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imes of fermentation

Search Result 1,087, Processing Time 0.138 seconds

강원도 지방의 재래식 메주 발효중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의 변화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nges of Traditional Meju during Fermentation in Kangweondo Area)

  • 유진영;김현규;김왕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08-915
    • /
    • 1998
  • 재래식 메주의 제조 공정을 재현하기 위하여 국산 대두를 사용하여 춘천 지역의 메주 제조 농가에서 메주를 발효시키면서 특성을 조사하였다. 재래식 메주 발효 중에 이화학적, 효소학적 및 미생물의 변화 분석은 산업적으로 메주의 대량 생산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발효 중 환경분석을 한 결과 이 지역의 메주 발효는 $10{\sim}15^{\circ}C,{\;}60{\sim}70%$ RH의 조건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메주의 수분은 초기 59%에서 내부는 19%, 외부는 11%로 감소하여 무게가 73% 감소되었다. pH는 발효 33일에 8.5로 증가하였고 이후 감소하여 발효 70일에는 7.9로 되었다. 수용성 단백질은 초기에 1.47%이던 것이 발효 33일에는 $6.31{\sim}7.34%$로 증가하였고 아미노태 질소는 발효 70일에 내부 770 mg%, 외부 460 mg% 정도로 도달되었으며 메주의 색도는 발효 중 점차로 어두워지며 적색도와 황색도가 감소되는 편이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전분관련효소의 작용은 미미하고 산성 단백 분해 호소력이 강하였고 lipase 활성이 있어 메주 발효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았다. 발효중 미생물의 변화를 보면 메주의 내외 부분에 큰 차이 없이 $10^8{\;}CFU/g$정도가 있으며 내염성 세균의 증식 경향도 유사하여 초기에 $1.51{\times}10^7{\;}CFU/g$인 것이 12일 이후로 $10^8{\;}CFU/g$정도로 유지되었다. 혐기성 균은 초기에 $10^4{\;}CFU/g$ 수준이던 것이 47일 후에 증가하는 추세로 $10^5{\;}CFU/g$ 수준이었다. 효모 및 곰팡이 수는 $10^4{\sim}10^5{\;}CFU/g$정도이었다.

  • PDF

Effect of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on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 Kim, Mi-Jung;Kim, Byong-Ki;Jang, Myung-Soo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2호
    • /
    • pp.159-167
    • /
    • 1996
  • Effect of covering various levels(0, 1, 3, 5 and 7% per Chinese radish weight) of bamboo(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on the surface of Dongchimi was studied in the course of fermenting at 1$0^{\circ}C$ up to 75 days. Physicochemical, microbi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were analyzed at regular intervals of 5 to 7 days during fermentation. Both the degree of pH drop from the initial 6.47~6.54and increase total acid content from the initial 0.004%, with the accumulation of organic acids tended to be more gradual depending upon the amounts of bamboo leaves covered. The increases of total solid content and turbidity were also suppressed in similar patterns, notably after 13 days of fermentation. The growth of total bacteria(1.5$\times$10$^4$cfu/ml, initial)was partly inhibited while that of lactic acid bacteria(1.8$\times$10$^4$cfu/ml, initial)was favorably encouraged by the presence of bamboo leaves.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Dong-chimi covered with 1 and 3% bamboo leaves on showed the higher scores significantly(p<0.05, p<0.01, p<0.001) in overall acceptability till 39 days. But after 61 days, those covered with 3 and 5% bamboo leaves were rather preferable than any other one.

  • PDF

메밀 속성 장 프리믹스 제조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Premix-Type Buckwheat Soksungjang)

  • 이선영;안유진;김지연;송진;최혜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53-758
    • /
    • 2013
  • 메밀 속성 장 프리믹스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소금량(8, 10, 12%)에 따른 품질특성 결과, 대장균 군수는 소금량 10, 12%(21일), 8%(28일) 이후로 검출되지 않았으며, B. subtilis HJ18-4를 starter로 첨가한 군은 발효 7일부터 검출되지 않았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21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후로 완만히 증가하였다. 그 결과, 소금 함량 10%, starter 첨가 시 보다 안전한 발효가 이루어졌다. 가수량(1:1, 1:1.5. 1:1.8)의 따른 품질특성 결과, 총균수와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가수량이 적을수록 높았으며, 1:1 혼합(35일)일 때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169.5mg%로 가장 높았고, 발효 28일 이후 대장균 군이 검출되지 않았다. 용기별(항아리, 유리, 플라스틱)의 품질특성 결과, 총균수와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유리 용기 대비 플라스틱과 항아리 용기가 높았으며, 대장균군도 보다 빨리 감소하였다. Batch size(1.25 kg, 2.5 kg)를 달리하여 제조된 메밀 속성 장의 품질특성 결과, 총균수와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batch size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으며, 대장균 군 측정 결과, 14일째 2.5 kg($3.00{\times}10^2$ CFU/g), 1.25g ($1.25{\times}10^3$ CFU/g)으로 나타났다. 메밀 속성 장 프리믹스의 최적 조건은 가수량 1:1, 소금의 양 10%, B. subtilis HJ-18-4를 starter로 첨가, 항아리 및 플라스틱 용기는 3주, 유리 용기는 4주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발효 천마의 기능성 물질 함량 변화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 김미현;김중규;최재홍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84-691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by Phellinus linteus repeated thrice ($3^{rd}$ FGP) showed mor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a non-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NFGP), and once 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1^{st}$ FGP) at a concentration of 500 and 1,000 ppm.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3^{rd}$ FGP was similar to that of BHA at a dose of 1,000 ppm. Moreover,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3^{rd}$ FGP increased compared to NFGP and $1^{st}$ FGP at a concentration of 31.25 ppm.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as fermentation progressed. Ergothioneine content was increased more than 8 times in the $1^{st}$ FGP, 3 times in the $3^{rd}$ FGP, respectively than NFGP.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 contents of G. elata Blume we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fermentation number.

두아 청국장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ua-Chungkukjang)

  • 박석규;유차열;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71-1276
    • /
    • 2009
  • 종래의 전통청국장 제조방법과는 달리 원료 콩을 수침하여 균일하게 발아시켜 증자한 다음, $40^{\circ}C$에서 발효를 행한 두아청국장의 이화학적 성분 등을 검토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전통청국장 및 두아청국장 모두 발효 10 시간째까지는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부터 약간 감소하였다. 총 질소함량은 전통청국장 및 두아청국장 모두 서서히 증가하여 발효 40 시간째에 각각 약 3,500 mg%과 3,700 mg%를 나타내었으며, 수용성 질소함량은 750 mg%와 1,800 mg%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발효 10시간 이후로는 아주 완만하게 증가하여 발효 40시간째에 345 mg% 및 342 mg%를 나타내었다.$\beta$-glucosidase 활성은 전통청국장에서 발효 10, 20, 30 및 40 시간째에 각각 125, 178, 205 및 214 units를 나타내었으나 두아청국장은 193, 223, 235 및 248 units를 나타내어 대조구에 비하여 $1.2{\sim}1.5$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청국장 및 두아청국장의 총 isoflavone함량은 발효 10시간째에 각각 $101.44{\mu}g$/g 및 $365.92{\mu}g$/g, 40 시간째에는 $225.98{\mu}g$/g 및 $441.37{\mu}g$/g이 검출되어 두아청국장의 isoflavone함량이 전통청국장 보다 3.5배$\sim$약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nthocyanin 함량은 발효 40 시간째에 대조구인 전통청국장에서는 5.0 mg/g, 두아청국장에서는 6.9 mg/g이 검출되었다.

복숭아주 발효시 이화학적 특성변화와 한외여과에 의한 품질 향상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Fermentation of Peach Wine and Quality Improvement by Ultrafiltration)

  • 정재호;목철균;임상빈;박영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06-512
    • /
    • 2003
  • 복숭아 착즙액의 당도를 24$^{\circ}$Brix로 조절하여 $25^{\circ}C$에서 2주간 발효하여 제조한 후 15$^{\circ}C$에서 14주간 숙성 과정 중 복숭아주의 이화학적 성분 및 미생물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한외여과 후의 복숭아주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총 세균수는 발효 초기 2.8$\times$$10^2$ CFU/mL에서 2주간의 발효 후에는 2.4$\times$$10^{7}$ CFU/mL로 증가한 후 숙성과정을 거친 후에는 7.0$\times$$10^3$ CFU/mL로 다시 감소하였다. 효모의 경우에는 발효 초기 3.4$\times$$10^2$ CFU/mL에서 발효 후에는 2.4$\times$$10^{7}$ CFU/mL로 증가한 후, 숙성과정을 거친 후에는 4.0$\times$$10^4$ CFU/mL로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탁도, 총당, 환원당, 고형물 함량과 b값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산도, 알코올 함량, L값과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발효가 완료된 후의 산도는 0.41%, 알코올 함량은 8.2%의 값을 보였다. 숙성과정 중에는 알코올 함량이 증가한 반면 환원당 함량은 감소하였다. 복숭아주를 0.45 $\mu\textrm{m}$ nitrocellulose 미세여과막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재질과 공경이 서로 다른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한외여과한 결과 Biomax 100K 막이 초기 flux가 79 liter/$m^2$/h(LMH)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 flux도 가장 우수하여 한외여과공정의 최적 한외여과막으로 선정하였다. 한외여과에 의해 복숭아주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완벽하게 제거되었으며 탁도와 알코올 함량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그 이외의 이화학적 특성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복숭아주를 3$0^{\circ}C$에서 12주간 저장하였을 경우 저장기간동안 미생물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이화학적 특성도 변화하지 않았다.

대체염을 이용한 저 나트륨 김치의 발효 특성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Low-Sodium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 유광원;황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53-76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체염을 사용하여 제조한 김치의 숙성과정 중 발효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저 나트륨 김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저염 김치를 제조하고자 상업용 소금(S-1: 한주소금, S-2: 심층수염, S-3: 함초소금, S-4: 구운소금, S-5: 죽염)과 대체염(CS-17)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를 $10^{\circ}C$에서 15일간 발효 숙성하면서 pH 및 적정 산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들의 실험에서 대체염(CS-17)과 함초소금을 사용한 김치의 경우는 다른 소금을 사용한 김치에 비하여 pH의 저하가 완만하였으며, 특히 대체염을 사용한 김치가 다른 5가지의 염에 비하여 15일 후의 적정산도가 가장 낮아 숙성이 다소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대조구로써 일반염(한주소금)김치와 대체염(CS-17)을 사용한 저 나트륨 김치를 $10^{\circ}C$에서 10일간 숙성 시 발효특성을 분석한 결과, pH의 변화에서 대체염 김치는 일반염 김치와 유사한 3.98을 보였으나, 적정산도에서는 일반염 김치의 1.15% 보다 다소 낮은 0.99%를 보였다. 이는 대체염에 의한 완충작용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숙성기간 동안의 일반염 김치는 2.17~2.5%의 염도 변화를 보인 반면, 대체염 CS-17을 첨가한 김치는 1.72~1.99%의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체염 김치는 Na 함량이 562.5 mg%로 일반염 김치의 879.0 mg%에 비하여 64% 수준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염은 $Leuconostoc$속은 발효 6일차에 최대($1.5{\times}10^8$ cfu/g)에 이르렀으며, 일반염은 생육이 다소 저조하여 7일차에 $2.3{\times}10^7$ cfu/g 으로 최대가 되었다. $Leuconostoc$속의 경우에는 대체염은 8일차에 $3.0{\times}10^8$ cfu/g 최대에 이르렀고, 일반염 김치는 대체염보다 생육이 저조하였으나, 8일차에 최대 $6.0{\times}10^7$ cfu/g에 이르렀다. 대체염 CS-17을 이용한 김치는 저 Na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완충능을 가지고 있어 김치 과잉 숙성에 의한 산패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haracterization of Alcohol Fermentation and Segregation of Protoplast Fusan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Pichia stipitis

  • YOON, GEE-SUN;TAE-SIK LEE;CHUL KIM;JIN-HO SEO;YEON-WOO R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86-291
    • /
    • 1996
  •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gregation and alcohol fermentation of intergeneric fusants. The protoplast fusion of both Pichia stipitis CBS 5776 and Saccharomycess cerevisiae STV 89 was carried out. The fusion frequency was $5\times10^{-8}$ and among fusants selected, a fusant F5 showed the best results in ethanol production by sucrose and xylose fermentations. The performance of xylose fermentation by this fusant was better than that of P. stipitis CBS 5776 and fusant F5 exhibited sucrose fermentation patterns intermediate to the two parent strains. The fusant F5 was segregated into a pair of parental strains during the several culture passages. In the average, 91$%$ of colonies had a similar characteristics of P. stipitis while 7$%$ of colonies resembled S. cerevisiae. Only 2$%$ of colonies h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fusants. At the sixth passage, all segregants resembled P. stipiti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led to an integration of S. cerevisiae genes, rather than whole chromosomes, within the entire genome of P. stipitis.

  • PDF

Improvement of a Fungal Strain by Repeated and Sequential Mutagenesis and Optimization of Solid-State Fermentation for the Hyper-Production of Raw-Starch-Digesting Enzyme

  • Vu, Van Hanh;Pham, Tuan Anh;Kim, Ke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718-726
    • /
    • 2010
  • A selected fungal strain, for production of the raw-starchdigesting enzyme by solid-state fermentation, was improved by two repeated sequential exposures to ${\gamma}$-irradiation of $Co^{60}$, ultraviolet, and four repeated treatments with Nmethyl-N'-nitrosoguanidine. The mutant strain Aspergillus sp. XN15 was chosen after a rigorous screening process, with its production of the raw-starch-digesting enzyme being twice that of usual wild varieties cultured under preoptimized conditions and in an unsupplemented medium. After 17 successive subculturings, the enzyme production of the mutant was stabl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the enzyme by solid-state fermentation, using wheat bran as the substrate, were accomplished for the mutant Aspergillus sp. XN15. With the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and a solid medium supplemented with nitrogen sources of 1% urea and 1% $NH_4NO_3$, 2.5 mM $CoSO_4$, 0.05% (v/w) Tween 80, and 1% glucose, the mutant Aspergillus sp. XN15 produced the raw-starch-digesting enzyme in quantities 19.4 times greater than a typical wild variety. Finally, XN15, through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of a raw rice corn starch slurry, produced a high level of ethanol with $Y_{p/s}$ of 0.47 g/g.

Ethanol Production from Rice Winery Waste - Rice Wine Cake by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Without Cooking

  • Vu, Van Hanh;Kim, Ke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0호
    • /
    • pp.1161-1168
    • /
    • 2009
  • Ethanol production by the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SSF) of low-value rice wine cake (RWC) without cooking was investigated. RWC is the filtered solid waste of fermented rice wine mash and contains 53% raw starch. For the SSF, the RWC slurry was mixed with the raw-starch-digesting enzyme of Rhizopus sp. and yeast, where the yeast strain was selected from 300 strains and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KV25. The highest efficiency (94%) of ethanol production was achieved when the uncooked RWC slurry contained 23.03% starch. The optimal SSF conditions were determined as 1.125 units of the raw-starch-digesting enzyme per gram of RWC, a fermentation temperature of $30^{\circ}C$, slurry pH of 4.5, 36-h-old seeding culture, initial yeast cell number of $2{\times}10^7$ per ml of slurry, 17 mM of urea as the nitrogen additive, 0.25 mM of $Cu^{2+}$ as the metal ion additive, and a fermentation time of 90 h. Under these optimal conditions, the ethanol production resulting from the SSF of the uncooked RWC slurry was improved to 16.8% (v/v) from 15.1% (v/v) of pre-optim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