사업에 기존 아날로그방식 사진기준점측량 기준점수량 및 배치의 작업규정을 적용하여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 도입된 선형센서방식 항공디지털카메라 ADS40영상에 대하여 사진기준점측량을 수행하여 기준점수량 및 배치에 따른 성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RMSE가 기준점 평면은 ${\pm}0.068m$, ${\pm}0.073m$, ${\pm}0.071m$이고, 높이는 ${\pm}0.041m$, ${\pm}0.055m$, ${\pm}0.041m$이며, 검사점 평면은 ${\pm}0.167m$, ${\pm}0.113m$, ${\pm}0.110m$이고, 높이는 ${\pm}0.128m$, ${\pm}0.086m$, ${\pm}0.081m$로국토지리정보원의 항공사진측량작업내규에서 요구하는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었고, 대축척 수치지형도작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지형(地形)-기후(氣候) 관계식(關係式)에 의한 제주도(濟州道)의 월별(月別) 기온분포(氣溫分布)의 추정(推定) (Estimation of Monthly Temperature Distribution in Cheju Island by Topoclimatological Relationships)

  • 신만용;윤진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40-52
    • /
    • 1992
  • 임업(林業)을 비롯한 산업활동(産業活動)을 효율적(效率的)으로 수행(遂行)하기 위해서는 전문(專門) 기상정보(氣象情報)의 활용(活用)이 필수적(必需的)이다. 본(本) 연구(硏究)는 지형기후(地形氣候) 관계식(關係式)을 이용(利用)한 제주도(濟州道) 전역(全域)의 정밀(精密) 기후(氣候) 추정(推定) 및 표출(表出) 방법(方法)을 개발(開發)하였다. 먼저 도전역(道全域)을 250m 간격(間隔)의 직교격자(直交格子)로 구획(區劃)하고 교차점(交叉點)의 해발고도(海拔高度)를 지형도상(地形圖上)에서 판독(判讀)하여 사방 1km 지역(地域)의 평균(平均) 해발고도(海拔高度) 등(等) 다양(多樣)한 지형인자(地形因子)를 정량화(定量化)하였다. 19개(個)의 기상관측소(氣象觀測所)가 위치(位置)한 단위격자(單位格子)의 지형인자(地形因子) 값과 실제(實際) 월별(月別)로 관측(觀測)된 일최저기온(日最低氣溫)의 월 평균값, 일최고기온(日最高氣溫)의 월 평균값, 그리고 일평균기온(日平均氣溫)의 월 평균값에 대하여 각각(各各) 중회귀분석(重回歸分析)하여 36개(個)의 지형(地形)-기온(氣溫) 관계식(關係式)을 도출(導出)하고 이로부터 미관측(未觀測) 격자(格子)에 대한 추정치(推定値)를 계산하였다. 아울러 이 관계식(關係式)에 의한 월별(月別) 기온별(氣溫別) 격자형(格子型) 기후도(氣候圖)을 작성(作成)하여 도전역(道全域)의 기온분포(氣溫分布)의 예측(豫測) 및 활용(活用)을 손쉽게 하였다.

  • PDF

고해상도 공간영상을 이용한 자연재해 피해조사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velopment of Natural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System using High Resolution Spatial Images)

  • 김태훈;김계현;남기범;심재현;최우정;조명흠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7-6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는 고해상도 영상과 GIS 기술을 활용하여 광역적 자연재해 피해 조사를 위한 피해조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2008년 7월 집중호우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한 경상북도 봉화군으로 선정하였으며, 시스템 시범적용을 위해 대상지역 중 가장 피해가 큰 춘양면 약 $60km^2$을 중심으로 GIS DB를 구축하였다. GIS DB는 춘양면 일대의 피해 전, 후 항공사진 및 위성 영상과 1:5,000 수치지형도, 1:1,300 연속지적도를 편집 가공하였다. 피해조사시스템은 VB.NET 2005와 공간 연산을 위해 ArcObject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개발하였으며, MS-SQL을 사용하여 정보전송 및 동기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세부 프로세스는 피해 전, 후 항공 위성영상을 비교하여 피해지역을 파악하고, 제반 DB와 중첩분석을 통해 해당 피해항목의 피해규모와 피해추정액을 자동으로 산출되도록 하였다. 고해상도 영상기반의 자연재해 피해조사시스템은 광역적 피해지역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피해정보를 소수의 전문 인력을 통해 신속하게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복구예산의 조기편성 및 응급대응책 마련에 효율적이다. 또한 피해정보의 손쉬운 관리와 전산화된 데이터를 통해 피해예방계획 수립에 있어서도 활용 가능 할 것이라 생각되며, 궁극적으로 IT 기반의 유비쿼터스 방재시스템 개발에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추후 더욱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해서 산출된 피해정보의 전자재해대장 연계를 통한 지속적인 방재 DB 구축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불균질.이방성 대수층의 지하수 유동분석에 지구통계기법의 응용 (Application of Geostatistical Methods to Groundwater Flow Analysis in a Heterogeneous Anisotropic Aquifer)

  • 정상용;유인걸;윤명재;권해우;허선희
    • 지질공학
    • /
    • 제9권2호
    • /
    • pp.147-159
    • /
    • 1999
  • 불균질.이방성 대수층에서의 지하수 유동분석을 위하여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지역은 대한광업진흥공사의 수문지질조사 사업지구인 전남 함평군 손불면 일대이며, 이 지역 관정의 표고와 지하수위의 선형회귀분석 결과 상관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크리깅과 코크리깅을 이용하여 작성된 지하수위 등고선도는 산간지역에서 차이가 크고, 서해에 인접한 구릉이나 평지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표고 등 고선도를 기준으로 2개의 지하수위 분포도를 비교해 보면 코크리깅에 의한 것이 정밀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크리깅과 코크리깅에 의해 작성된 지하수위 등고선도에서 손불면의 지하수 유동상태를 검토해보면, 지형이 높은 산간지역에서 서해바다에 인접한 평야지역으로 지하수가 유동하고 있다. 불균질 이방성.대수층에서의 지하수 유동분석에 대한 지구통계학적 기법의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지하수 유동측정기(model 200 $GeoFlo^{R}$)를 이용해서 2개 지하수공내의 유향을 측정한 결과, 측정된 지하수 유향은 정규크리깅과 코크리깅의 지하수위 등고선도에서 추정된 지하수 유향과 대체로 일치하였다.

  • PDF

GIS를 활용한 상세계획 지원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District-level Planning Support System by using GIS)

  • 고준환;주용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1-258
    • /
    • 1998
  • 도시를 관리하고 계획하는 과정은 정보의 수집, 처리, 분석과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지구를 대상으로 하는 상세계획의 경우는, 도시의 물적 환경을 구성하는 기본요소인 대지, 도로, 건축물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 분석함으로써 분석대상 지구의 공간을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공간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상세계획 과정에 있어서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은 현재까지 현황자료의 단순한 주제도 작성에만 활용되고 있을 뿐이다. 공간인식 및 계획과정에서의 분석적 목적에는 아직까지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세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을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상세계획 특성에 따른 도시의 지구(district)레벨의 물적 환경 구성의 기본요소인 건축물, 대지, 도로 등에 대한 현황자료의 데이터베이스 설계 방법론을 제시하고, 공간관계를 이용한 물적 요소간의 위상(topology)을 정의하였다. 아울러 이를 바탕으로 한 상세계획 지원을 위한 공간질의기를 ArcView와 Avenue, Dialog Extension을 이용하여 개발하였고, 이를 사례지역에 적용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공간의사결정 규칙을 활용한 상세계획 지원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보다 효율적 인 시스템으로 상세계획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최신의 지형도의 확보와 지형도와 지적도의 불부합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하겠다. 아울러서 래스터, 네트워크, 이미지, 3차원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