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ghtening sequenc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임플랜트 지지 상부구조물에서 나사조임순서와 조임방법이 풀림토크값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REW TIGHTENING SEQUENCE AND TIGHTENING METHOD ON THE DETORQUE VALUE IN IMPLANT-SUPPORTED SUPERSTRUCTURE)

  • 최정한;김창회;임영준;김명주;이석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53-664
    • /
    • 2007
  • Statement of problem: The screw detorque value is a measure of the preload remaining in the screw just before detorquing.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different screw tightening sequences and tightening methods on detorque values for a well-fitting implant superstructure. Material and method: An implant superstructure that connected directly to four implants (Astra Tech) was fabricated on a fully edentulous mandibular acrylic resin model. Six well-fitting dental stone casts were made with a pickup impression of the superstructure from the acrylic resin model. To evaluate the effect of three screw tightening sequences (1-2-3-4, 2-4-3-1, and 2-3-1-4) and two tightening methods (2-step and 1-step) on the stability of screw joint, the detorque values for a well-fitting implant superstructure were measured twice after screw tightening using 20 Ncm. Detorque values were analyzed using multi-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t a .05 level of significance. Results: 1. The mean detorque values for three screw tightening sequences were 12.3 Ncm, 12.6 Ncm, and 12.0 Ncm, respectively. 2. The mean detorque values for two screw tightening methods were 12.0 Ncm, and 12.2 Ncm, respectively. 3. The mean of mimimum detorque values for three screw tightening sequences and for two tightening methods were 10.6 Ncm, 11.1 Ncm, 10.5 Ncm, and 9.8 Ncm, respectively. 4.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of screw tightening sequence and tightening method were found (p>.05) for detorque values and for mimimum detorque values.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screw tightening sequence and tightening method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torque values for a well-fitting implant superstructure.

The effect of bolt tightening methods and sequence on the performance of gasketed bolted flange joint assembly

  • Abid, Muhammad;Khan, Yasir Mehmood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6권6호
    • /
    • pp.843-852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results of the effect of different bolt tightening sequences and methods on the performance of gasketed bolted flange joint using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Bolt preload scatter due to elastic interactions, flange stress variation and bolt bending due to flange rotation and gasket contact stress variation is difficult to eliminate in torque control method i.e. tightening one bolt at a time. Although stretch control method (tightening more than one bolt at time) eradicates the bolt preload scatter, flange stress variation is relatively high. Flange joint's performance is compared to establish relative merits and demerits of both the methods and different bolt tightening sequences.

내부연결 임플란트 상부구조물에서 나사조임술식이 풀림토크값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rew tightening techniques on the detorque value in internal connection implant superstructure)

  • 최정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43-250
    • /
    • 2010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잘 맞는 임플란트 상부구조물에서 서로 다른 나사조임순서와 조임방법이 나사의 풀림토크값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서로 수동적 적합 관계를 갖는 완전 무치악 하악 주모형과 네 개의 평행한 임플란트 (Astra Tech)에 직접 연결되는 금속구조물을 제작하였다. 금속구조물과 잘 맞는 실험모형을 위해 주모형에서 연결인상법을 이용하여 여섯 개의 경석고 모형을 얻었다. 20 Ncm로 조인 후 나사의 풀림토크값을 두 번 측정하였다. 세 가지 나사조임순서 (1-2-3-4, 2-4-3-1, 그리고 2-3-1-4)와 두 가지 나사조임방법 (two-step과 one-step)에 대한 나사의 풀림토크값과 최소풀림토크값을 유의수준 .05에서 각각 다원분산분석법 (multi-way ANOVA)과 이원분산분석법 (two-way ANOVA)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나사조임순서에 대한 나사의 평균 풀림토크값은 12.8 Ncm (2-4-3-1)에서 13.1 Ncm (2-3-1-4)의 값을 보였고, 나사조임방법에 대한 값은 13.1 Ncm (two-step)와 11.8 Ncm (one-step)였다. 나사조임순서에 대한 나사의 평균 최소풀림토크값은 11.1 Ncm (1-2-3-4)와 11.2 Ncm (2-4-3-1과 2-3-1-4)였고, 나사조임방법에 대한 값은 11.2 Ncm (two-step)와 9.9 Ncm (one-step)였다. 나사의 풀림토크값과 최소풀림토크값은 세 가지 나사조임순서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가지 나사조임방법 간에는 두 값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다. 나사를 두 단계로 나누어 조이는 방법이 한 번에 조이는 방법보다 더 큰 풀림토크값 (P = .0003)과 더 큰 최소풀림토크 값 (P = .0035)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와 같은 조건하에서, 연결인상법으로 얻은 잘 맞는 임플란트 상부구조물에 있어서 나사조임순서는 나사의 풀림토크값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는 아니었다. 그러나 나사를 두 단계로 나누어 조이는 방법은 한 번에 조이는 방법보다 더 큰 풀림토크값을 보였다.

COMPARATIVE ACCURACY OF THE SPLINTED AND UNSPLINTED IMPRESSION METHODS FOR INTERNAL CONNECTION

  • Choi, Jung-Han;Kim, Chang-Whe;Jang, Kyung-Soo;Lim, Young-Jin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52-362
    • /
    • 2005
  • Statement of problem. Accurate impression is essential to success of implant prostheses.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the accuracy of fixture-level impression techniques in internal connection implant system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of two fixture-level impression techniques in two conditions (parallel and divergent) and to assess the effect of tightening sequences and forces on stresses generated on superstructures in internal connection implant system (Astra Tech). Material and methods. Two metal master frameworks made from two abutments (Cast-to Abutment ST) each and a corresponding, passively fitting, dental stone master cast with four fixture replicas (Fixture Replica ST) were fabricated. Ten dental stone casts for each impression techniques (direct unsplinted & splinted technique) were made with vinyl polysiloxane impressions from the master cast. Strain gauges for each framework were fixed midway between abutments to measure the degree of framework deformation on each stone cast. Pairs of strain gauges placed opposite each other constituted one channel (half Wheatstone bridge) to read deformation in four directions (superior, inferior, anterior, and posterior). Deform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the Tukey test at the .01 level of significance. And the effect of tightening sequences (right-to-left and left-to-right) and forces (10 Ncm and 20 Ncm) were assessed with ten stone casts made from parallel condition by the splinted technique. Deform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t the .01 level of significance. Conclusion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1. Frameworks bent toward the inferior side on all casts made by both direct unsplinted and splinted impression techniques in both parallel and divergent conditions.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accuracy between the direct unsplinted and splinted impression techniques in both parallel and divergent conditions (P>.01).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stress according to screw tightening sequences in casts made by the splinted impression technique in parallel condition (P>.01). 4. Greater tightening force resulted in greater stress in casts made by the splinted impression technique in parallel condition (P<.01).

다른 연결 시스템을 갖는 임플랜트 상부 구조물에서 조임술식에 따른 지대주 나사의 풀림 토크값에 대한 연구 (Removal Torque Values of Retaining Screws Tightened to Implant-Supported Prosthesis with Different Connection Systems by Various Tightening Technique)

  • 김동욱;최유성;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4호
    • /
    • pp.343-358
    • /
    • 2011
  • 임플랜트 치료가 보편화되고, 다양한 형태와 재료의 상부 구조물이 보급되었다. 그리고 실패에 대한 보고도 다양하며, 그 중 지대나사의 풀림현상이 가장 흔하다고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외부연결구조와 내부연결구조 임플랜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구조물을 나사로 연결할 때, 세 가지 나사조임순서와 두 가지 나사조임방법에 따른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비교하여 나사조임순서와 나사조임방법이 서로 다른 연결구조에 따라 나사풀림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완전 무치악 하악모형을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으로 제작하고 이공간 부위에 중심간 거리가 약 15 mm 되도록 네 개의 임플랜트 고정체 유사체를 고정한 후 바 타입으로 납형 형성하여 상부 구조물을 주조 제작하였다. 상부 구조물과 정확한 적합이 되는 주모형을 제작한 후 연결 인상법으로 외부연결구조, 내부연결구조를 가지는 연구모형을 각각 5개씩 제작하였다. 각 모형에서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가장 왼쪽에 조여지는 나사를 1번 나사로 하고 가장 오른쪽의 나사를 4번 나사로 명명하였다. 먼저, 나사조임순서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2-3-4, 2-3-1-4, 2-4-3-1의 순서로 15 Ncm의 힘으로 조이고, 다시 같은 순서로 최종 조임토크값인 30 Ncm까지 조인 후 (2-step 방법)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나사조임방법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3-1-4의 순서로 한 번에 최종 조임토크값인 30 Ncm까지 조인 후 (1-step 방법)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여 같은 순서 (2-3-1-4)의 2-step 방법과 비교하였다. 세 가지 나사조임순서에 따른 나사의 풀림 토크값은 외부연결구조에서 2-3-1-4군이 2-4-3-1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그리고 내부연결구조에서도 2-3-1-4군이 2-4-3-1군과 1-2-3-4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또한 나사조임순서와 무관하게 몇 번째 조여진 나사인지에 따른 풀림 토크값을 비교해 본 결과, 외부연결구조에서는 처음에 조여진 나사가 두 번째 조여진 나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5), 내부연결구조에서는 처음에 조여진 나사에서부터 마지막에 조여진 나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두 가지 나사조임방법 간에는 외부연결구조와 내부연결구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결구조에 대한 비교에서 외부연결구조와 내부연결구조의 풀림 토크값은 각각 16.27 Ncm, 14.25 Ncm 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5). 다수 임플랜트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구조물을 나사로 연결할 때, 나사조임순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가운데부터 조인 경우에서 풀림 토크값이 낮았고, 연결구조 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풀림 토크값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좀 더 상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하중 조건에서의 부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