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to-go

검색결과 1,612건 처리시간 0.033초

일어서서 걷기 검사 시 회전 방향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rection to be Used for the Timed Up and Go Test on Walking Time in Stroke Patients)

  • 이건;조철훈;임경진;이주현;윤규리;우영근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19
    • /
    • 2016
  • Background: In the stroke patien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emiplegic gait, turning direction of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influences turning tim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walking response to turning directions in stroke patients. Objects: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walking time while turning direction in hemiplegic patients depending on balance ability measured by Berg Balance Scale. Methods: A group of forty-five subjects with stroke (Berg Balance Scale score${\geq}46$ were twenty-eight, Berg Balance Scale score${\leq}45$ were seventee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the Timed Up and Go test. Testing indications included two directions for turning in each subject. These indications were for turning toward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in stroke patients. The duration of total analysis duration, sit to stand phase, stand to sit phase, mid-turning phase, and end turning phase were recorded.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in the group that are below and above 45 points of Berg Balance Scale score.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alpha}=.05$.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time in the analysis duration and end turning phase duration while subjects were turned the unaffected side in stroke patients that presented a Berg Balance Scale score${\leq}45$ (p<.05). However, the comparison between the affected side and the unaffected side in the stroke patients with Berg Balance Scale score${\geq}46$,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easured parameters. Conclusion: This finding should be suggested in the specific definition of turning direction for evaluation with Timed Up and Go test in the Berg Balance Scale score${\leq}45$, and other intervention for hemiplegic patients need to be suggested the direction of turning during walking training program.

An Efficient Functional Analysis Method for Micro-array Data Using Gene Ontology

  • Hong, Dong-Wan;Lee, Jong-Keun;Park, Sung-Soo;Hong, Sang-Kyoon;Yoon, Jee-He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3권1호
    • /
    • pp.38-42
    • /
    • 2007
  • Microarray data includes tens of thousands of gene expressions simultaneously, so it can be effectively used in identifying the phenotypes of diseases. However, the retrieval of functional information from a large corpus of gene expression data is still a time-consuming task.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for identifying functional categories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from a micro-array experiment by using Gene Ontology (GO). Our method is as follows: (1) The expression data set is first filtered to include only genes with mean expression values that differ by at least 3-fold between the two groups. (2) The genes are then ranked based on the t-statistics. The 100 most highly ranked genes are selected as informative genes. (3) The t-value of each informative gene is imposed as a score on the associated GO terms. High-scoring GO terms are then listed with their associated genes and represent the functional category information of the micro-array experiment. A system called HMDA (Hallym Micro-array Data analysis) is implemented on publicly available micro-array data sets and validated. Our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e original analysis.

동영상을 이용한 근력 강화 운동이 허약 여성노인의 악력, 균형, 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Video Strength Exercise on Grip Strength, Balance, TUG in the Frail Elderly Women)

  • 이사겸;박성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9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s of a video strength exercise on grip strength, balance, timed up and go in the frail elderly women. METHODS: Subjects were thirty frail elderly people selected by the screening tool and they were divided into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The video strength exercise was carried out for three time a week for 12 weeks. Data was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between exercise and control group and paired t-test between before and after. RESULT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ercise and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between before and after in exercise group. The grip strength and one-leg stand with eyes open were significant improved and timed up and go was significant decrease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video strength exercise for the frail elderly was very effective on improving grip strength and one-leg stand and timed up and go.

A Maximum Power Control of IPMSM with Real-time Parameter Identification

  • Jun, Hyunwoo;Ahn, Hanwoong;Lee, Hyungwoo;Go, Sungchul;Lee, Ju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10-116
    • /
    • 2017
  • This paper proposed a new real-time parameter tracking algorithm. Unlike the convenience algorithms, the proposed real-time parameter tracking algorithm can estimate parameters through three-phase voltage and electric current without coordination transformation, and does not need information on magnetic flux. Therefore, it can estimate parameters regardless of the change according to operation point and cross-saturation effect. In addition, as the quasi-real-time parameter tracking technique can estimate parameters through the four fundamental arithmetic operations instead of complicated algorithms such as numerical value analysis technique and observer design, it can be applied to low-performance DSP. In this paper, a new real-time parameter tracking algorithm is derived from three phase equation.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e proposed inductance estimation technique is verified by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동시환승(Timed-Transfer) 버스시스템 (Timed-Transfer of Buses)

  • 고승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05-115
    • /
    • 1995
  • This paper deals with an operation concept of "time-transfer of buses", in which buses arrive a transfer center at the same time and allow passengers to transfer to other bus lines, so that passengerscan go anywhere all the timed-transfere buses operate with only one transfer. This timed-transfer bus system is known as an efficient operating technique which can be adopted in an area with sparsely distrubuted bus demand. A model of timed-transfer is estabilished in terms of vaious factors such as the expected(or average) arrival time, distribution of arrival time, timed-transfer cycle, shceduled departure time, etc. It is assumed that the objective of timed-transfer bus system is to minimize the total transfer waiting time. The optimal schedualed arrival time or buffer time(time required to arrive ealy in consideration of delay) is analyzed for a general case and various speicial cases. It was found that the optiaml buffer time is an inverse funcion of the timed-transfer cycl and increases with the cycle time, assumin g that there is a fixed scheduled departure time at the transfer cetner regardless of whether one or more buses fail to arrive before the scheduled departure time. If buses are to wait uhtil all the buses arrive at the transfer center, that is, the transfer departure time is vairable, the optimal scheduled arrival times can be obtained by a mathmatical programming.

  • PDF

이산 시간 영역 해석에 기반한 벅 AC/DC LED 구동기의 슬로프 보상 설계 (Slope Compensation Design of Buck AC/DC LED Driver Based on Discrete-Time Domain Analysis)

  • 김만고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07-214
    • /
    • 2019
  • In this study, discrete-time domain analysis is proposed to investigate the input current of a buck AC/DC light-emitting diode (LED) driver. The buck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can operate in both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DCM) and continuous conduction mode (CCM). Two discontinuous and two continuous conduction operating modes are possible depending on which event terminates the conduction of the main switch in a switching cycle. All four operating modes are considered in the discrete-time domain analysis. The peak current-mode control with slope compensation is used to design a low-cost AC/DC LED driver. A slope compensation design of the buck AC/DC LED driver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a discrete-time domain analysis.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analysis.

Effects of Paroxetine on a Human Ether-a-go-go-related Gene (hERG) K+ Channel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and on Cardiac Action Potential

  • Hong, Hee-Kyung;Hwang, Soobeen;Jo, Su-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3권1호
    • /
    • pp.43-51
    • /
    • 2018
  • $K^+$ channels are key component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basolateral $Cl^-$ pump systems, which are important for secretion from the salivary glands. Paroxetine is a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for psychiatric disorders that can induce QT prolongation, which may lead to torsades de pointes. We studied the effects of paroxetine on a human $K^+$ channel, human ether-a-go-go-related gene (hERG),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and on action potential in guinea pig ventricular myocytes. The hERG encodes the pore-forming subunits of the rapidly-activating delayed rectifier $K^+$ channel ($I_{Kr}$) in the heart. Mutations in hERG reduce $I_{Kr}$ and cause type 2 long QT syndrome (LQT2), a disorder that predisposes individuals to life-threatening arrhythmias. Paroxetine induced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s in the current amplitude at the end of the voltage steps and hERG tail currents. The inhibition was concentration-dependent and time-dependent, but voltage-independent during each voltage pulse. In guinea pig ventricular myocytes held at $36^{\circ}C$, treatment with $0.4{\mu}M$ paroxetine for 5 min decreased the action potential duration at 90% of repolarization ($APD_{90}$) by 4.3%. Our results suggest that paroxetine is a blocker of the hERG channels, providing a molecular mechanism for the arrhythmogenic side effects of clinical administration of paroxetine.

어선 제66풍성호 전복사고 원인분석에 대한 연구 (Study on Cause Analysis of Capsizing Accident in Fishing Boat No. 66 Poongsung)

  • 이리나;이창현;온성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55-964
    • /
    • 2022
  • 최근 5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해양사고를 선박용도별로 살펴보면 어선이 67.1%(10,211척)를 차지하고 있으며, 어선에 의한 해양사고는 2016년 1,646건에서 2020년 2,100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 5년간 발생한 378건의 전복사고 중 어선의 전복사고가 252건으로 66.7%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에 따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선 제66풍성호의 전복사고의 원인 규명을 위해 복원성 및 해수 유입경로 등의 자료 수집과 풍성호에 설치된 방수구, 추가 갑판 및 바람막이 등이 복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 후 전복사고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복원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풍성호에 설치된 추가 갑판, 바람막이, 방수구가 초기 횡경사를 일으키고, 복원성을 악화시키며 어선구조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풍성호의 선형 특성 등으로 인해 복원성을 약화 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고 당시의 복원성을 추정하기 위해 어로작업 시점의 복원성과 해상 상태 변화에 따른 해수 유입량 및 이에 따른 동요 상황, 그리고 선체 요인에 의한 복원성 변화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어로작업의 시점에서는 최소 GoM을 모두 만족하였으나 최대파고 4m에서 복원이 불가하였으며, 선체 경사에 따른 해수 유입, 동요의 영향에 의해 최대파고 4m 상태에서 최소 GoM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풍성호의 복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추가 갑판과 바람막이 설치를 제외한다면 최소 GoM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입지와 장소 특성으로 본 암각바둑판의 의미와 문화재적 가치 (A Study on the Meaning and Cultural Properties Value of Rock-Go-Board from the Viewpoint of Site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 박주성;노재현;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172-205
    • /
    • 2011
  • 본 연구는 종합적인 현황 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돌바둑판의 위치 및 형태 그리고 입지 유형을 파악하는 한편 주변 경물과 각자 그리고 인근의 전래지명과의 관련성 분석과 해석을 통해 암각바둑판의 본질적 특성 및 장소적 의미 그리고 문화재로서의 가치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바둑판에 나타난 '네모난 바둑판과 둥근 바둑돌'의 천원지방적(天圓地方的) 형상, 흑백 바둑돌로 표상되는 음양조화 그리고 하늘 회전을 표현한 361로 등은 '우주적 질서가 투사(投射)된 상징체'이다. 또한 영원성을 바탕으로 바둑 삼매경에 빠진 '귤중지락(橘中之樂)'과 '상산사호(商山四皓)' 그리고 '난가(爛柯)' 모티프는 속세를 벗어난 망우청락(忘憂淸樂)의 '위기선미(圍棋仙味)'를 통해 '인생과 자연'의 관계를 시공간적으로 일치하고자 했던 천인합일의 표상이자 우미와 소요를 추구한 고아한 풍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돌바둑판은 총본 연구는 종합적인 현황 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돌바둑판의 위치 및 형태 그리고 입지 유형을 파악하는 한편 주변 경물과 각자 그리고 인근의 전래지명과의 관련성 분석과 해석을 통해 암각바둑판의 본질적 특성 및 장소적 의미 그리고 문화재로서의 가치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바둑판에 나타난 '네모난 바둑판과 둥근 바둑돌'의 천원지방적(天圓地方的) 형상, 흑백 바둑돌로 표상되는 음양조화 그리고 하늘 회전을 표현한 361로 등은 '우주적 질서가 투사(投射)된 상징체'이다. 또한 영원성을 바탕으로 바둑 삼매경에 빠진 '귤중지락(橘中之樂)'과 '상산사호(商山四皓)' 그리고 '난가(爛柯)' 모티프는 속세를 벗어난 망우청락(忘憂淸樂)의 '위기선미(圍棋仙味)'를 통해 '인생과 자연'의 관계를 시공간적으로 일치하고자 했던 천인합일의 표상이자 우미와 소요를 추구한 고아한 풍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돌바둑판은 총 18개로 이중 강진 월남사지 돌바둑판, 양산 소한정 돌바둑판, 반룡대 돌바둑판 등 3개소(16.1%)는 이동이 가능한 석국으로 분류된 반면 방학동 돌바둑판을 비롯한 15개소(83.9%)는 자연 암반에 새긴, 원래 장소를 이탈하지 않은 암각바둑판으로 밝혀졌다. 돌바둑판의 입지조건을 유형화한 결과, 계류형 15개소(83.9%), 암봉형 3개소(16.1%)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것은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1,389m)이었다. 총 15개 돌바둑판은 모두 500m 이하의 저산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바둑판이 새겨진 입지는 속세와 멀지 않은 생활권의 일부였으며 모두 경관성이 탁월한 계곡 및 산봉에 입지하였다. 돌바둑판은 옛 선비들의 풍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찰되는바 특히 암각바둑판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조화를 추구하며 명산대천(名山大川)을 찾아 함께 노니는 풍류도의 정신을 전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즉 궁극적으로 바둑의 전통적인 상징성인 '은일의 매개체이자 자연귀의의 도에 다다를 수 있는 선비문화의 정수'인 동시에 유선적 취향의 도구로서 자리매김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징적으로 암각바둑판이 새겨진 단양 소백산 신선봉을 비롯하여 괴산 선국암, 무주 사선암, 장수 신선바위 등은 신선과 관련된 지명의 일체감이 매우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신선' 바위와 암각바둑판이야말로 선계에 대한 숭배와 동경의 소통방식이 가장 함축적으로 표현된 경관대상이자 조망처로 판단된다. 한편 암각바둑판이 입지하는 장소의 입지유형 등 물리적 환경과 팔경 및 동천구곡의 설정 여부, 유학자 등의 관련 여부를 중심으로 한 '인간활동' 그리고 '상산사호' 모티프 및 '난가고사' 상징의미 등 3가지를 '장소정체성 판단을 위한 해석 틀'을 기준으로 하여 고찰한 결과, 암각바둑판 주변에 각자 되어있는 동천, 동문 등의 모티프는 주자학적 '구곡팔경'의 개념 보다는 선취적 '선유동천' 개념의 공간성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계류형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공간은 유가의 은둔지향적 공간이나 선도적 은일지향적 공간으로 시대추이에 따라 습합되어 온 것으로 판단되며 산봉형의 암각바둑판은 별도로 신선 강림의 숭엄지향성이 장소정체성 지배의 중요 요인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곳을 포함하여 그 주변은 동천구곡이나 팔경의 일부로 널리 알려진 승경의 요처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선비 및 사대부 계층이 주체인 주변 각자들 중에도 신선 관련 표현어가 다수 발견됨에 따라 바둑판 조영의식의 이면에는 신선경 동경을 바탕으로 한 선도적 취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총합할 때 암각바둑판은 조선조 선비들의 은일과 운둔을 통한 자연경영의 문화 현상이 집약적으로 함축된 유산이자 전래 승경의 요처로, 명승과 같은 자연문화재로서의 가치가 탁월한 대상임이 확인되었다. 현재 남한내 17개의 돌바둑판 중에서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을 비롯하여 방학동 암각바둑판, 충주 사로암 암각바둑판, 무주 사선암 암각바둑판, 양산 어곡동 반룡대 석국 등은 세월의 풍파와 사람들의 접촉으로 마모되면서 바위가 깨어지거나 바둑판 줄이 희미해지고 있다. 또한 언양 반구대 집청정 암각바둑판은 토사 매몰로 그 형체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암각바둑판은 자연과 바람의 흐름을 그대로 투영한 예술적, 문화재적 가치가 탁월한 조형물이자 선인들의 자연 사랑의 마음과 선계동경의 문화가 만나 이루어진 문화유적으로, 이에 대한 국내 분포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정밀조사와 보존관리가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18개로 이중 강진 월남사지 돌바둑판, 양산 소한정 돌바둑판, 반룡대 돌바둑판 등 3개소(16.1%)는 이동이 가능한 석국으로 분류된 반면 방학동 돌바둑판을 비롯한 15개소(83.9%)는 자연 암반에 새긴, 원래 장소를 이탈하지 않은 암각바둑판으로 밝혀졌다. 돌바둑판의 입지조건을 유형화한 결과, 계류형 15개소(83.9%), 암봉형 3개소(16.1%)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것은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1,389m)이었다. 총 15개 돌바둑판은 모두 500m 이하의 저산지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바둑판이 새겨진 입지는 속세와 멀지 않은 생활권의 일부였으며 모두 경관성이 탁월한 계곡 및 산봉에 입지하였다. 돌바둑판은 옛 선비들의 풍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찰되는바 특히 암각바둑판은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조화를 추구하며 명산대천(名山大川)을 찾아 함께 노니는 풍류도의 정신을 전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즉 궁극적으로 바둑의 전통적인 상징성인 '은일의 매개체이자 자연귀의의 도에 다다를 수 있는 선비문화의 정수'인 동시에 유선적 취향의 도구로서 자리매김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징적으로 암각바둑판이 새겨진 단양 소백산 신선봉을 비롯하여 괴산 선국암, 무주 사선암, 장수 신선바위 등은 신선과 관련된 지명의 일체감이 매우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신선' 바위와 암각바둑판이야말로 선계에 대한 숭배와 동경의 소통방식이 가장 함축적으로 표현된 경관대상이자 조망처로 판단된다. 한편 암각바둑판이 입지하는 장소의 입지유형 등 물리적 환경과 팔경 및 동천구곡의 설정 여부, 유학자 등의 관련 여부를 중심으로 한 '인간활동' 그리고 '상산사호' 모티프 및 '난가고사' 상징의미 등 3가지를 '장소정체성 판단을 위한 해석 틀'을 기준으로 하여 고찰한 결과, 암각바둑판 주변에 각자 되어있는 동천, 동문 등의 모티프는 주자학적 '구곡팔경'의 개념 보다는 선취적 '선유동천' 개념의 공간성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계류형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공간은 유가의 은둔지향적 공간이나 선도적 은일지향적 공간으로 시대추이에 따라 습합되어 온 것으로 판단되며 산봉형의 암각바둑판은 별도로 신선 강림의 숭엄지향성이 장소정체성 지배의 중요 요인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암각바둑판이 조성된 곳을 포함하여 그 주변은 동천구곡이나 팔경의 일부로 널리 알려진 승경의 요처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선비 및 사대부 계층이 주체인 주변 각자들 중에도 신선 관련 표현어가 다수 발견됨에 따라 바둑판 조영의식의 이면에는 신선경 동경을 바탕으로 한 선도적 취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총합할 때 암각바둑판은 조선조 선비들의 은일과 운둔을 통한 자연경영의 문화 현상이 집약적으로 함축된 유산이자 전래 승경의 요처로, 명승과 같은 자연문화재로서의 가치가 탁월한 대상임이 확인되었다. 현재 남한내 17개의 돌바둑판 중에서 소백산 신선봉 암각바둑판을 비롯하여 방학동 암각바둑판, 충주 사로암 암각바둑판, 무주 사선암 암각바둑판, 양산 어곡동 반룡대 석국 등은 세월의 풍파와 사람들의 접촉으로 마모되면서 바위가 깨어지거나 바둑판 줄이 희미해지고 있다. 또한 언양 반구대 집청정 암각바둑판은 토사 매몰로 그 형체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암각바둑판은 자연과 바람의 흐름을 그대로 투영한 예술적, 문화재적 가치가 탁월한 조형물이자 선인들의 자연 사랑의 마음과 선계동경의 문화가 만나 이루어진 문화유적으로, 이에 대한 국내 분포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정밀조사와 보존관리가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전이함수잡음모형에 의한 공주지점의 용존산소 예측 (Forecasting of Dissolved Oxygen at Kongju Station using a Transfer Function Noise Model)

  • 류병로;조정석;한양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49-354
    • /
    • 1999
  • The transfer function was introduced to establish the prediction method for the DO concentration at the intaking point of Kongju Water Works System. In the mose cases we analyze a single time series without explicitly using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related time series. In many forecasting situations, other events will systematically influence the series to be forecasted(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refore, there is need to go beyond a univariate forecasting model. Thus, we must bulid a forecasting model that incorporates more than one time series and introduces explicitly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Such a model is called a multiple time series model or transfer function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tochastic stream water quality model for the intaking station of Kongju city waterworks in Keum river system. The performance of the multiplicative ARIMA model and the transfer function noise model were examined through comparisons between the historical and generated monthly dissolved oxygen series. The result reveal that the transfer function noise model lead to the improved accura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